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느낌의 공동체 - 신형철 산문 2006~2009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지난 봄에 사 두었던 신형철의 산문집 <느낌의 공동체>를 읽었다.
신문이나 잡지에 연재된 글을 묶어낸 책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철지난 기사에서 이미 헤어진 커플의 열애 사실을 확인하는 것처럼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신형철의 산문집을 이제서야 읽은 이유이다.
처음 몇 장을 읽다가, 펜을 들고 수첩을 펼쳤다. 형광펜과 연필을 번갈아 들어가며 열심히 밑줄을 쳤다. 예를 들면 이런 구절들.
- 진실은, 그것이 참으로 진실인 한에서, 말로 표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인은 함부로 진실을 진술하기보다는 진실이 거주하는 고도의 언어적 구조물을 구축해야 한다. 시는 진실이 표현되(면서 훼손되)는 장소가 아니라 은닉되(면서 보존되)는 장소다.
- 희망을 말하는 시에 마음을 내어준 적이 별로 없다. 크게 부르짖는 희망은 미학적 파탄을 가져오기 쉽고, 낮게 읊조리는 희망에는 어딘가 타협의 냄새가 나기 마련이다. 문학이 희망을 줄 수도 있을까. 문학은 절망적인 세계 앞에서 사력을 다해 절망할 수 있을 뿐이지 않은가.
- 저의 괴벽인지 모르나 시인의 반성에 흔들려본 적 많지 않습니다. 저는 가끔 반성은 서정의 버릇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시인들은 혹시 가벼운 죄를 반성하면서 진정 무거운 죄는 영영 봉인하고 있지 않은가 하고 고약한 의심을 해보기도 합니다.
- 젊은 시인들은 신에 대해 말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신과 대화하기보다는 신을 모독하려 합니다. 상관없습니다. 그것이 그들의 길입니다. 신과의 대화는 우리 시대 큰 어른들의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세계의 참혹에 눈물을 흘리는 데서 그치지 않고 이 엉망인 세계를 누군가는 책임져야 한다고 신을 향해 말할 때'투쟁하는 형이상학'이 시작될 것입니다.
책장을 넘기다 중간중간 멈춰야했다. 신형철이 언급했던 시집을 뒤적이고, 생략된 부분들을 마저 읽고, 시에 대해 공부를 하듯이 2부를 읽어나갔다. 어떤 시집에서, 어떤 시를 찾아읽어도 원고지 스무 장 남짓한 신형철의 사유를 벗어나지 못했다. 펜을 내리고, 수첩을 덮었다. 그의 문장들이 아무리 큰 깨달음을 주어도, 이건 신형철의 깨달음이다. 밑줄을 긋고, 수첩에 그의 문장들을 옮겨 적어도 그것들이 나의 깨달음이 될 수는 없었다. 그저 습관적인 행위로 문학에 대한 열망 따위 남아 있다고 위안하는 것은 옳지 않았다. 그런 부질없는 위안의 도구로 쓰기에 부끄러울 만큼 깊은 사유와 문학에 대한 반듯한 열정이 그 짧은 글들 곳곳에 담겨 있었다.
신형철은 모든 글에서 시와 언어의 본질이 무엇인지 성찰하고, 또 모든 글에서 지금 우리에게 문학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묻고 답한다. 어쩌면 시와 소설을 쓰는 사람들 중 많은 이들이 포기해 버렸을 질문을 끝까지 붙들고, 이 시대에 걸맞는 유의미한 답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많은 시들을 통해 그 답들을 찾아낸 것처럼 보인다. 덕분에 나도 무엇을 물어야 하는지 알 것 같다. 답을 찾으려면 아직 멀었지만 말이다. 또한 여기 실린 모든 글에서 신형철은 그의 사유를 그대로 실천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예술의 언어가 무엇인지 두 번 이해했다. 그가 언급한 시들을 통해서, 그 시들에 대해 말하고 있는 그의 문장들을 통해서. 결국 그는 자신이 말하고 있는 문학의 본질을, 자신의 글을 통해 구현하고 있다. 깊은 내면과 단단하고 좋은 문장을 통해서 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인상 깊은 것은 문학을 향한 그의 지극한 순정이다. 김연수의 어떤 소설들을 읽으며 문득 들었던 이런 느낌을 이 평론가의 글에서 더 절박하게 느낀다. 책머리에 스스로 고백한 바, 문학을 사랑할수록 그는 문학과 더 많이 싸울 것이고, 그 싸움에서 번번히 질 것이라고 했다. 사랑으로 인한 싸움에서 먼저 미안하다도 말하는 이는 잘못한 쪽이 아니라 더 그리워한 쪽이므로. 이토록 지극한 순정을 바치는 남자라니. 대체로 사랑에 목숨을 거는 남자는 찌질하다. 그들은 사랑하는 상대에 대해 알려고 하지도 않으면서 누군가를 사랑하는 자신에게만 몰두해 있곤 한다. 그러나 사랑하는 상대와 끊임없이 소통하면서 순정을 바치는 남자라니, 참으로 근사하다. 때로 그 남자의 순정이 그 대상을 더욱 빛나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