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소녀 두 번째 이야기 - 파울리나 & 쟈쟈
왕원화 지음, 신주리 옮김 / 솔출판사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어느 날부터인가 '틴에이지(teenage)같다. 틴에이지스럽다.' 라는 말을 자주 쓰는 것 같다. 실은 나도 아직은 십대 청소년이면서 말이다. 틴에이지스럽다.라는 말을 사용하면서 별로 좋지 않은 뜻으로 사용한 것 같은데.... 이 땅의 십대 청소년들은 모두 흔히 말하는 '개초딩'인가.

 

 자자. 십대에 관한 얘기는 여기까지 하도록 하자. 십대는 나쁜 것이 아니다. 초딩이라는 시절은 더더욱 나쁜 것이 아니다. 나에겐 한낯 추억에 불과하지만 말이다. 그럼 내가 십대에 관한 얘기를 왜 꺼내었을까? 그 이유는 이 책에 대한 표지를 지적하기 위함이다. 이 표지를 딱 보는 순간, 와 또 가볍고 흔한 연애소설에 불과하겠지. 하는 생각과 연애소설을 오랜만에 읽는다는 기대감에 들떠있었다. 프롤로그에 해당하는 첫 에피소드를 읽었을 때, 주인공들의 나이가 십대가 아닌 삼십대라는 걸 알았을 때, 틴에이지스러운 소설은 아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에피소드를 하나, 둘 읽어갈 때마다 조금씩의 실망감과 지루함이 느껴졌다. 아직 십대인 나는 어른들의 세계를 잘 알지 못한다. 어른들의 세계라고 해서 말이 좀 이상하긴 하지만, 어른들에게는 흔한 결혼생활과 관련된 것이다. 결혼생활과 섹스. 그 두가지엔 아직 무지한 십대인 나는 이 책에 대한 지루함을 느끼게 되었다. 매일 남자들과의 파티에서 섹스를 하는 얘기만 하는 파울리나와 결혼 5개월만에 이혼한 쟈쟈의 이야기. 나에겐 그저 따분하게만 느껴졌다.

 

 이 책에 대해 한 글자로 표현해 보자면 '낚였다'이다. 그저 겉모습에 불과한 표지에 낚여서 내심 기대를 한 나였다. 뭐. 기대를 하면 실망도 하는 법이니 이정도야 뭐 괜찮다. 많은 기대를 하고 많은 실망을 한 책들은 더러 있으니까 말이다. 이 책에 대해 좋게 말하면 내가 알지 못한 어른들의 세계를 잘 보여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도 그 작가의 매력이라 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이 책을 다 읽은 후 내 종합적인 의견은 표지만 보고 이 책을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추가로 이 책의 전편으로 이 작가가 유명해졌다고 해서, 이 책 또한 이 작가에게 유명세를 안겨줄 것 같지는 않다.) 이 책도 이 책만의 매력이 있지만, 내가 아직 잘 이해 못한 것일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을까 말까 망설이는 사람들에게 그닥 추천해주고 싶지는 않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