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누나 웅진책마을 32
오카 슈조 지음, 카미야 신 그림, 김난주 옮김 / 웅진주니어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TV아침프로에서 '행복한 매표소'를 운영한다는 어느 젊은 청년의 가슴 따뜻한 이야기를 방송을 통해 알게 되었다. 그는 우리의 일상에서 얻는 작은 행복을 몸소 느끼게 해주는 사람이었다. 매표소 주변의 사람들에게 자작한 시를 나누어주고..주위사람들과 그것을 나눌 줄 알고..감동할 줄 아는 그런 사람이었다. 우리와는 조금 불편한 소아마비라는 장애(?)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의 정신세계는 누구와 견주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행복해보였다. 그리고 그 스스로 그것이 장애라고 느끼지 않고 있음이 참 행복해 보였다.

 나는 이따금씩 주변의 장애인들에게 시선을 멈추게 된다. 그저 조금 몸이 불편할 뿐인데..내가 이렇게 쳐다보면 안되는데..뒤돌아보는 사람들. 비 장애인들의 눈에는 그들이 불쌍해보이는지 혀끝을 차는 어른들도 보였다. 언제쯤이면.외국인과 장애인을 힐끗힐끗 곁눈질 하지 않을 수 있을까.. <잇자국>은 잊혀졌던 과거에 대한 또다른 반성(?)을 하게 했다. 초등학교 시절...우리학교엔 간질병이라는 희한한 병(그땐..그런병이 참..이상하다고 생각했었다. )을 가진 남자아이가 있었다. 우린 그 아이의 주기적인 발작에.. 무서웠다. 또 그 애가 우리가 노는 무리로 와 함께 하고 싶어했을때도 우리들은.. 그애를 피해 도망가고 그애와 말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애와 놀지 않기도 했었던 것 같다. 그애도 친구를 갖고 싶었을 텐데.. 한번쯤은 경험했었을 일이라고 치부해버리기엔 정말 신사적이지 못했던 어린시절이었던것 같다. 어릴때 부모님들이 그런 교육이라도 시켜주셨으면 더 좋았을것을... 

비 장애인 중에서도 정신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우리누나><귀뚜라미>.. 장애인과 비 장애인.. 알게모르게  편견의 장애를 갖고 사는 우리는, 또다른 장애인이 아닐까..장애인들을 바라보는 편견의 장애에서 조금 벗어날 수 있어 좋았다.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의 벽을 허무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더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