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윈의 실험실 - 위대한 《종의 기원》의 시작
제임스 코스타 지음, 박선영 옮김 / 와이즈베리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
누구라도 다윈 같은 실험가가 될 수 있고,
자연 세계를 좀 더 가까이에서 관찰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찰스 다윈(Charles Robert Darwin)은 1800년대의 생물학자로 '진화론'의 초석을 마련한 생물학자이다. 그는 '진화론'이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멸종했던 동물들과 오늘날의 동물들 사이의 관계, 그리고 그것이 생명체가 자연진화를 통한 진화를 선택했기 때문이라는 내용을 담은 <종의 기원(The Origin of Species)> 에 대해 이야기 했다. 다윈의 진화론은 과거의 질서가 없고 복잡한 생명체로부터 오늘날의 인간에 이르기까지, 무질서한 원자들이 어떻게 결합하고 만들어졌는지를 설명하고 있는데 다윈이 진화에 대한 해답을 그의 작은 실험실에서 얻었다는 사실은 꽤 흥미롭다.
찰스 다윈의 '진화론'은 오늘날 생물학의 초석이 되는 이론으로 이미 너무나 많은 학술 저서에 담겨있지만, 그가 어떻게 이 위대한 진화론을 발견했고, 어떻게 연구했는지, 또 인간 다윈은 어떤 사람이었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다윈의 실험실>은 바로 이러한 점에 주목했다. 다윈이 실험을 행하던 곳, 그리고 다윈이 생애를 보낸 대부분의 공간인 그의 실험실에서부터 이야기는 시작된다. 다운하우스 시골집의 서재와 복도, 그리고 정원 등 집안 구석구석은 모두 그의 실험실로 사용되었다.
비글호에서 다윈이 했던 청년 특유의 발랄한 실험들은 장난삼아 즉흥적으로 행한 것도 있었겠지만, 그런 것조차 그가 얼마나 호기심 많은 사람이었는지, 모든 것을 직접 경험하고 배우기를 열망한 사람이었는지 보여준다. 이구아나를 던진 다윈도, 어떤 흥미롭고 특별한 현상 앞에 눈을 반짝이며 자신이 발견하고 생각하고 관찰한 것을 노트에 채워가던 다윈도 결국 같은 사람이었다.
<다윈의 실험실>, 51p
<다윈의 실험실>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실험들은 다윈이 얼마나 실험 정신이 강하고 지적 호기심으로 가득차있는 학자인지 알려준다. 그의 실험은 결코 간단하거나 짧은 여정이 아니었지만, 그는 언제나 다정한 모습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덩굴식물의 손이 뻗어 나오는 것을 몇 시간동안 꼼짝없이 지켜보기도 했으며, 눈과 귀가 없는 지렁이들이 주변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알아보기 이해 피아노를 치기도 했다. 오리의 발바닥에 얼마나 많은 개구리밥이 붙는지 알아보는 엉뚱한 실험을 하기도 했다.
다윈이 행한 수많은 실험은 그 혼자만의 업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그의 일곱명의 자녀는 기꺼이 그의 충실한 조수가 되어주었고, 친구, 사촌, 조카, 집사, 독자 등 그는 누구라도 그의 연구에 참여시켰다. 그는 눈과 귀를 닫는 고집센 학자보다는, 동료들에게 수시로 조언을 받으며 이를 검증하는 작업을 거치기도 했다. 또 독자들과 수시로 편지를 주고 받으며 수많은 자료를 수집하는 등 '소통하는 학자'의 면모를 보여줬다.
<네이처>의 독자들은 이후 비슷한 경험담을 다윈에게 계속 편지로 보내왔다. 다윈은 그 편지들과 자신이 추가로 찾아낸 자료를 엮어서 1882년 4월 초 <네이처>에 실었다. 그리고 곧 다윈이 세상을 떠나면서 그 글은 그의 마지막 출판물이 되었다. 이렇게 다윈은 다운하우스를 떠나지 않고도 혼자 힘으로는 도저히 모을 수 없는 수많은 자료를 수십 년 넘는 기간 동안 차곡차곡 모을 수 있었다.
<다윈의 실험실>, 268p
<다윈의 실험실>에는 다윈의 인간적인 면모와 함께 그가 진행했던 수많은 실험들의 내용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씨앗 실험', '따개비 실험', '벌집과 비눗방울 실험', '덩굴 식물 구하기'등 그가 했던 수많은 연구들의 방법이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다. 특히 따개비 실험은 당시 다윈이 따개비가 조개가 아니라 갑각류의 일종임을 처음으로 증명하였는데, 그의 집념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책에는 따개비 실험을 할 때 필요한 준비물과 실험 절차 등이 따개비의 해부 구조 그림과 함께 상세하게 나와있어, 독자들도 그가 어떠한 방법으로 실험을 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책에는 그동안 독자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인간 다윈의 개인적인 고뇌가 담겨 있으며, 다윈 특유의 관찰력과 차분하지만 친근한 모습까지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