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도 없는 일 깔끔하게 해치우기 - KI 신서 418
데이비드 알렌 지음, 공병호 옮김 / 21세기북스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데이비드 알렌(www.davidco.com ) <생산성 원리(Productivity Principle)>

공병호 -> 공병호씨는 내가 벤치마킹해서 '롤 모델'로 하는 사람 중 한 명이다.

1. 새로운 현실을 위한 새로운 실천
 - 우선 잘못된 일처리 습관을 고쳐야 한다.
 - 물 흐르듯이 일을 한다. -> 마음속에 아무 것도 남겨두지 않는 습관을 키우자.
 - 자신과의 약속을 경영한다.
 - 생생하게 적어라. 마음속에 크게 자리잡은 상황을 적어라.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적어라.

2. 삶의 통제력 유지하기 : 5단계 경영법
 - 1. 수집단계 : 관심을 끄는 사물들을 수집
 - 2. 관리 및 가공 단계 : 실행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니면 쓰레기/보류/창고, 맞으면 -> 다음 행동이 무엇인가? 프로젝트 계획으로 옮긴다. 2분내에 해결되는가? 안되면 위임/연기, 된다면 직접한다.
 - 3. 조직화 단계 :
     - 달력에 기입할 것 : 특정 시간이 정해진 행동, 특정 날짜가 정해진 행동, 특정 날짜가 정해진 정보
     - '보류' : 언젠가, 어쩌면 리스트 - 지금 당장 추진하지 않아도 되는 것, 추후 확인 리스트 - 지정된 날짜에 확인할 것 지정
 - 4. 검토 단계 : '주간 검토' - 핵심적인 성공 요소 ; 모든 업무를 모아 가공한다. 시스템을 점검한다. 리스트를 새로 고친다. 명확하게, 최신의 것들로 완벽하게 정리한다.
 - 5. 실천 단계

3. 프로젝트 계획하기

4. 준비단계 : 시간, 공간, 도구의 준비
 - 별도의 시간을 준비하라. (주말이 좋음)
 - 자기 공간을 마련하자. (집에서도 작업 공간이 필요하다)
 - 필요한 도구를 확보한다. (서류함, 일반용지, 포스트잇, 클립, 스템플러, 라벨찍는 기계, 파일폴더, 달력, 쓰레기통 등)
 - 파일링의 성공 요소 : 모든 과정이 1분내에 끝날 수 있어야 한다.
 - 일반 참고 파일들은 손이 닿는 곳에, 가나다식 시스템
 - 서랍은 3/4 이상이 차지 않게
 - 1년에 한번씩은 파일 정리할 것
 
5. 수집 단계 : 업무를 한 곳에 모으기
 - 책상 위-서랍-계산대-캐비닛-마루-벽-선반
 - 모든 미완결물과 일거리를 수집함에 넣기
 - 쓰레기는 그 자리에서 확실히 버리기
 - 눈에 보이는 불필요한 항목들을 별도의 메모지에 적어 내려가기

6. 가공 단계 : 수집함 비우기
 - 한 번에 한 항목씩
 - 다시 수집함에 넣지 않기

7. 조직화 단계 : 올바른 체크리스트 준비
 - 프로젝트 분리 방법 : 개인/직장, 프로젝트 위임, 특정 유형의 프로젝트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버드 수재 1600명의 공부법
리처드 라이트 지음 / 월간조선사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1. 과외 활동이 인생을 바꾼다. -> 무식하게 과외 생각하는 건 아니겠지?ㅋ

2. 성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시간 관리다.
  - 예술 활동 참가, 자원 봉사 등의 활동을 열심히 하면서도 공부 잘 하는 학생들.

3. 최상의 수업
  - 인물 : 투키티데스(Thucydides), 루소(Rousseau), 존 로크(John Locke) -> 책 속에 나오는 인물들인데 한 번 쯤 공부해 보고 싶은 인물들. 미국 드라마 Lost에 존 로크라고 나오지, 아마?ㅋ
  - 소규모 세미나 : 토론 유도, 적극적 참여 -> 정말 필요한 건 이거다.
  - 외국어와 문학에 투자하라. 다양한 외국어를 배워라.

4. 글쓰기는 성공의 Key Point ! -> 내가 항상 강조하는 것
 - 1대 1의 모임에서 구체적인 질문을 하라.
 - 똑같은 논평이 되풀이 되면 질문을 하라.
 - 문제의 구체적인 사례를 요청하라.
 - 다른 사람으로부터 도움을 얻어라.
 - 수정에 필요한 전략을 요청하라.
 - 글쓰기 지도를 실질적인 공부 내용과 연결시켜라.

5. 훌륭한 조언의 중요성
 - 인물 : 알렉시스트 토크빌(Alexisde Tooqueville),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 데이비드 흄(David Hume), 존 로울즈(John Rawls)
 - 한 학기에 한 명의 교수를 알고 지내라. -> 이게 학교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득이 아닐까 생각한다.

6. 변화를 주도하는 교수들
 - 언어 사용의 정밀성을 가르친다.
 - 1에서 100까지의 숫자 중 전체 평균의 반에 가까운 수는?
"11"
 - 학생 대 교수 논쟁을 하라. -> 자신과의 논쟁을 허용하는 우리 나라 교수는 드물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런 것이 선진국 교육의 좋은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 증거 사용법 가르치기
 
7. 캠퍼스의 다양성

 - 학생들이 꼽은 추천도서 -> 이런 책들은 꼭 읽어봐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시간이 없다는 것은 핑계일까? 근데 이 중에 진짜 읽어본 책 하나가 없냐? ㅋㅋ
  . 여학생들은... 베티 프리만(Betty Friedan)의 <여성의 신비(The Feminine Mystique)>,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 제인 오스틴(Jane Austin), 도리스 레싱(Doris Lessing), 유도라 웰티(Eudora Welty)
  . 아프리카계 학생들은... 앨리스 워커(Alice Walker), 네이던 매콜(Nathan McCall)
  . 회교도계 학생들은... 나기브 마푸즈(Naguib Mahfouz) <욕망의 궁전(The Palace of Desire)>, <시작과 끝(The Biginning and the End)>, <거지(Beggar)>
  . 아시아계 학생들은... 루쉰, 시지선
  . 라틴계 학생들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 <보고(Dr. Brodie's Report)>, <모래의 책(The Book of Sand)>, <상상 생물의 책(The Book of Imaginary Beings)>, 카를로스 푸엔테스(Carlos Fuentes)의 <양심(The Good Conscience)>

8. 이질성에서 배운다
 - 종교적 다양성은 긍정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쓰기에도 매뉴얼이 있다 - 탁석산의 글쓰기 1 탁석산의 글쓰기 1
탁석산 지음 / 김영사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가 누굴 탓하랴 만은 요즘 문법도 맞춤법도 엉망인 글들이 난무하고 다닌다. 나는 누구보다도 우리 국어의 소중함과 중요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맞춤법 등의 우리말하기, 우리글쓰기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영어를 공부하는 만큼 우리말과 우리글도 아끼고 공부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나는 이 독서 블로그에 읽었던 책의 내용을 쓴다. 책의 종류와 내용에 따라서 내용과 함께 중간 중간 중요하게 생각했던 말, 글들을 여기다 긁어 오는 것이다.

- 멘토(Mentor) : <오디세이아>에 나오는 오디세우스의 충실한 조언자의 이름에서 유래.

- 글쓰기에 대한 잘못된 통념

- 1. 누구나 노력하면 글을 잘 쓸 수 있다?? 
     노력하면 실용적 글쓰기는 잘 할 수 있지만 문학적 글쓰기는 노력보다는 타고난 재능이 더 중요하다. -> 여기서 한 평생 동안 소설 한 권을 쓰겠다는 나의 의지는 조금 꺾인다.

- 2. 말하듯이 글을 쓰면 된다??
     글은 논리의 세계이다. 반면 말은 이성과 감성의 복합체이다. 즉, 글은 차가운 논리의 세계이고 말은 살아 움직이는 생물과 같다. -> 논리 키우기... 매우 중요하다 생각한다.
 
- 3. 글은 문장력이다??
  이태준의 <문장강화>에서, 논설문은... 공명정대할 것, 열의가 있어 먼저 감정적으로 움직여 놓을 것, 확실한 실례를 들어 의심을 살 여지없이 신뢰를 받을 것, 논리 정연하여 공리공론이 없고 중언부언이 없을 것, 엄연미가 있을 것
     
  배상복의 <문장기술>에서,  문장의 십계명 : 
   1. 간단 명료하게 작성하라.
   2. 중복을 피하라.
   3. 호응이 중요하다.
   4. 피동형으로 만들지 마라.
   5. 단어의 위치에 신경써라.
   6. 적확한 단어를 선택하라.
   7. 단어와 구절을 대등하게 나열하라.
   8. 띄어 쓰기를 철저히 하라.
   9. 어려운 한자어는 쉬운 말로 바꿔라.
   10. 외래어 표기의 일반 원칙을 알자.

  아무리 문장을 잘 다듬어도 글을 잘 쓸 수는 없다. 글은 하나의 구조이다. 문장은 문장들간의 관계에서만 그 의의가 있다.

- 4. 글은 서론, 본론, 결론으로 구성된다??
  신문 칼럼과 시사 잡지를 많이 읽어야 한다. 칼럼은 논증의 형식을 따라야 한다. 논증이란 자신의 주장인 결론과 주장을 뒷받침하는 전제로 구성된다. 서론과 결론은 깃털에 불과하다.

- 5. 많이 읽고 많이 써 보면 글을 잘 쓸 수 있다??
  독서는 글쓰기에 있어 필요 조건일지는 몰라도 충분 조건은 아니다. 생각 거리를 어떻게 글로 만들어 내느냐가 더 중요하다. -> 필요조건, 충분조건

- 6. 글쓰기의 궁극적 목표는 인격을 닦는 것이다??
  글쓰기는 실용적 도구이며, 먹고 사는데 없어서는 안 되므로 꼭 익혀야 하는 것이다.

- 보이는 데 까지 우선 가라. 꾸준함이 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억 연봉의 조건
후지타 사토시 지음, 서현아 옮김 / 북라인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내 가치는 얼마나 되는지 궁금해서 읽어봤던 책. 별 도움은 되지 않는 듯.

- 나의 시가를 계산해 보자. 실제 핵심 가치 기술 레벨을 테스트한다.
 - 내게 필요한 능력 : 전문 기능, 리더십 능력, 매니지먼트 능력, 정보수집 능력, 프리젠테이션 능력, 창의력, 시간관리 능력, 감정 관리 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 다른 문화 적응 능력.

- 몸과 마음, 가치 기술
 - 체력, 건강 유지 관리 능력
 - 의지력(이념, 가치관), 잠재적 능력(개성)

- 회사에 의존하는 비즈니스맨은 성장할 수 없다.
- 기업 규모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가치 기술은 다르다.
- 정보 수집 능력은 인맥이 좌우한다.
- 한 달에 한 번 정도 외부 활동을 통해 새 바람을 불어 넣자.
- 자기 표현을 못하면 비즈니스맨 자격이 없다.
- 감정 관리 능력은 필수.
- 시간 관리 방법을 다시 생각해라.  
- 잔업 절대 하지 마라. 아침 시간을 유용하게 하라.
- 나만의 개성을 창출하라.
- 개성과 직업이 맞아 떨어지면 시장 가치는 오른다.
- 능력있는 사람은 남의 힘을 잘 빌린다.
- 사원 연수제도를 철저히 활용하라.
- 미래 예정표를 작성한다. -> 생활 전반에 걸친 비전이 필요하다.
- 행동 계획표를 작성한다. -> 필요한 실적, 가치 기술, 자격을 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모의 기술 - 머리보다 손이 먼저 움직이는 (양장본)
사카토 켄지 지음, 고은진 옮김 / 해바라기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 자신만의 메모 습관을 만들어 정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 메모를 하면 뇌가 살아난다. "Memo is memory"
- 대인 관계가 원만하지 않다면 타인을 관찰하는 일부터 시작하라.
- 메모는 일정한 체계가 있다. 목적과 주제를 정하고 그에 맞는 구조와 흐름을 만들다 보면 저절로 메모하는 습관이 생긴다.

- 일단 메모한 후에는 다 잊어버리고 수첩만 믿는다. 메모는 나 자신에 대한 '지시'다.
- 나는 생각을 줄이고 대신 펜을 빨리 움직이는 연습부터 시작했다.
- 수첩을 수시로 본다. 잘 쓰려고 하지 말라.
- 리스트를 작성하라. '처리한 일', '기억해야 할 일', ...  이런 식으로 리스트를 작성하라.

- 특히 회의 중에 한 메모는 반드시 다시 읽고, 가능하면 주제별로 정리한다. 중요한 부분에 표시를 하거나 비평을 덧붙여라
- 수첩 크기는 통일하라. 같은 문구나 같은 종류 수첩, 표지에 일련번호 매겨라. 마음에 드는 수첩을 넉넉하게 준비해둬라. 1년에 한 번 백업 작업을 하라.
- 머리 속에 떠오른 생각은 그 자리에서 바로 기록하라.

- 여러분이 속한 부서에서 가장 능력있는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는 일람을 만들어 보라.
- 출근시간, 인사방법, 가지고 다니는 수첩, 패션, 얼굴표정, 기획서, 회의에서의 발언, 앉은 자세 등
- 지루한 회의에서도 다른 사람을 관찰하라. : 이름, 직위, 언어습관, 사고방식, 자주하는 행동, 일에 대한 의욕, 인간성, 신뢰도, ... 

- 기호화 : 표시(별표: 중요사항), 약어(한자, 영문) - 會: 회의, M: 미팅, T: 전화, F:팩스, Add: 주소, @: 메일, * : 반드시 체크할 일, !:아이디어  ...

- 시간 있으면 일부러 혼자 커피숍 간다. 혼자 여행한다. : 메모하는 시간 마련
- 출퇴근 시간에 단 5분이라도 수첩을 펼치고 뭔가 적는 연습해라.
- '이렇게 해주면' -> '상사가 이렇게 대한다면' 기록해 놓고 나중에 그렇게 해라.
- 예전의 메모를 꼭 읽어본다.
- 반드시 우선순위를 정한다.

- 보고서를 위한 메모 : 무엇을 위한 것인지 목적, 성과는 어땠는지 결과 가 있어야, 주제와 목적, 일시, 주요출석자, 구체적인 성과, 만난 사람 등 기록
- 떠오른 생각을 녹음한다.
- 지시한 내용은 그대로 받아 적는다. 그리고 옆에 언제까지? 가능하다면 어떻게 할까? 등 의문점을 아이디어 옆에 기록
- 당사자 앞에서 메모하고 "이렇게 하면 되겠습니까" 하고 물어본다.
- 부하 직원의 행동을 메모한다 - 일람표 작성
- 스케줄이 변경된 경우는 나중에 다시 읽었을 때 변경 사유를 알 수 있도록 지우지 말 것!
- 전화걸기 전에 통화해야 할 내용을 적어본다.

- 각종 세미나나 강연회에 참가하여 자기계발하고 인맥을 넓힌다.
- 노트의 왼쪽 페이지만 사용, 오른쪽 페이지는 공백으로 남겨뒀다가 감상과 아이디어를 덧붙인다

- 긴급 전언 메모 : 크게, 분명하게, 짧게, 간단하게, 용건만, 눈에 띄게

- 간략한 인물 데이터 베이스화
- 명함 교환시 메모하라. (그 자리에서 말고), 언제 어디서 만났는지, 소개자 이름, 상대방의 개성이나 특징 등
- "죄송합니다. 마침 명함이 다 떨어졌습니다. 내일 회사로 보내드리죠." 라 말하고 정중한 사과의 편지와 함께 명함 우송 (클립으로 고정)
- 명함 크기로 된 인물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카드 - 뒷면에는 사과의 글 써서

- 비상시에는 휴대폰 음성메시지 이용, 자동응답기 활용
- 책에 메모지를 끼우고 읽는다.
- 이미지로 메모한다.
- 일기 쓰듯 메모. 오늘의 느낌, 자신에게 일어난 일, 신문 머릿기사, 순간 떠오른 아이디어 등
- 좋은 아이디어는 표시해 둔다. (Time, Place, Occasio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