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광인 - 상 - 백탑파白塔派, 그 세 번째 이야기 백탑파 시리즈 3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하광들의 열정이 만들어낸 한 권의 책. 

 

  ‘연암 박지원’하면 바로 떠오르는 것이 ‘열하일기’이다. 국사시험을 하루 앞두고 항상 ‘박지원-열하일기’를 달달 외웠던 기억이 있다. 그 당시엔 열하일기에 관한 지식도 없었으며, 그 도서에 어떤 것들이 기록되어 있는지도 알지 못했다. 그렇게 열하일기에 대한 것이 하나도 없는 상태로 이 책을 만나게 된 것이다. 제목 ‘열하광인’을 보고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떠올린 것만으로도 대견스러울 정도였다.




  백탑파 시리즈의 세 번째 이야기. 그게 바로 [열하광인]이다. 벌써 마지막 이야기라니. 사실 첫 번째 이야기도 두 번째 이야기도 읽어보지 못 했다. 하지만 이제야 그 책에 대한 관심이 생겼고 첫번째 이야기, 두번째 이야기도 읽고 싶어졌다. 열하광인을 읽고, 백탑파 시리즈에 빠져버렸기 때문이다.

 

...정조는 그 겨울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금서로 꼽으며 백탑파에게 자송문을 바치라는 명을 내린다. 지금까지 연마한 패관소품체를 버리고 고문체를 받들라는 것이다. 정조에 대한 백탑파의 믿음이 금가는 순간이었다...


  역사에 기리 남을 정도로 유명한 열하일기가 한 때는 금서였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하지만 ‘단 한 권의 금서가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11p 란 글귀를 보면 당시에도 열하일기란 금서의 파장은 대단했던 것 같다. 하지만 역시나 이 책은 열하일기와는 완전 다른 이야기이다. 열하일기라는 금서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 같지만, 열하일기에 대한 완전한 이야기도 아니다. 열하일기에 미친 사람들, ‘열하광人’의 이야기이다.



  금서이기 때문에 더 사람들에게 매력적일 수밖에 없었던 열하일기. 이 책은 열하광 모임의 한 사람이며 의금부 도사인 이명방을 중심으로, 열하광 내에서 발생한 의문의 살인사건에 대해 풀어나간다. 열하광 모임의 사람들이 하명씩 살해당한다. 그 범인으로는 같은 열하광 모임의 한 사람이 이명방으로 지목되고, 이명방은 자신의 누명을 벗기 위해 또 의금부 도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진짜 범인을 찾아나가는 것이다.


이 책은 혼돈을 일으키는 불꽃이다. 어느 대목을 읽든지 처음에는 뜻밖의 온기에 휘감겨 허리를 숙이고 콧잔등을 책에 댄다. 그러나 곧 두 눈과 열 손가락과 단 하나의 심장이 타들어 가듯 뜨거워진다. 허리를 젖히며 고개를 치켜들고 긴 숨을 몰아쉰다. 이것은 다르다. 지금까지 읽어 온 적당히 단정하고 감당할 만큼만 느낌을 담은 책이 아니다. 이 책은 읽는 이에게 어떤 배려도 하지 않고 성난 사자처럼 단숨에 목덜미를 깨문다. 그 참혹한 상흔을 입기 전과 입은 후가 어찌 같을 수 있으리.


   한 때는 금서였지만 ‘열하일기’에 열광한 사람들이 있어 지금까지 전해져 오리라 생각한다. 이 책은 단순히 의금부 도서 이명방이 자신의 누명을 벗기 위해 범인을 추리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열하일기에 열광하는 한 사람으로서의 마음이 더 잘 나타나 있다. 열하광 모임의 사람들이 하나, 둘씩 살해당한 것도 다 그런 이유일 것이다. 이 책을 읽다보며 열하일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언젠가 ‘열하일기’도 접할 수 있기를···


  때로는 한 권의 고서가 되어 역사를 알려주는 듯 하면서도, 때로는 흥미진진한 추리소설이 되어 이야기를 이어가고 있다. 고서의 분위기를 띄고 있는 것처럼, 이 책엔 생소한 우리말들이 나온다. 무려 500개가 넘는 각주가 그것들을 설명해 주고 있다. 생소한 단어 때문에 흐름이 깨지고, 책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책을 한 장,한 장 넘기다 보면 작가의 노력이 눈에 보이며, 새로운 우리말들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일 것이다.


  끝으로 이 책은 단순한 추리소설이 아니라는 점을 덧붙이고 싶다. ‘범인이 누구인가?’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열하일기에 대한 많은 이들의 열정[熱情]’에 초점을 맞추고 이 책을 읽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