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예찬
장석주 지음 / 예담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여름이 되면 추리소설이나 미스테리 소설을 많이 찾게 되는 반면에 가을엔 에세이나 산문집 등이 땡긴다. 무더운 여름철엔 등골이 오싹해 질 정도로 긴장감이 느껴지는 책을 원한다면 선선한 가을엔 좀 더 마음에 여유를 느끼는 책을 원하기 때문이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가을을 앞두고 있는 이 때 집어 들게 된 책이다. 이 책의 저자인 작가 장석주에 대해 아는 것도 없었다. 하지만 오로지 여유를 갖고 책을 읽고 싶다는 신념 하나로 읽기 시작했다.


  산문집들을 보면 글을 정말 사랑하는 구나하는 생각이 드는 것들이 있다. 산문집이라는 자체가 간결한 글들과 아름다운 글들이 줄을 이루기 때문에 그런 글들에서 감동을 받는 것이 대부분이다. 사실 내가 산문집을 좋아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추리소설처럼 머리를 쓰면서 읽지 않아도 되고, 그렇다고 문체들이 딱딱하고 교훈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자신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편지를 쓰듯 써내려간 이 책은 간결하고 아름다운 글 투성이 었다. 작가가 좋아하는 시들이 짤막하게 써져 있을 때도 있었고 자신의 작시가 써진 경우도 있었으면 자신이 겪었던 일들이 쓰여 지기도 했다.


  나는 가끔 작가들은 어떤 책들을 읽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그들은 자신이 책을 쓰는 한 사람으로서 좀 더 수준 높은 책들을 읽지 않을까 하는 것이 내 생각이었다. 그런 궁금중을 풀어주듯 이 책에서는 저자 장석주가 읽는 책 이야기들이 나와 있다. 언제 한번 그 책들을 읽고 싶을 정도이다. 이렇게 이런 저런 두서없는 말들도 사소한 일들도 나와 있다. 또한 봄과 여름, 가을, 겨울. 이렇게 네 에피소드로 나뉘어져 있는 이 책은 네 계절의 향기와 풍경들이 서려 있다.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모습의 저자와 자연과 함께 살아가고픈 독자인 나의 결합으로 이 책은 더 아름다워 보였던 것 같다.


  하지만 언제나 그런 이야기들이 흥미롭지만은 않았다. 때때로는 반복되는 일들이 지겹기도 했으면 약간은 딱딱한 문체가 어렵게도 느껴졌다. 왠지 다른 산문집과는 다른게 긴 여운이 담겨 있지 않은 것도 같았다. 아직 여러 산문집을 접해 보았지만 좀 더 가슴에 와닿는 글들이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냥 이런저런 이야기가 아닌 좀 더 가슴 따뜻한 이야기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