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괴로운 당신에게 식물을 추천합니다
임이랑 지음 / 바다출판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금 괴로운 당신에게 식물을 추천합니다

자연에세이 / 이랑 / 바다출판사




“기쁜 날에도 , 슬픈 날에도 식물들에게 신세를 많이 지고 삽니다”
식물을 가꾸는 삶, 나를 가꾸는 삶에 대한 따듯한 이야기

(​ 책 표지 문구 ) 


 

엄마가 식물을 기르는 것을 너무나 좋아합니다. 이전에는 엄마가 왜 그렇게 화초를 기르는 것을 좋아하고 여러가지 꽃나무도 사서 키우는 것을 보고 이해를 잘 하지 못했거든요,, 제가 어릴적에는 말이죠, 그런데 저도 이제 나이가 들어가서 그런지 식물이 참 좋더라구요, 그저 햇빛만 잘 쐬어주고 물만 잘 주면 저절로 알아서 계절에 따라 꽃도 피우고 새눈도 돋아나고 하는 것이 너무나 신기하고 이쁘게 다가옵니다. 작은 화분에서 씨앗을 틔우고 싹을 올리는 모습을 보고 장하다!~ 이쁘다!~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은 나이가 어느정도 들어야만 느낄 수 있는 감정일까요? 사람때문에 상처입고 피로를 느끼는 것에 지쳐서 그런지 젊었을 때는 느끼지 못했던 행복을 식물을 키우면서 느끼게 되는 요즘입니다.

그래서 이 책 제목을 보고 이 책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금 괴로운 당신에게 어떤 식물을 추천해 주실지 기대가 되면서 책을 펼쳤습니다.



기쁜 날에도, 슬픈 날에도

식물들에게 신세를 많이 지고 삽니다.

가꾸면 가꿀수록 풍성하게 자라는 식물들에 기대어 살아 보겠습니다.

정원을 가꾸는 것처럼 내 마음도 가꿀 수 있도록, 계속 해보겠습니다,

- 임이랑



저자의 직업이 작가이거나 전업주부이거나 꽃과 식물과 관련이 있는 일을 하시는 줄 알았는데 디어클라우드라는 밴드에서 노래를 만들고 베이스를 연주한다고 합니다, 그런 저자가 요즘 한창 온 마음을 다해 좋아하는 것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식물 친구들이라고 하네요. 저자는 요즘 약도 없는 식물앓이 중이라며 식물앓이 증상 3가지를 적어 두셨는데, 어!~ 이 증상은 저희 엄마의 증상과 매우 같네요, 저도 요즘 식물앓이 3가지 증상중에서 2가지는 해당이 되는 것 같습니다. 3번째 증상이 특히나 와닿는데 상추, 민트 , 루꼴파, 고수, 바질처럼 쉽게 키울 수 없는 작물은 자급자족해야만 기분이 좋아하지는 병이라고 하네요 ㅎㅎ


이 책은 식물앓이 중이신 저자가 식물을 가꾸면서 삶을 더 풍부하게 이해하게 된 순간들을 들려주는 에세이입니다.

다양한 식물들의 이야기들을 듣는 것도 좋고 들려주는 저자의 이야기들도 좋습니다. 에세이의 맛이란 바로 이런것 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책을 읽으면서 내  취향에 맞는 반려식물 찾기를 해 보는 재미도 있는 것 같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궁합이 있듯이 사람과 식물 사이에도 궁합이 존재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식물도 사람이나 동물처럼 모두 각자의 방법과 삶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키우는 사람의 성향에 맞는 그런 반려식물을 키워야 서로 실패를 하지 않고 삭막하기만 한 세상에서 작은 위로를 받으면서 행복한 동거가 될수 있을 듯 합니다.

요즘은 스투키가 인기라고 하는데 스투키는 물을 자주 안 줘도, 그리고 대단한 관심 없이도 잘 살아남는다고 하네요. 혼자 살고 직장 생활하시는 분들에 특히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 집에 해가 잘 들어오지 않는다 하면은 보스턴고사리를 추천을 하셨는데 공기정화에도 좋고 보슬보슬 이파리도 이쁘다고 하네요,,

식물이면은 다 추천하시는 작가님도 한가지 추천하지 않는 식물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유칼립투스라고 합니다.

유칼립투스는 자기가 맞는 환경만 되면은 키가 70미터까지도 자라나는 거목이지만 어지간한 실내에서는 채광량에 만족하지 못하고 금새 시들어 버린다고 합니다. 그래서 유칼립투스가 비염이나 항염, 항균에 좋다고 해서 많이들 사시기는 하지만 키우는 일이 만만치않아서 겨울을 견디지 못하고 잘 죽는다고 합니다,

 

 

 

 

필레아 페페로미오이데스

 

 

 

저자가 들려주는 식물과의 만남과 키우고 있는 식물들의 이야기가 참으로 재미있고 흥미롭습니다.

첫번째 사진의 아이는 다산의 여왕 필레아 페페로미오이데스 라고 합니다. 봄이 되면은 새순을 엄청난 속도로 뿜어내는데 동그랗게 팔을 쭉쭉 뻗으며 자라나 금방 새끼를 갖기 시작한다고 하네요. 뿌리에서 연결된 상태로 모체와 멀지 않는 곳에서 지구가 뽁! 하고 튀어나온다고 하는데 상상되어지는 모습이 너무 귀엽고 또 실제 필레아의 모습이 너무 앙증맞고 귀엽습니다.

밑에 사진의 장미는 역시 꽃들의 여왕은 장미라 불리울만하게 너무나 아름답지요? 무려 90장이나 꽃잎이 조심스럽게 핀다고 하네요. 이렇게 아름다운 장미의 이야기들을 들려주실 때 저자의 슬픈 사연과 함께 들어서 마음이 아팠습니다,

상처와 아픔, 괴로움을 하얀 이파리와 아주 연한 핑크색 이파리가 그라데이션 되어 피어오르는 모습을 보면서 다시금 힘을 얻고 살아갈 용기를 얻었다고 합니다.


오전에는 식물들에게 물을 주고 이파리를 닦으며 눈앞에 놓은 하루하루를 살아 가고 싶습니다.

몸과 마음의 평화가 천천히 찾아오는 아침을 기다립니다.

 - 144


​이 이야기를 읽고 나니 저자가 제일 처음에 한 말이 더 와닿더라구요. 기쁜 날에도 슬픈 날에도 식물들에게 신세를 많이 지고 살아간다는 말이 말이죠. 밥벌이의 지겨움, 사람으로 받은 상처, 관계로 얻는 피로에 지치셨다면은 자신에게 맞는 반려 식물을 한번 키워보세요, 조그마한 새순을 바라보며 멍하지 앉아 있는 순간마저도 삶의 상처가 조금씩 위로받고 치료받는 것을 느낄 수 있을 테니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