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저트 사전 - 그 맛있는 디저트는 어디에서 왔을까?
나가이 후미에 지음, 이노우에 아야 그림, 김수정 옮김 / 윌스타일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사실 디저트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아직까지는 말이다.

그래도 커피를 알게 되면서 디저트에도 관심이 가기 시작해서 그 뒤로는 디저트에 대한 것도 꽤나 많이 알게 되었고 어떤 이름을 가진 디저트가 있는지도 알게 되었다.

그렇지만 디저트의 세계는 정말 무궁무진 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아직도 내가 모르는 디저트가 많고 디저트의 역사에 대해서도 들어 본적이 없다.

<디저트 사전> 이 책이라면 알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말 그대로 사전이라는 것은 그 것에 대한 뜻을 풀이하여 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이 너무도 궁금했다. 예쁜 그림도 함께하니 이 보다 좋을 수가 없다.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치즈케이크였다. 

중세 전기 그러니까 제 1회 고대 올림픽에서 트리욘 이라는 디저트를 대접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 트리욘이라는 디저트가 치즈케이크의 조상이라는 말이 있다고 한다.

치즈 케이크는 다른 형태로도 많이 변하기도 해서 디저트가 발전해왔다고도 한다.

책을 읽으면서 전혀 모르던 디저트들도 있었다. 아직 맛보지 못한 디저트들이 이렇게 많은가 싶다. 

겨울이 되면 생각나는 슈톨렌 역시 그렇다. 독일의 대표적인 크리스마스 디저트이며 몽둥이 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의 슈톨렌은 굉장히 매력적인 비쥬얼을 가지고 있고 겨울에 한 조각씩 먹는다고 하지만 크리스마스가 되기 전 다 먹어버린다는 슈톨렌이 정말 유명해지고 있다.

요즘 한국에서도 겨울엔 꼭 필요한 디저트라고 볼 수 있겠다. 

나 역시도 경험해봤지만 커피 한 잔에 슈톨렌 한 조각이면 기분이 전환된다.

그리고 또 하나 한국에서도 유행을 이끄는 중인 에끌레어, 이 디저트는 프랑스 리옹이 발상지라고 한다. 

슈크림 빵인데 원래 에끌레어라는 뜼이 번개, 천둥 이라고 하여 크림이 튀어나오지 않게 먹는 것이 요령이라고 한다.

사실 디저트만 알았지 어디서 시작되었는지 어떻게 먹는 것인지 잘 몰랐다. 에클레어를 한 입에 먹었어야 했다니 디저트 사전을 통해 알았다.

디저트의 역사를 보는 것 같아서 읽는내내 흥미로웠다.


디저트 사전을 읽으면서 모르던 디저트도 알아가고 역사를 알 수 있어 좋았으며 앞으로 디저트에 대한 관심이 더욱 더 많아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뭐든 역사를 알면 더 맛있게 먹고 잘 먹을 수 있는 것 같다. 

마지막에는 레시피와 같이 먹으면 잘 어울리는 와인도 소개되어 있고 그 외에도 디저트 지도도 준비되어 있다. 그래서 한눈에 나라별로 디저트를 구분 할 수도 있다.

흥미로운 디저트들이 정말 많았는데 직접 만들어 보고 싶기도 하지만 진짜 그 디저트를 가서 맛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