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좀 펴고 삽시다 통증 없는 개운한 아침을 만드는 1분 체조
구로사와 히사시 외 지음, 김은혜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일을 하면서 무릎을 아무래도 많이 쓰다보니 무릎이 굉장히 피곤하고 아파오긴 한다.

그런데다가 운동을 하는데 운동이 무릎을 쓰다보니 꽤나 피곤해져있는 상태인데 이걸 어떻게든 보호해보려고 노력중이다.

약이든 뭐든 해보려고 노력은 하는데 아무래도 앞날을 위해서라면 더 열심히 관리를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좀 쉬거나 파스를 붙여주거나 하긴 하지만 계속 움직이거나 서있다보니 이게 쉴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이 책은 가만히 있는 것만이 좋은 방법이 아니라 무릎을 위한 운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실 나도 처음엔 무릎이 괜찮아지려면 최대한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것만이 방법이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이제는 따로 무릎을 위한 운동을 이 책을 통해 배울 수 있으니 앞으로 무릎 건강을 더 잘 지킬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선 무릎에서 아픔이 느껴진다면 의심해봐야 할 증상들이 있었다.

반달 연골 손상, 인대 손상, 인대 파열, 류머티즘 관절염, 대퇴골두 무혀관성 괴사, 통풍, 가짜통풍 등 다양한 증상들이 있다.

약이나 주사만으로는 괜찮아질 수 없다고 한다. 어차피 무릎은 계속 쓰기 때문에 그냥 먹기만 하고 주사를 맞아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아주 단순하게 일시적으로 괜찮아지는 것일 뿐이지 완전히 나아질 수는 없기 때문인데 그래서 근력 강화, 유산소 운동도 해야하며 가동 범위 확대라고 해서 유연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운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사실 가끔 스트레칭을 하다보면 우두득 하면서 아파 올 때가 있는데 이런 스트레칭과 운동이 도움이 된다고 하니 더더욱이 열심히 해야 할 것 같다.


무릎을 사용하는 과하거나 격렬한 운동은 금지가 되어야 한다고 한다. 오히려 격렬한 운동은 무릎 관절에 힘이 들어가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다량으로 분비가 된다고 하는데 그래서 통증이 심해진다고 한다.

이 부분을 참고해서 격렬한 운동이나 움직임은 피해야 할 것 같다.

그래서 물 속에서 운동 하는 것을 추천하기도 했는데 무릎을 오히려 안쓰면 구부리기가 더 힘들어진다고 한다.

그리고 허벅지 힘을 길러야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고 했다.

앞으로 걸을 때는 허벅지 힘을 써보려고 노력해야 할 것 같다.

특히 요즘 서있는 시간이 길어지는데 무릎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리 힘을 길러야겠다고 생각했다.


책 속에는 다양한 1분 운동이 있어서 이걸 열심히 따라해보고 내 무릎의 상태를 좀 더 건강하게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통증도 없애고 건강한 무릎을 만들어서 내가 좋아하는 운동을 더 열심히 계속 할 수 있기를 바래본다.

이렇게 좋은 방법들이 있었는데 움직이지 않으려 했던 내 자신을 이제는 버리고 운동을 꾸준히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앞으로 꾸준히 실천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