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춘의 독서 (특별증보판) - 세상을 바꾼 위험하고 위대한 생각들
유시민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5년 4월
평점 :
│
본 서평은 웅진지식하우스로부터 책을 지원받고 작성한 서평입니다.





─
이 책의 첫 장을 읽고 나서 『죄와 벌』을 샀고,
책을 덮고 나서 『자유론』을 샀다.
책에 대한 책은 늘 좋아한다. 한 권의 책에 다른 사람이 느끼는 다양한 생각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과정을 통해 내 세계 역시 확장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책에 대한 책을 찾고, 독서모임을 찾는 게 아닐까 싶다. 책에 대한 책이라 하면 국내외를 막론하고 무수히 많은 책들이 있겠지만, 여기에 유시민의 『청춘의 독서』 역시 빠지지 않는다.
웅진지식하우스에서 『청춘의 독서』가 개정증보판으로 새롭게 나왔다. 작가나 책이나 워낙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모를 수 없기에 서점이든, 도서관이든 독자에게 굉장히 주목받는 책이 아닐 수가 없고 출간한 지 수개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인기는 식을 줄 모르고 있다. 사실 나는 최근에 도서관에서 한 번 빌려 읽었던 적이 있다. 운 좋게 빠르게 예약 순번이 돌아와 읽게 되었는데 나는 이 책의 첫 장을 읽고 나서는 『죄와 벌』을 샀고, 책을 덮고 나서는 『자유론』을 샀다.
─
『청춘의 독서』는 유시민이 젊은 시절, 대학과 감옥에서 지내며 읽은 책에 대한 글 열네 편, 그리고 작년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사건을 지나며 쓴 한 편, 총 열다섯 편의 책과 글이 담겨있다.
무수히 많은 책 중 골라낸 열다섯 권이다. 서문에서 유시민은 정보보다는 책을 읽으면서 얻은, 삶과 인간과 세상과 역사에 대한, 나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말하려고 썼다고 한다. 이런 고민이 담긴 글을 읽다 보면 호기심이 생기지 않을 수가 없지 않은가. 게다가 한국에 사는 사람이 읽고 쓴 책이니 어떤 책과 글에서도 우리가 돌아볼만한 지점들이 느껴진다.
사회제도와 빈곤의 상호 관계, 인과관계를 느끼고 '만약 개인에게 전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없는 어떤 사회적 악덕이 존재한다면, 그러한 사회악은 도대체 왜 생겨났는가? 사회악을 완화하거나 종식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가지게 한 유시민 독서의 시발점이 되어준 『죄와 벌』도, 한 번 읽었던 경험이 있지만 계엄의 밤을 지나며 다시 읽고 쓴 『자유론』도 독서 욕구를 자극해 준다.
─
독서 에세이는 꼭 좋은 책만을 소개해야 할까?
『청춘의 독서』에는 다소 도발적인 책 역시 소개한다. 맬서스의 『인구론』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인구론』은 편견으로 가득했던 천재 맬서스가 자선은 사회악이라는 주장을 펼치기 위해 낸 이론이자 철학이자 세계관이다.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인구 증가를 억제하는 특별한 요인이 없을 경우, 식량보다 인구가 많아져 잉여 인구는 굶어 죽어야 한다. 기근이 아니면 전염병이 오고, 전염병을 피하면 전쟁이 온다. 맬서스는 이 피할 수 없는 가혹한 운명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공중 보건 정책과 구빈제도, 자선을 꼽으며 이를 비판한다.
지금의 시선으로 읽으면 맬서스의 『인구론』은 극단에 치우친 논리이기도 하고, 비판받아 마땅할 부분도 있어 지적을 피할 수 없는 책이다. 그렇기만 했다면 이 책을 다루지 않았겠지만 다른 의미에서는 맬서스가 일부 옳았기에 다룰 수밖에 없었으리라. 저자는 맬서스의 주장은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상을 대입해서 변주해 보기도 한다. 논리가 변주되는 순간 이해 가능한 범주에 들어선다. 저자는 그럼에도 원문의 기괴한 논리나 결론은 이해할 수 없다고 이야기하며 한 천재의 편견과 고정관념에 대해 두려움을 느낀다는 결론으로 글은 마무리된다. 내가 옳다고 믿는 것, 내 신념을 받치고 있는 수많은 통념들 가운데 그릇된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없을 것인가? 지금 쓰고 있는 이 글 속에도 그런 것이 없다고 어떻게 장담할 수 있겠는가? 내 생각도 그릇된 편견과 고정관념으로 일그러져 있지 않은지 경계하면서 나를 비추어 본다. 생각은 때로 감옥이 될 수 있다!
비판적 독서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
이렇듯 『청춘의 독서』는 꼭 좋은 책만을 다루고 있지 않으며, 논쟁거리가 있는 고전 저작물도 이야기한다. 우리는 이러한 글을 통해 책을, 글을, 문장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면 좋을지에 대해 배울 수 있다. 무수히 많은 독서 에세이가 있지만 이 책만큼은 꼭 읽어봐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