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벽이라는 중독 - 불안한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토머스 커런 지음, 김문주 옮김 / 북라이프 / 2024년 9월
평점 :

나는 일하는데에 있어서 혹은 나의 개인적인 부분에서조차 완벽하지 않으면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을 20대 후반 정도가 되서야 알았다.
그게 사실 좋지 않은 부분이라는 것도 알았다. 내가 완벽을 추구하다보니 도전하지도 않았고 도전하지 않으면 나는 그 자리에 계속 머물러만 있기 때문이다.
나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을 알지만 이걸 어떻게 바꿔나가고 고쳐나가야할지 정말 고민이 많았다.
그런 내가 조금은 더 편하게 지내기 위해서 혹은 좀 더 효율적인 내가 되기 위해서 변하고 싶은 마음이 가득했다.
책을 펼쳐서 읽었을 때 우선 공감이 가장 큰 부분으로 다가왔다.
완벽주의는 우리 자신의 기준이 아닐 때도 있다.
나는 사실 내 기준에 의해서 자꾸 그렇게 하는 줄 알았는데 다른 사람에 의해서도 생긴다. 그게 자신의 자부심에 의해서도 생긴다고 하니 말이다.
내 기준에 의해서 생기는 부분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난 이게 후자인 것 같다. 자기지향 완벽주의라는 것인데 완벽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아닌 존재라는 생각이 강했다.
그래서 이런 나 때문에 압박감과 강박이 심해졌다.
그게 지속되었고 그런 부분에 있어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책을 읽다보니 여러가지 완벽주의가 있었는데 모든 완벽주의의 성향을 다 가지고 있는 것 같았다.
그래서 결국 우리는 이 완벽주의의 악순환을 끊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내가 통제할 수 있는 것들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 책 속에서도 누차 이야기 해주지만 그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것 같다.
혼자 계속 내가 모든 걸 통제 할 수 없다라고 얘기해줘야 할 것 같다.
나는 소중하고, 이미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라고 다독여줘야 할 것 같다.
이런 부분들이 항상 익숙치 않았고 생각만으로 그치고 말았는데 이젠 좀 달라져야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정말 완벽에 중독이 된 것 같다.
책을 읽고나니 내가 어떤 성향을 가지고 있었는지 그 이유는 무엇이었는지 많이 생각해보게 되었던 것 같다.
나를 스스로 너무 조여온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조금은 내려두고 나를 편하게 해주려고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완벽이라는 부분에 너무 포커스를 맞추고 살았던 내가 조금은 내려둘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았나 싶다.
이 책을 통해서 제대로 배웠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