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단의 힘 - 조직심리학이 밝혀낸 현명한 선택과 협력을 이끄는 핵심 도구
박귀현 지음 / 심심 / 2023년 11월
평점 :
수많은 개인이 모여 집단을 형성하고 집단은 협력하여 세상을 움직이는 힘이 된다. 조직심리학자인 저자는 "어떻게 팀을 잘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인간관계부터 조직운영, 사회 정책까지 집단이 가진 힘을 설명한다. 공감과 소통이 필요한 지금 효과적이면서도 창의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해법을 찾는 이들에게 반가운 책이다.
저자는 혁신적이면서도 생산적인 집단의 비결은 개인이 아니라 팀워크라 말한다. 사실 살아온 환경도 생각도 다른 이들이 하나의 목표를 향해 전진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각자의 경험과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조합하여 최상의 결과를 이끌어 내려면 엄청난 노력과 희생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수와 소수의 역할을 파악하고 팀을 꾸려가려는 리더라면 우선 집단의 힘을 알아야 할 것이다.
저자는 "개인이 생각하는 과정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집단 안에서 서로 토론하고 의사결정하는 과정은 눈에 보인다는 점"을 파악하고 집단심리학에 집중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집단을 연구하고 관찰하며 리더십보다 서로 자유롭게 토론하는 분위기가 창의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극화 시대에 필요한 집단생활 지침서를 제안한다.
집단 간 갈등이 해결하기 위해 다른 두 집단을 꾸준히 접촉한다는 것이 이상적이기는 하나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었지만 이 책에 소개된 미국과 싱가포르 사례를 보고 나니 우리 사회에도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희망적인 생각이 들었다. 세대 간 성별 간 등 사회적 양극화가 극단으로 치닫고 있는 현실에서 서로를 존중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다시는 보기 힘들 거라 생각했다. 그러다 보니 집단보다는 개인주의 성향이 점점 더 강해지고 타인에 대한 편견이 강해졌었다.
저자는 심리학 연구 결과를 토대로 '소셜 딜레마'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공동의 이득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솔직함이라는 최선의 전략을 설명한다. 서로를 향한 솔직함과 협력, 그리고 존중은 이제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다. 이 책은 집단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싶거나 최상의 팀을 이끌고 싶은 리더 모두에게 현명한 해결책을 건네줄 것이다.
영향력을 키워 본인의 지식이나 의견이 집단에 도움이 되게 하려면 남이 갖고 있는 공통된 지식과 의견을 알아보는 것이 좋다. 그리고 그것을 폄하하지 않고 그것을 토대로 공통된 의견과 관점이 어떻게 본인의 지식 및 소견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설명한다면 자신이 가진 전문 지식이 더 빛을 발할 것이다.
P.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