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브랜딩을 호텔에서 배웠다 - 사비 털어 호텔 150군데 다니고 찾아낸 돈 버는 마케팅 인사이트 23
정재형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하는 여행에서 호텔이 차지하는 비율은 적다. 여행이라고 하면 많이 보고 먹고 걷는 걸 위주로 하기 때문에 호텔에서 머무르는 시간은 매우 적다. 거의 잠만 자는 수준이기에 역에서 가까운 적당한 가격의 호텔을 즐겨 찾았다. 그런데 호텔을 세우겠다는 일념으로 3년간 150군데 넘는 호텔을 방문한 사람이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머물고 싶게 만드는 숨겨진 디테일을 소개하며 다시 찾게 되는 23가지 공간 법칙을 이야기한다.



고객을 지갑을 여는 공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저자가 소개한 곳곳의 호텔을 살펴보니 지금 당장 여행을 떠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단순히 잠을 자고 쉬는 곳이라 여겼던 호텔의 무한한 변신은 소소한 일상에 환상적인 일탈을 가져다준다. 저자는 언젠가 자신의 호텔을 세우기 위해 호텔 브랜딩의 요소를 철저하게 분석해서 설명한다. 그가 정리한 23가지 법칙은 고객을 은근하게 유혹하며 돈 버는 마케팅의 기본이 된다. 



​'천재적 발상은 한 끗 차이에서 시작된다'라는 말처럼 뻔하지 않은 호텔의 모습에 감탄하게 된다. 고객이 일회용품 사용량을 현명하게 줄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카푸치노 호텔의 사례가 그렇다. 객실에 구비된 일회용 위생용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커피나 와인 한 잔을 이용할 수 있는 쿠폰을 받을 수 있다. 쿠폰을 원치 않으면 개발도상국에 식수를 제공하는 비영리단체에 기부할 수 있다. 기후 위기 시대를 살고 있는 지금, 환경을 위해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려는 호텔과 개인의 노력이 눈길을 끈다.



​이 밖에도 폐교를 숙소로 바꾼 오월학교, 객실의 침대를 없앤 테이크호텔, 오늘의 기록을 1년 뒤 집으로 보내주는 굿올데이즈호텔, 동네 주민들이 더 자주 찾는 룰브레이커 호텔 등 개성 있는 호텔들의 면면을 살펴보는 재미가 있다. 정형화된 호텔의 모습에서 벗어나 투숙객의 니즈를 만족시키고 지갑을 열리게 만드는 호텔의 마케팅 전략에 감탄할 수밖에 없다.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이 책에 소개된 호텔을 모두 경험하고 싶다. 



​호텔이라는 공간은 단순히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 아니다. 짧은 시간 안에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장치가 함축되어 있는 공간이다. 숙박이라는 본연의 기능은 물론, 특별한 경험을 하고 싶을 때 호텔을 찾는다. 이 책은 고객 스스로 찾아오게 만드는 공간의 마법을 알고 싶은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리뷰는 21세기북스의 도서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