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내 젤라즈니의 전도서에 바치는 장미 리뷰에다, 마치 화성인 vs. 지구남성 이  유색인종 vs.백인남성같다고 젤라즈니의 여성관에 유감을 표하는 글을 올렸더만, 음....17분중 2분 추천이란다. 자그만치 15명이 반대한다는 거다.

이상하다...골또롬.

왜 울 나라 마초들은 마초를 마초라 그럼 마구 화낼까 몰르겠다. 화내라지.

원래 진실을 들으면 화내는 족속들이 있더라만.

소통을 포기한지가 언제인데 말이다. 새삼 개의하랴~~~~~

 

젤라즈니의 전성기가 1970년대임을 고려할때 충분히 그러고도 남지 않는가 말이다.

구닥다리 시대 사람이니 이해해주자고? 아니, 난 공인에 대한 기대 수준이 엄청 높다.

시대를 초월하는 인식을 가진 고귀한 정신들을 알기에 더더욱 못그러겠다.

 

토마스 모어 - 전처의 죽음으로 맞이한 두번째 부인에게 진심으로 글을 가르치려고 했다. 여자와 대화를 나누어 보는 거 소원이라. (부인이 거부했다)

존 스튜어트 밀 : 프랑스 혁명 전 시대에 살았던 그는 여성도 가사노동의 굴레에서 해방만 된다면 남성과 다름없이 학문과 사회활동에서 동등할 거라고 '여성론'에서 주장했다. 서구 여성 최초의 여권 선언을 했던 매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선언보다도 한 시대 전에 말이다.

그렇게 보면 젤라즈니가 초라하지. -___-;

차라리 로렌스라면 이해해 주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LAYLA 2004-07-26 0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저렇게 시대를 앞서나가는 남성도 있었군요 정말 칭찬해 줘야 겠어요 나중에 하늘에서 만난다면요..^^

톡톡캔디 2004-08-02 0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언젠가...좌담회 비슷한 모임에 간적이 있엇지요. 친구랑. 가는 길에 제가 흥분해서 모어는 어땠고, 스튜어트 밀은 어땠고...침을 튀겼는데, 하필 그 좌담회서 그러더군요. 서로 자기 친구를 소개하라고. -__-; 이노무 친구...절 가리키며, 존경하는 남자가 존 스튜어트 밀이래요...흑흑 분위기 엄청 썰렁했습니다. 역시 열정은, 취향은, 나 혼자 만의 것인지 과연.... 과연...흑흑.
 

어린 날 읽었던 몇권의 책은 무엇을 준다해도 바꿀 수 없네~

가슴에 깊이 새긴 그 때 감동은 일생을 두고 남는 것.

아동 도서는 계몽사~~~~

 

난 이 노래를 참 좋아한다.

계몽사 50권은 내 어린 시절 소중한 자양분이었다.

그립다. 계몽사 50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4-07-03 16: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북유럽동화집을 참 좋아했답니다. 그 중에서도 '별의 눈동자'.
오늘 마이리스트 처음 하나 만들어봤어요.
제목은 '사랑보다는 일이라고라?'
연애와 일, 결혼 앞에서 갈팡질팡하는 여성들을 위한 만화 모음이에요.

톡톡캔디 2004-07-27 0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태양의 동쪽, 달의 서쪽'을 제일 좋아해요. 일명 신랑 찾아 삼만리, 라고나 할까요 ^^; 호홋~ 이 동화에 삽화를 그린 Kay Neilson의 삽화는 정말 환상적이랍니다. (인터넷 검색해 보세용~) 아...이 삽화가는 옆에만 있다면 그 손이라도 잘라 내 소장하고 싶고, 저 동화는 제가 쓰는 (10년째 쓰는 중인) 네 첫소설의 제목으로 삼았지요....호홋..아마 죽기전에도 못쓸거라는...단지 이렇게 쓰고 나니 제가 참 엽기녀처럼 들리네요.
 

새로이 알게된 미국 일러스트레이터이다.

난 왠지 미국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이 사람의 삽화들은 너무나도 미국적인데 너무나도 좋다. (왠일이람!)

기존에 영어 회화 교재에 삽화로 들어간 이사람의 삽화를 몇컷 본적이 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그의 삽화 중 하나 Shiner이다.^^;

음..Allposters.com이라는 포스터 판매 사이트에 들어가

록웰을 검색해보라!!!!! ^^;

사람들이 사는 모습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 때 문자가 신성시 되던 때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신성시 되던 통치 계층과 신관들만이 문자를 이용해 한정된 인간의 기억을 뛰어넘어 결국 시간을 뛰어넘을 수 있었다.

구텐베르크가 인쇄술을 발명한 이후 출판 매체는 바야흐로 정보의 광범위한 확장을 가져왔고, (우리나라의 금속활자와 최고의 목판 등등이 사실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이 문명에 끼친 영향에 비함 뭐라 말인가. 종교 경전 인쇄에만 쓰인 인쇄술이 지닌 가치가 얼마나 높으면 높단말인가.)

17세기 18세기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산문이 탄생하고, 소설이 등장하여 팔리면서 모 학자는 돈 주고 사보는 소설에 대해 '돈을 주고 교양과 도덕을 사는 시대'가 되었다고 이야기 했다. 책 값이 5,000원 이라면 우린 5천원 어치의 도덕과 교양을 돈을 주고 사게 되었다는 소리이다. 사실 책에 대해 우리가 기대하는 바 - 졸부가 화려한 금박의 하드커버 책들로 서재를 장식하는 것을 무시하면서도 - 우리가 내심 흐뭇하게 책을 읽은 데에는 그만큼 지식과 교양이 내지는 도덕이 늘었다는 자기만족이 있지 않은가 말이다. (무서운 통찰이 아닐 수 없다...)

20세기 들어 롤로메이는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서 현대인들은 길을 몰라 길을 잃은 것이 아니라 길이 너무 많아 길을 잃는다,는 통철을 또한 보여준 바 있다.

정보가 기하급수적으로 자기복제를 하며 (복사, 인쇄술, ) 무한대로 확장하는 시대에서 과연 개개인들은 어느 길로 가야할 것인가. 거기다 이제 한 술 더떠 개개인들이 무한대로(?) 자신의 글을 올려 보급시킬수 있는 블로그라는 수단이 등장했다.

무섭다는 생각이 든다. 이 가히 빅뱅에 가까운 정보 폭발 시대에 살며 나는 과연 길을 어떻게 찾을 것인가, 하고.

고등학교 때, 우리가 재잘재잘 떠들때마다 고전 선생님께서는 우리를 지긋이 바라보며, 그러셨다. "말로써 말많으니 말많을까 하노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