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코패스 뇌과학자 - 괴물은 태어나는가, 만들어지는가
제임스 팰런 지음, 김미선 옮김 / 더퀘스트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이코패스에 관해서는 굉장히 관심이 많았다.

<그것이 알고싶다>라는 프로그램만 봐도 프로파일러들이 사이코패스에 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을 보면 태어날 때 부터 사이코패스인 사람이 있고 또 환경에 의해 만들어지는 범죄자들이 많다고 했다.

항상 심리학에 대한 것이나 범죄에 대한 책을 읽다보면 우리 주변에 가깝게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는 존재한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더 궁금하고 알고싶어지는 것 같다.

혹시 알아차리지 못한 부분들이 있는 것인지 말이다.


우선 저자가 어떤사람인지 굉장히 궁금했는데 책을 펼치자마자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저자는 사이코패스 였던 것이다. 

자신이나 자신의 가족의 것이 아니기를 바라면서 확인을 했는데 자신의 뇌 사진과 관련 정보들이 사이코패스와 아주 비슷한 유형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나도 저자처럼 내 주변에 있는데 전혀 모르는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 그래서 더 사이코패스에 대해 알고 싶어졌는지도 모른다.

저자는 과학적으로도 설명해주었는데 뇌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뇌의 상태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었다.

아무래도 의학적인 부분이라서 그런지 완벽하게 이해하진 못했지만 대략적으로 뇌의 어떤 부분이 인간에게 영향을 끼치고 성격과 인격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저자의 어머니는 저자의 가족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했다고 한다.

좋지 않은 살인에 관한 이야기까지 담겨 있었으니 말이다.

저자는 그럼에도 계속 자신에 대해 연구를 하고 또 뇌과학에 대해서 더 깊게 알아가고 있었다.


저나는 마지막으로 결론을 낼 때 사이코패스의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미리 확인해서 우리 사회에 보탬이 되는 사람을 만들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면 하는 것이다.

물론 이걸 미리 파악하려면 많은 시스템을 거쳐야겠지만 앞으로 우리에게 사이코패스는 인류에서 필요가 없는 존재가 아닌 오히려 같이 살아갈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것 같아서 안심이 되었다.

나도 거부감부터 들었고 사람 취급을 하고 싶지 않았던 것이 아니어서인지 책을 읽으면서 여러방면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그래고 나의 뇌도 굉장히 궁금해졌지만 차라리 모르는게 약일 것이다 라는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