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내 안의 창의력을 깨우는 일곱가지 법칙
켄 로빈슨 지음, 유소영 옮김, 백령 감수 / 한길아트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요즘들어 더 창의성의 중요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 것 같다. 그래서 이 책을 통해 창의성을 키우는 법 좀 알 수 있으면 했다. 그런 마음가짐으로 책을 펼쳤다.




 옆에서 많은 기계들이 돌고 있다. 기계적인 현대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요즘 더 강요되고 있는 것이 창의성. 즉 이 책의 주소재이다. 어찌보면 지금도 열심히 돌아가고 있는 이 기계들 전부가 사람들의 톡톡 튀는 창의성 덕분에 탄생한 것들이기도 하다. 하지만 창의성이란 자신의 개성과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던 내가 과연 이 책을 읽고 창의성이 길러질지 의문이었다.




 학교에서도 창의성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창의성에 대한 말을 일절 하지 않으니 창의성을 혼자 기르는 수 밖에.... 사싱 창의성을 남에게 배운다는 생각 자체가 잘 못 된 것일 수도 있겠지만, 이 책을 보고 창의성이 길러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변함 없었다.




 음.. 우선 이 책이 창의력을 키우는 데 도움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제목은 내 안의 창의력을 깨우는 일곱가지 법칙이지만, 법칙이라기 보다는 창의력에 관한 이야기들을 하고 있다. 어떤 것들이 창의력을 저해하는지와 창의력에 대한 사람들의 오해들을 말하고 있다. 창의력을 키우는 직접적인 법칙은 나열해 있지 않지만, 창의력을 키우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말하려 했던 것은 창의력을 기르는 법도, 창의력에 대한 자잘한 설명도 아니었다. 창의력을 억누르는 교육제도에 대해 말하고 있었다. 공부를 잘 하는 사람이건 못 하는 사람이건 그들에겐 자신만의 창의력이 있을 것인데도 그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로 지금의 교육방식이라는 것이었다. 왠지 많은 공감이 가면서도 무서운 느낌이 들었다.




 학교에서 보는 시험마저도 교과서를 통째로 외우면 백 점을 맞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수학과목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웬만한 건 다 외우는 것으로 끝낸 나였기 때문에, 그런 단순암기가 창의성을 키우는데 방해가 된다는 말에 크게 공감했다. 창의력을 중시한다면서 우리 눈앞에 보이는 졸업장이 더 큰 위력을 보인다는 사실은 참 착잡하게 다가왔다. 단순한 논리력이나 암기가 아닌 창의력을 더 발달할 수 있는 교육 체제로 나갔다면 이런 책도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단지 창의성이나 좀 키울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펼쳐든 책이 전현 다른 방향으로 나가고 있는데 몹시 당황했다.(전혀 다른 방향은 아닐지라도 생각지도 못한 내용이었다.) 제목만 본다면 누구나 당연하게 창의력을 키우는 방안들을 내세우지 않을까 생각할 것이다. 생각했던 것 외에 것들을 이 책에서 알게 되었다는 점에선 뒷 표지의 극찬들이 무색하지 않을 테지만 전혀 생각지도 못한 것들을 이렇게 많은 글들로 읽으니 속았다는 기분이 들었다.




 창의적인 인재를 기루기 위한 일곱 가지 법칙. 이라는 제목을 내세웠다면 이런 속았다는 기분이 들지는 않았을 것이다. 적어도 창의적인 인재를 기루는 일은 나와는 별 상관이 없어 이 책을 아예 보지도 않을 것이니 말이다. 창의적인 인재를 기루기 원하는 사람들은 이 책을 보고 극찬을 해댈 태지만, 창의력을 키우는 방법을 기대하고 있는 사람은 이 책의 제목만 보고 속지 말았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