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전 살인사건 - 검안을 통해 본 조선의 일상사
김호 지음 / 휴머니스트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0년 전 살인사건

검안을 통해 본 조선의 일상사

 

 

 

 

 

제목부터 흥미롭습니다.. 100년 전 사람들은 무슨 일로 살인을 저질렀을까요?

또 살인사건은 어떤 방법으로 수사를 하고 범인을 잡아냈을지 너무나 궁금합니다. 지문감식도, DNA조사도, CCTV도 없고 심지어 시체해부도 할 수 없었던 그 시절 과연 어떤 방법으로 살인임을 증명하고 범인을 잡아냈을지 그 게 너무나 궁금해서 읽어보고 싶었던 책입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서고에는 현재 500여 종의 100여 년 전의 조선시대 살인사건 보고서 ' 검안'이 보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저자는 이 살인사건 보고서 ' 검안'을 읽으면서 조선사희의 범죄와 그에 따른 처벌 등에 관심을 가지면서 [ 100여 년전 살인사건 ]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고 하네요 .



사회적 일탈의 현장에서 조선 사람들의 일상을 엿본다.




조선시대에는 살인사건이 발생을 하면은 어떻게 수사를 했을까요? 지금과 크게 별다른 것이 없네요.

인명사건이 발생을 하면은 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서 조사관이 현장에 출동하여 시신을 검시하고  사건 관련자들을 취조한 후에 상부에 보고를 한다고 합니다.  1차 조사관인 초검관, 초검관의 요청을 받은 인근 지역의 지방관이 2차 조사관이 복검관의 임무를 맡아 각각의 조사를 지휘한다고 하네요..

지금처럼 시체 해부를 할 수 없는 상태인지라 해부는 할 수가 없고 대신 외상과 색을 주로 살피면서 사인데 따라 색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세밀히 관찰하고 기록했다고 하네요. 또 시체가 놓은 장소를 세밀하게 묘사한 후, 시체의 옷가지를 하나씩 벗기면서 시체의 상태를 기록하고 아전들은 오늘날의 녹취기록에 버금가는 취조기록으로 심문과정의 진술을 구어체로 기록했다고 합니다.. 이런 과정은 100년 전이지만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네요,, 다만 사체를 조사하기 위해 술지게미와 식초가가 검시에 아주 중요한 재료로 쓰이면서 그 쓰임새를 설명하는데 아주 신기했습니다.


조선후기에 가면은 갈수록 검안으로 밝혀내기 어려운 살해방법들이 고안되어 나왔다고 하는데 아주 지능적입니다.

바늘로 급소를 찔러 죽인다거나 소량의 맹독으로 독살 여부 판단을 어렵게 만든다거나 살해 후에 피해자가 자살한 것처럼 꾸며놓는다거나 말이죠..

책은 총 5장으로 나뉘어서  조선시대 일상속의 폭력과 살인, 절도, 복수 같은 사건을 다루거나 신분간의 알력, 향촌의 권력자들의 유전무죄 무전유죄 사건, 인륜의 역설, 욕망의 분출 등 100여 년 전 죽음과 관련된 민중의 애달픈 삶의 이야기가 이 책속에 있습니다.

사건 하나하나를 들려주면서 어떻게 검안을 통해, 취조를 통해서 범죄임을 밝혀내고 범인을 잡아 내는지 들려주는데 하나하나가 너무 흥미롭고 재미있습니다.

아내의 외도 사실을 듣게 된 남편이 신고한 아내의 자살사건이 과연 수치심을 이기지 못한 자살일까? 아니면 질투에 눈이 멀어 아내를 살해한 타살일까?  시체에 남은 상흔과 주변 정황 등을 철저히 조사해 자살이 아닌 타살로 밝혀낸 첫 이야기부터 흥미롭습니다.


100년전 여성들은 고달픈 삶을 살았더라구요,,인권이고 뭐고 없습니다. 가장 폭력은 너무나 흔하지만 쉬쉬하며 덮고 넘어가는 것이 태반이고 집밖에서도 강간을 비롯한 다양한 폭력에 노출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남편의 폭력과 본처의 견디기 힘든 모욕에 절망하던 한 여인의 죽음은 자살일까? 타살일까? 이 사건은 마땅한 증거가 없어서 내려진 판결이 참으로 안타깝고 씁쓸했습니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사람을 죽이고도 술때문이다, 술로 인한 심신미약이니 감형의 선처를 부탁한다고 뻔뻔하게 나오는 것은 정말 똑같습니다. 동네에서 소문만 난봉꾼인 양만 조태원(19세)는 한 여성을 살해해 놓고 산길을 지나가는데 여우가 자신을 홀리려고 해서 있는 힘을 다해 죽였다고 나옵니다. 여우가 홀렸다는 이야기가 안 먹히자 이번에는 죽은 여인이 먼저 자신을 꼬드긴 것이고 자신은 술기운을 이기지 못해 일은 낸 것이니 술을  탓하며 감형을 구하는 이야기는 지금이나 그때가 화가 나네요

실제로 조선시대에는 술을 탓하며 감형을 구하는 일이 드물지 않고 많이 있었다고 합니다.

권력자들은 죄를 짓고도 돈을 내면 풀려나는 의옥처분( 의심스러운 살옥사건)으로 무사하게 풀려나는 일이 많았다고 하는데 이런 사례들을 읽을때도 역시나 오늘날도 다를바가 하나 없다는 사실에 좀 허탈했구요,,


100년 전의 살인사건 보고서 ‘검안'을 통해서 본 100여 년 전의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그 속에서의 갈등과 죽음에 관련된 이야기를 읽으니 안타까운 사연도 많고 고단한 삶을 엿볼수 있어서 생생하게 다가 왔습니다,, 그 어려운 상황에서도 철저히 수하하고 취조해서 범인을 잡아내는 것도 놀라웠고 신기했네요.

역사와 문화를 다룬  책인데 상당히 이야기가 재미있습니다,, 소설을 읽는 것처럼 책장이 술술 잘 넘어가면서 조선시대 과학수사의 현장을 엿볼수 있어서 재미있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