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름다운 정원
심윤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린아이가 커가는 과정을 보는 것은 무척 흥미롭다. 그것이 영화든, 소설이든, 드라마든 그 조그만 주먹을 꼭 쥐고 세상과 정면대결하는 아이를 보고 있으면, 언제나 마음 한쪽에 통증이 느껴진다. 정확한 때를 알 수 없는 과거의 어느 한 순간, 나도 꼭 그렇게 세상과 대치하고 있었을 것만 같다.

<나의 아름다운 정원>은 난독증을 앓는 동구의 이야기이다.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 한국 근대사의 격동기를 살아간 인왕산 자락의 어린 동구의 이야기. 그 이야기는 꼭 그 당시 한국 정치가 겪어내야 했던 진통만큼의 상처를 동구의 삶 속에 조용히 부려놓는다. 유난히 고부갈등이 심각하고, 유난히 아버지는 권위적이고, 유난히 동생은 총명하고 사랑스러운, 그런 집안에서 4학년이 되도록 글자를 깨우치지 못한 동구의 삶은 그 집의 소란만큼 팍팍하다.

동구의 난독증을 유일하게 이해하여,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깨우쳐준 선생님은 80년 광주 한 복판에서 홀연히 사라져버리고, 동구에게 가족의 애정을 온 몸으로 알려준 사랑스런 아이 영주는 감나무 아래서 먼 세상으로 추락하고 만다.

어린 동구가 애처롭게 마루를 닦으면서, 그 슬픔을 견디고 있는 동안 할머니와 엄마의 갈등은 치유불가능할 정도로 커지고, 그 속에서 아버지는 갈수록 힘을 잃어갈 뿐이다.
동구를 향한 작가의 애정은 그대로 독자들에게 전염된다. 허물어진 가정을 회복하기 위해 고민하던 동구의 해결책은 아버지의 그것보다 훨씬 현실성있으며, 구체적인 대안이었고, 그 순간 내내 안쓰러웠던 동구는 훌쩍 커 버린다. 너무 일찍 큰 아이를 볼 때면, 그 대견함 때문에 오래 마음 아플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확인되는 순간이다.

중간중간, 도무지 나이를 알 수 없는 영주의 조숙한 발언 때문에 책장을 넘기는 것이 머뭇거려졌음을 고백한다. 그 아이의 영특함이 소설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해도, 독자로서 그것때문에 마음이 불편했다. 어쩌면 나는 조금의 시샘도 없이 온 마음으로 동생을 사랑하는 동구를 대신하여 영주에게 질투를 느꼈던 것일까.

그리고 제목으로 주어진 아랫동네의 아름다운 정원은 소설에서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는 것 같다. 능소화나 곤줄박이 등 어린 아이에게 낯설기만 할 그 이름들이 동구의 의식 속에서 툭툭 튀어나올 때, 지나치게 어른스럽기만 한 정원의 풍경 묘사가 길게 반복될 때, 나는 책장을 건성으로 넘겨야 했다. 그런 이질적인 정원이 없이도, 동구는 충분히 아름다운 꿈을 꿀 수 있는 영혼을 가진 아이임을 작가가 믿어주지 못할 것은 아니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장을 덮고, 나는 동구 대신 그 아이의 성장통을 대신 앓는다. 70년대 후반을 동구보다 조금 어린 나이에 통과해온 내 기억 속에 어렴풋하게 존재하는 몇몇의 흑백사진들. 대통령이 죽었다고 통곡을 하던 동네 할머니들의 모습이 그 통증 바깥에, 이질적인 통증으로 느껴졌다가, 사라졌다. 80년 광주 외곽에서 어린 동생을 등에 업고 무한정 서성거렸다는 외할머니의 회고가 내 일상과 연결되어 있었음을 아주 잠시 생각했다. 그리고 오래도록, 아직 어른이 되지 못한 나는 동구가 미리 겪은 성장통으로 가슴을 부여잡고, 세상을 살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