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마태우스 > 선진조국의 미래는

 

 

 

 

가끔은 왜 그런 글을 썼을까 후회를 한다. 지금도 후회하는 글 중 하나가, 황우석의 난자파동이 있었을 당시 “윤리 다 따지면서 어떻게 연구를 하냐?”고 딴지에 썼던 글이다. 나 자신이 그렇게 살아왔기에 연구윤리에 대해 별반 고민하지 않고 쓴 그 글은 수많은 욕을 먹었고, 그 욕들이 다 타당해서 더더욱 상처가 되었다. 한심한 것은 내가 난자 채취에 대해 아무런 지식이 없었던 것. 난 그냥, 여자가 배란을 하면 복강경으로 딱 한 개를 뽑는 줄 알았지 호르몬제를 먹여가며 한번에 열 개씩 뽑는 줄은 미처 몰랐었다.


“난자를 채취하고 나서 응급실에 오는 사람이 아주 많습니다. 뱃속에서 생긴 출혈 때문에 골반이 유착될 수도 있고, 세균 때문에 거기 농양이 생길 수도 있어요. 난자가 오염될까봐 소독약을 못쓰거든요. 조기 폐경이 오는 수도 있고...”

오늘 강의를 해주신 선생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난 다시금 내가 쓴 글을 떠올린다. 무식한 놈 같으니...


“배아줄기세포가 실패한 건 차라리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선생님의 말씀은 계속됐다.

“그게 성공했다면 우리나라 여자분들이 계속 난자를 대야 했을 거 아닙니까. 줄기세포라는 게 다 난자를 얼마나 확보하느냐에 달린 거니깐요. 여대생들이 돈받고 알바도 했겠지요. 20대 같으면 난자 20개도 뽑거든요.”

황우석의 쾌거를 보면서 선진조국의 앞날을 상상했던 내게 그는 다시금 일침을 가한다.

“도대체 선진국이란 무엇입니까? 지금 중국이 장기이식의 허브인 거 아세요? 저희 매형이 간이식 수술을 받으러 중국에 갔어요. 사형수 간을 받으려고요. 근데 가보니까 사형수는 하나인데 세계 각지에서 의사가 여덟명이나 와 있더랍니다. 이런 게 좋아 보입니까?”

각막, 심장, 간, 신장... 그런 장기를 위해 사형수는 형장에서 가짜로 사형을 당하고, 병원으로 옮겨져 진짜 사형을 당한단다. 그렇게 이루어지는 간 이식이 연간 3천건이라니 그 규모가 실로 대단하다.


황우석과 같이 일했던 산부인과 의사는 지금 곤경에 처해 있다고 한다. 산부인과에서는 불임환자를 위한 체외수정 때문에 부지런히 난자를 뽑아야 한다. 그 난자를 다 쓰는 건 아닌지라 좋은 걸 골라내고 남는 것을 황에게 줬는데, 가져간 난자가 잘 안 자라자 황이 이렇게 말했다.

“좋은 난자를 주시오.”

그 의사는 괜찮은 것들을 골라 황에게 줬고, 체외수정은 미성숙한 난자를 가지고 했다. 환자가 병원에 난자를 제공하는 건 2세를 낳기 위함, 당연히 성숙한 난자를 써야 함에도 안좋은 걸 가지고 시도를 했으니 결과가 안좋은 건 당연했다. 돈도 적게 드는 게 아니니, 뒤늦게 환자가 그 사실을 알아내고 열이 안받을 수가 없다. 황도 황이지만, 그 의사도 참.


황의 연구가 미국에서 그렇게나 각광을 받은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에선 난자를 가지고 체세포 핵이식을 할 수가 없다. 부시 행정부가 법안 개정에 계속 거부권을 행사하니까. 때문에 하버드같이 능력 있는 곳에서는 속이 탈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들은 언론을 통해 여론을 조성한다. “봐라. 이렇게 가다간 한국 같은 나라한테 특허 다 빼앗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황우석을 영웅시하고, 위인전까지 펴낸다. 미국 신문에 실린다고 위인이 되는 나라, 미국 신문에 실리기 위한 거라면 여성들의 고통엔 아랑곳하지 않는 나라, 뒤늦게나마 그 사실을 지적한 사람을 매국노로 칭하는 나라. 우리가 바라는 선진국은 도대체 어떤 곳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쇄 살인범의 행동 패턴과 유형을 알 수 있는 재미있는 책이긴 한데, 이 할아버지 자기 자랑이 너무 심하다. ㅡㅡ뒤로 갈수록 따분하고 동어반복이다. 이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V Walker Phuket
아쿠아 지음 / 브이북(바이널) / 2006년 1월
평점 :
절판


태국 여행서로 가장 인기 있는 책은 [핼로 태국]이고, 개인적으로도 참 자세히 잘 만든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그 책은 아무래도 나이 어린 학생들과 배낭여행자를 주 대상으로 한 책이라서, 휴양지에서 편히 쉬고, 맛있는 것 먹고, 적당히 즐기려는 직장인이나 신혼부부, 노년층(어차피 연세드신 분들은 개별 여행을 잘 하지 않는 것 같지만)에게는 정보가 부족한 편이다. 책이 좀 무거운 것도 단점이라면 단점.

[AV Walker 푸켓]은 분명히 내용은 더 부실하다. 지도도 부실하고, 숙소정보도 거의 없다. 게스트 하우스는 아예 논외다. 대신에 고급 숙소와 리조트의 전화번호와 대략적인 가격대가 들어있다. 한 마디로 어디에 묵어도 별 차이 없는 좋은 숙소들이니 위치 봐서 예약하고, 그냥 가서 쉬라는 얘기다. [헬로 태국]에는 없는 숙소들이 나온다. 그리고 분위기 좋은 식당, 바, 스파 정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저자가 책머리에 미리 예고한 바다. 이 책은 배낭여행자를 대상으로 한 책이 아니다. 들고다니기 편하도록 매우 가볍고, 푸켓 정보만 나와 있기때문에, 푸켓이나 피피섬의 고급 리조트에서 아침잠을 쫓으며 누워선 오늘은 어디서 뭘 먹고, 어디서 마시지를 받을까 *^^* 하는 행복한 고민을 하기 위해 펼쳐보기 위한 책이다. 아아.. 그런 여행은 언제쯤 가능할까? 크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는 만큼 행복이 커지는 가족의 심리학 토니 험프리스 박사의 심리학 시리즈 1
토니 험프리스 지음, 윤영삼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보고 울어보기는 처음이었다. 문제 없는 가족이 있을까 싶지만, 모든 사람들이 가족 문제로 심각한 고민을 하지는 않을 것 같다. 특히 자신이 문제의 원인인 가족 구성원이라면 행복한 우리 가족에 무슨 문제가 있으랴 생각하지 않을까. 자신때문에 고통받는 다른 가족이 있다는 것은 생각지도 못하고 말이다. 현재 가족 문제로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읽고 펑펑 울지도 모른다. 비단 가족의 문제가 아니라, 친구와 연인 사이같은 인간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게도 추천할 만한 책이다. 
 
강압적인 아버지와 헌신하는 어머니 모두 스스로의 불안때문에 그러한 행동을 하는 것이고, 어떻게 보면 훌륭하게만 보이는 헌신적인 어머니 역시 지극히 이기적인 이유로 자녀들을 구속하고 자녀들의 인생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는 점은 특히 한국의 부모들이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혼을 앞둔 사람이나, 예비 부모도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갑자기 자기소개서와 면접에 관심이 생겨서, 서점 가서 이 책 저 책 읽어보았습니다.

  이 책에 나온 면접 답변 예를 잠깐 보자면 이런 식이더군요.

질문 "시위에 참가한 적이 있는가?"
답변 (일종의 모범답안인가봅니다. 다섯 가지가 소개되어 있는데 내용은 비슷합니다.)
1) 참가한 적은 있지만 저는 운동권 학생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습니다.
2) 학생의 본분인 공부에 충실하려고 나간 적이 없을 뿐 사회에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질문 "남녀평등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기에 대한 답변은 좀 이해가 안 되어서 기억도 안 납니다. @.@

대체로 이런 식이었는데, 저런 이상한 질문을 하는 사람도 있을까? 정말 이렇게 해도 되는 것인가? 혹은 이렇게 해야 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는 사람이 모기업에 취직하였는데, 면접때 질문(?)이 한미FTA에 대한 좌파들의 주장을 반박하라 였다고 하니^^; 저는 반공 교육을 받고 자라서인지 좌파들이 누군지도 모르겠고, 무슨 주장을 하는지도 몰라서 어쩌죠. 허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치 2006-09-04 16: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펌에서도 면접때 저런 거 물어보기도 한다옹.ㅋㅋ갑자기 짜증이 확 올라와서 삐딱선타버렸지만..-_-;;;

수퍼겜보이 2006-09-04 1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구나... 하치 성격에 삐딱선 당연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