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례사 비평을 넘어서
권성우 외 지음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 권력에 대한 권성우씨의 문제제기를 보면서, 이명원씨의 고된 싸움의 과정을 보면서, 꽤 오랫동안 이 책을 기다렸습니다. 비평이란 것이 베스트셀러의 표지를 장식하는 띠지 이상의 것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난무한지는 벌써 오래, 건강한 젊은 평론가들이 날카롭고 도발적인 비평을 해주기를 기다리는 사람은 저뿐이 아니었겠지요. 책이 나왔다는 것을 알고도, 꽤 시간이 지나서야 책을 사게 된 것은 전적으로 내 게으름 탓이겠지만 책을 펼친 후 건성건성 책장을 넘기게 된 것은 무엇 탓이라고 해야 할까요?

이 책의 유명세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나의 오래된 기다림에도 불구하고 <주례사 비평을 넘어서>라는 책 속에서 나는 진지한 문학적 반성과 건강한 비평의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읽어내기 어려웠습니다. 물론 그들의 시도가 얼마나 값진 것인지, 그것들 자체가 얼마나 의미 있는 것인지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서는 내가 기대했던 것들을 충족하기 어려웠습니다. 신경숙에 대한 비평의 비평의 핵심 내용은 대부분, 왜 그들은 신경숙에 대한 비판을 하지 않았는가입니다. 물론 대다수의 평론가들의 한 작가에 대해 상찬의 말만을 퍼붓는 것은 당연히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신경숙 소설에 대한 비평을 제대로 비평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없는 내용에 대해 아쉬워하기보다는, 그들이 과잉 해석하고 있는 부분들, 지나치게 가치가 부여된 부분들에 대해 더욱 집중해야 하지 않을까요? 신경숙 소설의 해설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용에서 비판의 대부분은 그녀의 한계를 제대로 지적하지 않았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녀의 소설을 해석해낸 내용이 어디가 문제인지를 독자들은 읽을 수 없었지요.

전경린의 소설평에 대한 비판 역시 그러합니다. 비판의 대상이 된 평론가의 경우 정경린의 단편들의 경우 그 가치를 인정하고 있고, 장편의 경우는 그것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글 한 편을 구성했습니다. 물론 단편집이 문제의 장편보다 먼저 나온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작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겠지요. 그렇다면 평론가가 먼저 비판했던 장편에 대한 판단이 단편에 대한 긍정으로 모두 사라지는 것일까요? 저는 그 글들을 보았지만 그렇게 읽히지는 않았습니다.

전경린의 초기 단편에 저 역시도 흥분했었고, 이후 그녀가 발표한 장편들에 실망했기때문에, 그러한 실망에도 불구하고 <염소를 모는 여자>에 대한 애정은 사라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요. 아마도 그 평론가는 전경린의 작품 세계를 설명하면서, 단편들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했기 때문에, 그것을 중심으로 긍정적인 서술을 했던 것은 아닐까요?

소설과 마찬가지로 평론 역시 작가의 창작이라고 배웠습니다. 소설은 세상을 소재로 하고, 평론은 이미 나온 작품을 소재로 하지만, 평론은 단순히 문학 작품에 대한 해설 그 이상의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래서 평론가는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선명하게 보여주는 작품을 선택하여 자신의 논리에 재창작하는 것이지요. 어떤 이는 작품에 대한 비판과 반성을 중심으로 글을 쓰는가 하면, 어떤 이는 작품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것의 의미를 알려주는 글을 쓰기도 합니다. 이 모두가 평론의 역할이겠지요.(물론 우리 평론계에 지나치게 비판과 반성이 부족한 것은 너무도 명확한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여기서 대상으로 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옹호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특히 주례사 같은 작금의 비평 현실을 옹호하려는 것은 더더욱 아니지요. 다만 이 젊고 건강한 비평가들의 인식이 작품(그것이 소설이든, 평론이든) 내부로 더욱 튼실히 들어가서, 보다 활기 있는 문체로 재구성되기를 바라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기대보다 컸던 아쉬움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건강한 비판과 깊이 있는 반성을 기대하게 되는 것이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