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의 배신 - 중독의 모든 것: 술, 도박, 스마트폰, 음식, 마약
강웅구.박선영.안유석 지음 / 포르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인은 중독의 시대를 살고 있다. 보통 중독이라 하면 술과 약물을 떠올리는 데 요즘은 스마트폰과 게임, 그리고 음식에 이르기까지 그 영역이 다양화되고 있다. 나 역시 스마트폰과 SNS, 심지어 책을 사는 행위에 집착하곤 한다. 왜 우리는 특정한 것에 집착하는 걸까. 이 책은 뇌과학과 사회적 시각에서 중독을 분석하고 우리가 집착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중독은 우리가 문화를 즐기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접하게 되는 부산물이다. 이것이 책에서 중독을 대하는 기본 입장이다. 중독성 약물과 행위들은 우리 문화에서 추방해야 할 것이 아니라 잘 조절하면서 같이 살아야 할 것들이다. ‘완전한 중단만이 치료의 목표’라는 입장에서 벗어나서, 중독 치료의 최종 목표는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환자를 이해하고 치료하고 있다.

p. 13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며 전문의인 저자들은 우리가 무언가에 중독되는 건 도파민이 원인이라고 말한다. 도파민은 특정 행동을 반복하게 만드는 강력한 메커니즘으로서, 도파민에 잠식당한 뇌는 중독에 취약하게 되므로 뇌의 보상 회로를 재설정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내가 도파민을 찾는 것이 아니라 도파민이 나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p. 63

저자들에 따르면 현대인들의 중독은 문화의 한 영역에서 우리의 삶을 풍부하게 해주는 것들이 어느새 우리를 지배하는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따라서 중독의 원인이 되는 도파민의 작용 기전을 과학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대해 책에는 중독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중독 사례가 등장한다. 이를 통해 중독의 다양한 양상과 형성 과정을 알게 되고 벗어나는 방법까지 고민해 볼 수 있다.


사실 지금까지 중독은 의지의 문제라고 생각했다. 주위를 둘러싼 끊을 수 없는 환경으로 인해 의지력이 약해지고 중독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실패했기 때문이라 여겼다. 가령 일하는 시간에는 SNS 보지 않기로 다짐하지만 어느 순간 다짐은 머릿속에서 사라진다. 책을 사는 것도 그렇다. 이미 사 놓은 책이 잔뜩이라 적어도 10권은 읽은 후에 새로 사야 한다고 끊임없이 주입하지만 온갖 이유를 다 대며 또 결제창을 클릭한다.


중독은 강한 쾌감에서 오는 게 아니라 SNS의 좋아요 알림과 같은 사소한 경험의 반복적 보상이 문제라는 말이 이제는 이해된다. 이 책은 나날이 심해지고 있는 중독 문제를 개인의 의지력이나 의학적 관점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사회적·정책적으로 폭넓게 바라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중독의 경계에 서 있는 현대인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치료를 받으면 중독에 빼앗긴 자율성을 되찾는 것이 훨씬 쉬워진다. 그러나 치료받으러 가기 위해서는 나를 향한 나쁜 시선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담담한 용기가 필요하다. 회피하거나 방어적이 되면 치료에 접근할 기회를 잃는다. 필요한 것은 약물과 도박을 끊겠다는 강력한 의지력이 아니라 치료받으러 갈 용기와 결심이다.

P. 252 

#도파민의배신 #포르체 #과학책 #뇌과학 #책추천 #책소개 #책 #도서제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