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이렇게 말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어 - 좋은 말, 나쁜 말, 이상한 말에 대한 고정관념을 뒤엎는 언어 이야기
발레리 프리들랜드 지음, 염지선 옮김 / 김영사 / 2025년 1월
평점 :

언어가 다양한 사회적 자아를 대변하며 변화와 재창조를 겪는 과정을 탐구하는 말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책이다. 언어학을 다룬 책이 이토록 재미있을 줄은 정말 몰랐다. 영어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데도 우리말과 비교하며 생각할 수 있어 재미있다. 언어를 좋아하고 문법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흥미로운 주제다.
저자는 나쁜 언어와 좋은 언어를 판단하는 기준이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에 대한 편견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밝혀내며 사회와 언어적 다양성의 관계를 이야기한다. 저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보면 언어에는 다양성이 존재하고 그러한 사실을 인정할 때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타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확장할 수 있다. 영어라는 언어가 변화하고 재창조되는 과정이 인류가 생존을 위해 진화하는 과정과 유사하다는 저자의 주장이 쉽게 이해된다. 또한 말하는 방식과 말투를 평가하는 방식이 문법적 올바름이 아니라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편견에서 비롯된다는 주장 또한 공감할 수 있다.
언어의 진화는 우리말에서도 찾을 수 있다. 간혹 요즘 세대들이 쓰는 말이라는 신조어를 마주할 때면 도통 답을 찾을 수가 없다. 줄임말뿐만 아니라 외계어 같은 단어에 당황할 때면 세대 차이라는 말을 실감하게 된다. 왜 이렇게까지 줄여야 하지?라는 의문과 함께 우리 말의 기본 틀이 무너지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기도 했다. 하지만 저자는 언어 혁신의 주체가 젊은 세대같이 사회의 가장자리에 있는 사람들에게서 시작된다고 말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어느새 내가 기성세대가 되어 언어의 진화에 편견을 가지고 있었던 건 아닌지 돌이켜 보게 된다.
저자는 언어 변화는 사회 변화로 확장된다고 말한다. 새로운 언어는 인간의 적응력과 혁신성, 창의력을 보여준다는 주장이 낯설지 않다. 좋은 언어와 나쁜 언어의 차이는 무엇일까. 문법적으로 올바른 것만이 답은 아닐 것이다. 언어가 없는 세상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생존을 위해 진화하고 변화하는 언어를 통해 우리 사회에 만연한 편견과 차별을 이해하고 다양성을 인정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다.
※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 지원을 받아 작성한 솔직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