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법 선선해져서일까. 술과 음식에 관련한 이야기가 유독 눈길을 끈다. 자신의 입맛을 키운 건 팔 할이 소주라고 말하는 작가 권여선. 그녀가 전하는 먹고 마시는 이야기는 자꾸만 군침이 돌게 한다.
술꾼이 딱 그렇다. 세상에 맛없는 음식은 많아도 맛없는 안주는 없다. 음식 뒤에 ‘안주’ 자만 붙으면 못 먹을 게 없다.P. 7
술꾼이 딱 그렇다. 세상에 맛없는 음식은 많아도 맛없는 안주는 없다. 음식 뒤에 ‘안주’ 자만 붙으면 못 먹을 게 없다.
P. 7
이 책에는 계절에 어울리는 다양한 음식들이 맛깔나게 등장한다. 그녀에게 음식은 갈등을 만들기도 하고 화해의 자리를 마련해 주기도 한다. 또한 음식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만들기도 한다. 그녀에게 술과 안주는 삶의 다양한 순간에 윤활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음식을 만들고 먹는 과정을 들여다보면 나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릴 땐 제법 술도 마시고 요리하는 것도 좋아했는데 언제부턴가 과정보다는 편리함에 익숙해졌다. 일종의 보상심리하고 해야 할까. 노동의 강도가 높아진 만큼 배달 음식에 대한 의존도도 높아져만 간다.
단식이 짧은 죽음이라면, 단식 후에 먹는 죽과 젓갈은 단연코 부활의 음식이다.P. 69
단식이 짧은 죽음이라면, 단식 후에 먹는 죽과 젓갈은 단연코 부활의 음식이다.
P. 69
작가는 음식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위기를 만들기도 하고 위안을 받기도 한다. 음식에서 '간 맞추기'가 중요한 만큼 관계를 적당하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사람들과 둘러앉아 술잔을 부딪히고 안주를 권했던 적이 언제였던가. 그녀의 글을 읽다 보니 문득 그런 시절이 그리워진다. 맛있는 음식을 두고 둘러앉아 먹기를 권하며 연대감을 느끼고 미각을 통해 공감하며 함께 하는 시간의 중요성을 새삼 떠올려 본다.
뭔가를 먹고 만족하기 위해서는 맛과 온도도 중요하지만, 원하는 스타일로 먹는 것도 중요하다. 밥 먹을 때 개도 안 건드린다는 말이 있는데, 그건 개도 자기가 원하는 스타일로 음식을 즐길 권리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P. 124
뭔가를 먹고 만족하기 위해서는 맛과 온도도 중요하지만, 원하는 스타일로 먹는 것도 중요하다. 밥 먹을 때 개도 안 건드린다는 말이 있는데, 그건 개도 자기가 원하는 스타일로 음식을 즐길 권리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P. 124
아침저녁 쌀쌀한 바람에 뜨끈한 국물이 당기는 계절이다. 재료가 품고 있는 단맛을 몸서리치게 탐닉한다는 작가의 말에 무를 넣고 조린 칼칼한 조림이 먹고 싶어졌다. 하얀 쌀밥에 매콤하고 달큼한 무 한 조각이면 금방 밥 한 공기 뚝딱 해치울 텐데.. 먹고 싶은 마음과 귀차니즘 중 누가 이길까. 판결은 오늘 저녁 밥상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봄에 싹텄던 것들은 여름에 왕성히 자라 마침내 가을이면 완숙에 이른다. 그런 의미에서 맛에 있어서만은 가을이 쇠락의 계절이 아니라 절정의 계절이라는 게 내 생각이다. 그 절정은 단맛으로 표현된다. 모든 먹을거리들은 가을에 가장 달콤해진다.P. 143
봄에 싹텄던 것들은 여름에 왕성히 자라 마침내 가을이면 완숙에 이른다. 그런 의미에서 맛에 있어서만은 가을이 쇠락의 계절이 아니라 절정의 계절이라는 게 내 생각이다. 그 절정은 단맛으로 표현된다. 모든 먹을거리들은 가을에 가장 달콤해진다.
P.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