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을 따라 뉴욕에 도착했지만 사랑이 사라진 뒤 그녀는 도시 자체에 필사적으로 매달린다. 혼자 있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외로움은 점점 커져만 가고 그런 자신의 모습을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 속에서 발견한다. 고독을 대도시로 표현한 호퍼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에서 외로움에 상처받은 마음을 예술 작품으로 위로받으려 하는 몸부림을 잘 보여준다. 뉴욕이라는 낯선 도시에서 이방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순간은 오래전 홀로 뉴욕 거리를 거닐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고독한 처지를 가리기 위해 커피를 마시러 가지만 언어의 다름에서 오는 불편함은 불안과 수치심으로 이어지고 안면홍조나 공황 상태 같은 신체적 문제로 번진다. 소통마저 문제가 생기자 되자 그녀는 앤디 워홀에게 끌리게 된다. 외로워지기 전까지는 워홀을 무시했지만 다름에서 오는 고독, 호감을 얻지 못하는 데서 오는 고독은 그의 매혹적인 팝아트 세계에 빠져들게 하는 계기가 된다. 오래전 기억 속에서 나는 분주히 움직이는 사람들 틈에 섞여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뉴욕 거리 한가운데에 멈춰 있어야만 했다. 말도 잘 통하지 않는 낯선 도시에서 세상에 홀로 남겨진 것 같아 두렵고 무서웠다. 그때 내가 찾은 곳이 뉴욕 현대미술관 MoMA였다. 그곳에서 현대미술을 처음 만났다.
이 책에 담긴 이야기는 나를 과거로 데려가 잊고 있던 기억을 하나둘씩 떠올리게 한다. 올리비아 랭은 고독한 도시 속에서 예술가들을 생애와 작품을 파고들며 고독에 대해 물어본다. 고독을 끌어안고 고독에 저항한 예술가들의 이야기는 평범한 삶에 자극이 되기도 하고 위로가 되기도 한다. 외로운 도시에서의 그녀의 삶과 경험은 연대의 가능성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그 여정을 함께 하는 동안 외로움을 잊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