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현세자,,이전에 역사드라마나 책에서 아주 짧게 다루어진 이야기,,,
때로는 심약한 소현을 다루었고 때로는 청에 있으면서 선진문물을 먼저 받아들였고 현명하고 똑똑하고 추진력있는 그런 소현세자를 다루었으며 ,그런 소현세자가 청나라와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자 인조가 소현세자를 의심을 하게 되고  그렇게 조선으로 돌아온지 2달만에  의문의 죽음으로 죽은 소현세자,,
그렇게 역사 속에서 잊혀졌던 소현세자가 최근에 인기 드라마 <추노>을 통해서  다시금 사람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래서 나도 소현세자의 미스테리한 죽음에 대한 숨겨진 이야기를  상당히 궁금해 하고 있던차에 이 책 소현을 읽게 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고 병자호란의 패전으로 소현은 배반하지 않을 것에 대한 아비의 맹세로 봉림,인평과 함께 볼모가 되었다,
적의 땅에 8년을 머물며 남의 나라에 전쟁에 종군해야 했지만 , 소현은 임금의 아들이었고, 조선의 세자였다,

이 책은 소현이 청에 볼모로 있는 9년동안 세자가 본 청의 왕위다툼( 청의 왕위다툼은 정말 말로 표현하지 못할 정도로 잔인하고 치열했다, 자식이 아비를 죽이고 ,형제가 배다른 형제를 모두 죽여야 하는,,)이나, 그속에서 소현이 겪어야 했던 일들을 대체로 보여 준다,
그리고 소현 세자가 환국했던 1664년 전후에 일어났던 사건들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내어서 왕위 다툼에서 희생양이 되어야 했던 소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또 소현과 함께 볼모로 끌려간 봉림,,봉림이 없었다면 세자는 지난 세월을 어떻게 견디었을까?  봉림은 세자 대신 저들의 전쟁에
종군했고 세자 대신 홀로 저들의 사냥에 쫓겨 나서기도 했으며 세자 대신 죽어야 할 일이 있었으면 봉림은 마땅히 그렇게 했
을 것이다
그렇게 외로운 적의 땅에서 두 형제는 서로를 의지하며, 언젠가 조국으로 돌아갈 날을 기다렸다,
그외 좌의정 심기원의 아들 심석경, 볼모로 와서 황제에게 받쳐 졌다가 대학사의 둘째부인으로 되받쳐진 조선의 종실의 여인 ,
그녀의 종인 무녀 막금, 그리고  조선의 노비에서 청의 역관이 된 만상.. 그외에 적의 땅에서 능욕당하고 도륙당한 수많은 조선의 여인들.. 이런 인물들이 역사적 흐름 속에서 서로들 어떻게 맞물리고 펼쳐지는지와 심리묘사가 상당히 독특하고 재미있었다,
그리고 가슴도 아팠다,,

소현세자는 환국 후 두달만에 세상에 떠났다,,그 의문의 죽음은 공식적으로는 ' 학질 ' 이라고 기록되고 있지만,,,이후 세자가 세상을 떠나고 한 해후  세자빈 장빈이 임금을 저주했다는  혐의를 입어 사약을 받았고, 세자의 세 아들들도 모두 유배형에 처해져서, 한때는 원손이었고, 아비가 살아 있었다면은 세손이 되었을 것이며 임금의 자리에 올랐을 석철과 그의 동생 석현은 함께 제주도에서 굶어 죽었다.
적의 땅에서도 곳곳하게 우리말을 고집하며 절대로 청의 말을 배우지 않고 쓰지 않았던 소현,,말을 아끼면 한마디 한마디 마음속으로 생각하고 말했던 소현,,,속으로는 떨고 있고 울고 있을지언정 겉으로는 당당하게 청의 임금과 대적했던 소현,,그의 고독과 슬픔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고 그리고 정작 소현의 땅,,조선에 와서 두달만에 죽은 불운의 소현세자,,,가슴이 아프다,


역사속에서 내가 느꼈던 찌질이 왕,, 인조,,세자가 청나라의 힘을 빌어 자신의 자리를 위협할까봐 내내 전전긍긍 의심하다 그렇게 아들까지 죽이고 순자들까지 죽였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은 심증은 간다,,안타깝다,
 이책은 문체와 문장과 문장이 상당히 깊이가 있다,,결코 쉽게 줄줄 읽혀질 문장은 아니였다
그래서 한문장,한문장을 천천히 다시 읽어보고 그 문장속에 글속에 숨은 깊은 뜻을 천천히 되내여 보면서 읽어볼 그런 문장들이였다,

무엇보다도 소현의 외로움과 고독,,두려움,,강인함까지 독특한 문장과 문체,,그리고 심리묘사를 통해서 잘 드러났던 책이였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