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지혜라고 부르는 것의 비밀 - 더 일찍 더 많이 현명해지기 위한 뇌과학의 탐구
딜립 제스테.스콧 라피 지음, 제효영 옮김 / 김영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 들수록 지혜로운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어른이 되면 세상의 모든 이치를 이해하고 현명한 삶을 살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막상 어른이 되고 보니 똑똑한 사람은 많아도 그들이 모두 현명한 삶을 살고 있다고 자신할 수 없다. 그렇다면 지혜란 무엇일까.

행복은 좋은 목표이고, 보통 현명해지면 행복도 따라온다. 그러나 현명해진다는 건 삶의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고 자신에게 잘 맞는 자리와 그 자리로 가는 방법을 폭넓게 볼 줄 아는 것, 자기 자신과 다른 이들에게 더 나은 사람이 되는 법을 아는 것이다.

p. 20

이 책은 지혜로운 어른을 위한 뇌과학을 이야기한다. 인지 노화 연구의 세계적인 석학과 과학 저술가가 만나 지혜의 개념과 나이와 상관없이 현명해지는 법을 제시한다. '지혜'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철학적이라는 인상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연륜과 경험이 쌓이면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이라 여겼다. 두 저자는 지혜란 문화적 개념이며 과거와 현재의 정의가 다를 수 있다고 말한다. 다소 모호한 개념인 지혜를 이 책에서는 과학적으로 설명한다.


저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지혜의 공통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 친사회적 태도와 행동, 정서적 안정성과 행복감, 결단력과 불확실성을 받아들이는 태도의 균형, 숙고와 자기이해, 사회적 의사결정과 인생의 실용 지식, 그리고 영성. 여기서 말하는 영성은 종교에서 말하는 신앙심과는 다르다. 개인이나 사회 보다 더 큰 무엇이 존재한다는 인간의 깊은 믿음이다. 


저자들은 전통적인 지혜의 관념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실험과 관찰을 통해 지혜를 원하는 방향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뇌의 전전두피질과 편도체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뇌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사회적으로 표출되는 행동과의 연관성을 확인한다. 이렇게 이루어진 뇌과학과 심리학 연구는 인간이 지혜를 구성하는 요소를 가지고 태어났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성찰하면 자신의 감정, 인식, 행동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철학자 대니얼 데닛은 성찰이란 자기 자신을 경험하는 능력이라고 설명하면서 "자기 삶의 저자가 되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p. 274

관심 있게 본 부분은 3부 <실용적·사회적 지혜를 강화하는 법>이었다. 앞서 설명된 이론이 실생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지혜의 구성요소를 개선하려는 시도가 성공을 거둔 사례들을 살펴보며 실제로 미국 3개 주의 은퇴자와 노인 생활공동체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진행했다. 그들이 계획한 프로그램에 따른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지혜를 개선할 수 있는지를 확인했다. 실험 결과 지혜를 키우는 것은 가능한 일이었다.


지혜로운 사람이 되고 싶다는 바람은 시간이 해결해 주는 것이라 여겼던 기존의 생각이 달라졌다. 감사 일기 쓰기, 소설 읽기, 명상 등이 지혜의 구성요소를 강화하는 방법이라는 사실이 재미있다. 다시 한번 독서의 중요성을 되새겨본다. 


인류애가 점점 사라지고 정치 양극화와 소득 양극화가 뚜렷해지며 사회적 불신과 불만이 쌓여가는 현대 사회에서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지혜를 강화하는 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들은 "모든 구성원을 현명하게 포용하는 사회를 건설하는 것은 우리의 목표이자 꿈이 되어야 한다"라고 말한다. 더 일찍 더 많이 현명해지기 위한 지혜를 찾아 떠나는 여정에 많은 사람이 함께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뇌가 건강하려면 몸 전체가 건강해야 한다. 그래야 뇌에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가 원활히 공급되고 기분도 좋아진다. 운동은 기분에 즉각적으로 좋은 영향을 준다.

p. 382



#우리가지혜라고부르는것의비밀 #김영사 #뇌과학 #신경생물학 #심리학 #도서리뷰 #서평 #도서제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