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의 지도를 그리자 - 구글맵도 찾지 못하는 우리 몸 구조
가이도 다케루 지음, 요시타케 신스케 그림, 서혜영 옮김 / 니케북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몸의 지도를 그리자

인체의 신비 / 가이도 다케루 / 니케북스



전 세계가 사랑하는 천재 그림 작가 요시다케 신스케가 묻고
의학박사이자 인기 소설가 가이도 다케루가 답하다.
그 둘의 유쾌한 입담과 재치 있는 그림으로 탄생한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인체 과학책!
 

( 책 표지 문구 인용 )



요즘 건강이 별로 좋지를 못하다 보니 먹는것 하나도 신경을 쓰고 건강에 관련된 책을 더 읽게 됩니다.

그러다가 발견한 신간 책인 이 책 [ 내 몸의 지도를 그리자 ]은 내 몸의 지도를 그릴 수 있다면 어떤 병도 두렵지 않다! 라는 문구에 이끌려 읽어보고 싶었던 책입니다. 그리고 생각을 해보았죠? 내 몸의 지도를 나는 그릴수 있는지...다 못그리겠더라구요. 심장이나 폐, 신장 정도만 대충 그릴수 있지 정확한 위치와 모양은 헷갈리고 잘 모르겠더라구요. 이 책을 달 읽고 난 뒤에는 내 몸의 지도를 그릴 수 있기를 바라면 책을 펼쳤습니다, 저자도 말합니다. 이 책의 목적은 독자가 이 책을 다 읽었을 때 몸의 지도를 그릴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말이지요. 전문서적처럼 세세한 부분까지 깊게 모조리 다루지는 않았지만, 수술대에서 배를 열었다고 생각을 했을 때 그 속이 어떻게 생겼는지 몸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고 그게 목표라고 말이죠.

그러니 부담없이 책을 찬찬히 재미있게 읽어내려 가다보면은 대뇌,소뇌, 허파(폐), 심장, 대동맥, 간, 췌장(이자),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콩팥(신장), 방광, 비라(지라), 이런 장기들의 모양과 위치를 그릴 수 있는 것을 목표로 책을 읽었습니다.

 

 

 

오른쪽 콩팥은 왜 왼쪽 콩팥보다 더 아래에 있을까?

  • 췌장은 어디에 붙어 있을까?
  • 양쪽 허파의 크기는 같을까 다를까?
  • 매일 죽고 매일 다시 살아나는 세포가 있다?
  • 해부했을 때 늘 비어 있는 곳은?
  • 얼만큼 먹으면 위가 꽉 차게 될까?
  • 태아의 심장에는 왜 구멍이 뚫려 있을까?

     

  •  

  • 책의 뒤쪽 표지에는 위와 같은 문구가 있는데요. 읽으면서 너무 궁금했었는데 책을 차근차근 읽어내려 가다보면은 저 위의 질문에 답을 다 얻을 수 있었습니다.  

    책은 크게는 총론, 각론, 의학개론으로 나뉘고 또 각 장에서 몸과 몸의 구분, 각 장기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해 줍니다.

    의학을 공부하지 않는 일반인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쉽게 설명을 해 주고 있어서 전혀 어렵지 않았구요. 몸의 구조를 요약해서 한눈에 모두 알수 있게 해 주는 책이라서 아주 세세한 부분은 없었지만 전체적인 흐름과 각 장기의 기능과 위치를 알고 나니 우리 몸속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수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오른쪽 콩판이 왼쪽 콩팥보다 더 아래에 있는 이유는 오른쪽 콩팥 위에 있는 간 때문이라고 하네요. 간이  차지하는 크기만큼 아래로 내려와 있기 마련이고 분당 1리터의 혈액이 콩팥을 통과한다고 합니다. 양쪽 허파는 크기가 다르다고 합니다. 허파는 좌우로 나뉘고 오른쪽 허파가 조금 더 크다고 합니다, 좌우 허파는 다시 '허파엽'이라는 것으로 나뉘는데 오른쪽 허파에는 상엽, 중엽, 하엽 이렇게 세개의 엽이 있고, 왼쪽 허파에는 상엽, 하엽 두개의 엽이 있다고 하네요, 심장은 왼쪽이 크고 허파는 왼쪽이 작기 때문에 두개의 장기가 가슴 속에서 결합되면 좌우가 딱 들어맞는다고 합니다.

    저는 먹방 유튜버를 볼때마다 저 사람들의 위는 얼마나 클까? 저 양을 먹는 것이 가능할까?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은 약 2시간이며 위에서 단백질이 위산과 펩신에 의해 분해 되며, 위에 용량은 대략 1리터라고 합니다, 아마도 먹방 유튜버의 위의 용량은 평균을 훨씬 넘어서겠죠?

    그리고 저는 당뇨가 있어서 전에 전혀 관심도 없었던 췌장에 대해서 요즘 가장 관심이 많습니다, 췌장이 우리 몸에서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 몰랐었는데 사람의 정면에서 보면 복부의 중심부이기는 하지만 등쪽으로 달라붙어 있고 말랑말랑한 장기로 눈에 잘 띄지 않아서 불안한 장기이기도 하다고 하네요. 내분비장기이기도 해서 혈당량을 낮추는 호르몬인 인슐린까지 만들어서 혈액 속으로 분비하는데 언뜻 보면 별것 아닌것 같지만 실은 굉장한 일을 하고 있는 중요한 장기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에 책이 일본 아마존 10년 연속 스테디셀러라고 하는데 왜 그런지 이유를 알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렵지 않고 그림으로 쉽게 장기의 위치와 하는 일을 설명을 하고 있어서 쉽게 쏙쏙 잘 이해되고 재미있습니다. 가장 쉬운 인체 과학책이라는 설명이 딱 맞는 것 같습니다. 저자는 병이란 놈은 우리 몸속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할 수만 있다면 반은 나은 것이나 마찬가지다라고 말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한번쯤 읽어보고 내 몸의 지도를 그릴 수 있을 정도로 기초를 익혀주면은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