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개
양쯔쥔 지음, 이성희 옮김 / 황금여우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보고 사자개는 사자일까? 개일까? 하는 생각과 엄청난 두께구나. 하는 생각이 교차하였다. 사자개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던 내가 지금은 왜 이렇게 창피한 건지.. 사자개란 개가 있는 줄은 이 책을 보고 난생 처음 알았으니 정말 난 개와 무슨 원수 지간인가 싶었다. 개라면 워낙에 끔찍이 싫어해서 친구들이 ‘넌 왜 그렇게 개를 싫어하냐?’라고 물으면, 즉각 ‘징그러워’라는 말을 내뱉던 나였다. 항상 개를 보면 피하고, 개는 나만 보면 달라 들고... 이렇게 개와는 적대시하며 살아왔던 내가 사자개라는 엄처안 분량을 자랑하는 이 책을 보고 허거덕 놀란 사실은 지금 생각해보아도 웃기기만 하다.




 사자와 개를 오묘하게 섞어놓은 듯한 사자개. 그런 사자개를 지금도 볼 수 있었다면 이 책을 이해하는 데 더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뒤로 하고 사자개라는 엄청난 양의 책을 펼쳤다. 첫 장엔 저자가 이 책을 쓴 동기와 책의 또 다른 주인공인 저자의 아버지의 ‘사자개 사랑’이 쓰여 있었다. 저렇게 덩치가 큰 개가 뭐가 좋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사자개에 대해서 아는 것이라곤 없는 내가 사자개의 매력을 일단락 짓기엔 무리였다. 이 책을 읽고 사자개의 매력을 찾기가 이 책을 읽는 나의 가장 큰 숙제였다.




 흔히 사람들과 가장 친한 동물은 개라고 뽑는다. 이 책은 사람과 친근한 개가 넘쳐나는 티베트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사자개들은 마치 사람을 악마로부터 보호하는 수호천사 같았다. 티베트엔 개뿐만 아니라 늑대도 많다고 하니 사자개들은 티베트에선 없어선 안 될 존재인 것이다.




 티베트의 초원을 배경으로 사자개 깡르썬거, 검은 사자개 나르, 궈르, 따지라이바와 아버지(한짜시)를 중심으로 돌아갔다. 한인 기자로서 티베트에 온 아버지와 천국의 과일을 위해 자신의 원수 부락으로 따라간 샹아마의 일곱 아이들과 그들의 개 깡르썬거. 천국의 과일이 있을 것이라 믿고 따라간 곳은 일곱 아이들과 깡르썬거에게 편안한 천국이 아닌 싸움을 부르는 장소였다. 그 곳에서의 벌어지는 치열한 생존싸움들. 어쩌면 사자개의 싸움과 사자개와 사람의 사랑이 전부인 책이지만, 그들로 인해 사랑과 용서의 자세를 알게 해 준 책이였다.




 샹아마에서 온 사자개 깡르썬거가 그들의 원수 부락인 시제구 초원의 대왕이 된다. 사자개 깡르썬거의 적인 시제구 초원의 모든 사자개들. 하지만 깡르썬거는 그들의 대왕을 이기고, 복수와 원한으로 찌든 음혈왕 당샹나찰도 이기게 된다. 이긴 자를 따른다는 사자개의 법칙에 의해 깡르썬거를 시제구 초원의 대왕으로 받아들인다. 지금은 아마 많은 사람들이 티베트와 사자개를 잘 알지 못할 것 같다. 그의 원인이 인간이라는 것을 상기시키면 사자개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든다.

 

 사자개는 늑대와는 정반대이다. 충성스럽고 은혜를 갚을 줄 알며, 정의를 위해 서슴없이 나가 싸우고, 두려움을 모르며 용감무쌍하다. 늑대는 평생 자가 이익만을 위해 싸우지만, 사자개는 일생 타인의 이익을 위해 싸운다. 늑대는 자기 배를 하늘처럼 여겨, 제 뱃속을 불리기 위해 싸운다. 하지만 사자개는 옳은 길을 하늘처럼 여겨, 충성과 도리와 책임을 위해 싸운다.-p.15




 사자개는 자신의 주인을 위해서라면 목숨도 아깝지 않은 존재라고 한다. 주인을 위해서라면 목숨을 바칠 준비가 언제든지 돼있는 존재. 이런 책임감 있고 늠름한 개라면 언제든지 자신의 곁에 두고 싶을 것이다. 이것이 나의 가장 큰 숙제였던 사자개의 매력에 대한 답일 것이다. 하지만 이젠 그런 사자개도 볼 수 없다는 점이 너무 아쉽다. 한편 자기 이익만을 위해 싸우는 늑대의 모습이 우리 인간의 모습과도 닮은 듯 하다.




 모든 책들을 접할 때 그렇듯이 이 책도 기대 반, 걱정 반으로 읽었다. 낯선 중국문학에 잘 알지 못하는 티베트땅과 사자개. 그럼에도 많은 찬사가 있었던 이 책을 읽는 자체만으로 모험을 하는 듯 했다. 또, 마치 한 권의 고서를 보는 듯 했다. 중국의 문화와 정신이 깃들여 있는 그런 책 말이다. 문체는 약간 딱딱하게 흘러가서 보는 내내 어렵다고만 느껴졌다. 이것이 바로 중국문학의 특징일까. 아니면 번역하면서 이렇게 딱딱한 문체가 탕생한 것일까. 중국문학을 처음 접한 나로썬 섣불리 단정지울 순 없겠지만, 앞으로 중국문학을 접할 기회가 또 온다면 딱딱한 문체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지 않을까.




 독자들이 어마어마한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왜 그렇게 칭찬들을 아끼지 않았는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 처음 접해보는 중국문학인지라 그런지, 개라는 종족과는 별로 친하지 못해서 그런지는 모르지만 읽는 내내 지루하다.라는 생각이 자리 잡았다. 용감무쌍한 사자개들의 이야기가 두께의 기세에 눌린 듯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순식간에 읽어버린 내가 신기하기도 했다. 사자개란 낯선 개에 대한 호기심 때문이었을까. 그것은 아직도 의문으로 자리잡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