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그늘 아래
이혜경 지음 / 창비 / 2002년 4월
평점 :
언제부터인가, 착하다는 말은 더 이상 칭찬이 아니다. 자신의 목소리를 제대로 내지 못하고 늘상 머뭇거리는 사람에게, 이것저것 다른 이의 부탁을 제대로 거절하지 못해 몸 담고 있는 곳은 많으나 어느 것 하나 똑부러지게 해내지 못하는 사람에게, 우리는 흔히 착하다고 한다. 친한 친구 누군가는 너무 착한 아이임에도 불구하고, 착하다는 말을 극도로 싫어했다. 누군가 자신에게 착하다고 하면, 또 자기를 어떻게 이용할까 하는 생각이 먼저 든다고 했다. 그 이후 나는 남에게 착하다고 말하지 않게 되었다. 어느 때부터인가 나에게 더 이상 착함은 미덕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혜경의 소설을 읽으면서, 이 작가는 참으로 착하구나 생각한다. 한 문장 한 문장에서 읽어지는 작가의 선함이 나에게는 더할 수 없는 매력으로 다가온다.
<우리들의 떨켜> 이후 단편집 <그집앞>과 이번 소설집에 이르기까지 이혜경의 소설을 빼놓지 않고 읽으면서, 나는 늘 작품 속에 등장하는 그녀(혹은 그)들의 신산스런 삶의 내력때문에 오랜 몸살을 앓았다. 산동네 허름한 판자집에서는 환한 햇볕조차 서글픈 몸살의 원인이 됨을 나는 이혜경의 소설을 읽으면서 이해했다. 여자들의 수다가 얼마나 깊은 슬픔을 담아낼 수 있는지 알아갈수록, 그 수다 뒤에 올 긴 침묵의 무거움 때문에 어깨가 저려오기도 했다.
<꽃 그늘 아래>에 실린 단편 중 대부분을 계간지를 통해 읽었으면서, 나는 오래오래 그 소설들을 다시 읽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강릉에 다녀왔고, 제주에 다녀왔다. 제주의 밤바다가 내려다보이는 비행기 안에서, 나는 잠깐 영모의 영혼과 마주친 것도 같다. 이따금 이상 기류 때문에 비행기가 흔들렸다. 자신의 사랑을 시험한 죄를 온 몸으로 앓고 있는 서연의 선한 심성 때문에 나는 비행기보다 더 흔들렸다. 한 문장 한 문장 밑줄을 그으면서 읽고 싶었지만, 나는 펜을 들지 않았다. 잊어버리고 싶었다. 그런 신산한 삶의 내력 따위와 거리를 두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갯마루를 넘고, 두 친구가 전화로 주고 받는 수다를 들으면서, 나는 다시 이혜경이 그려내는 그 서늘한 그늘 속 풍경 속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었다. 그 곳에 오래 서 있다가는 마음 한쪽이 허전해지는 특이한 병을 앓게 되리라, 길을 걷다가 드문드문 보이는 세상의 허점들에 시선을 두게 되리라, 충분히 짐작하면서도 나는 이혜경의 소설을 가방에 넣고 또 몇 날을 더 보낼 것만 같다.
몇 잔의 커피 값을 아껴 책을 샀을 독자들의 반응을 염려하는 작가의 말이 형식적인 겸손이 아니라는 사실은 한 편의 소설만으로 충분히 알 수 있다. 오래 시간 머뭇거리며 골랐을 부사어 하나에는 자신의 눈이 포착한 현상 이면을 깊이 응시하는 작가의 성찰이 느껴진다. 그 시선은 아주 선하다. 세상 무엇에도 자신의 편견을 강요하지 않고, 그늘진 자리를 다독일 수 아는 선함. 이것은 그 동안 특정한 성에게 강요되어온 착함, 그 이상의 것이다. 그 선한 눈으로 그려지는 소설 속의 세상에는 그늘 속에서도 자신의 자리를 뚜렷하게 지키고, 나직나직 제 목소리를 내고 있는 다양한 인물들이 있다. 그 인물들에게 손을 내밀어 인사하고 싶은 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