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시간을 줄여드립니다 - 1년간의 생산성 실험이 밝혀낸 잘되는 사람의 루틴
크리스 베일리 지음, 황숙혜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을 하지 않아도 통장에 돈이 쌓이면 얼마나 좋을까. 종종 이런 생각을 한다. 회사를 다닐 땐 그래도 하루 8시간씩 규칙적으로 일을 했었다. 물론 그 시간을 온전히 일하는데 쏟으면 좋았을 테지만 실제 업무 이외에 잡다하게 처리할 일들도 많았고 오후가 되면 체력적으로 힘에 부치곤 했다. 프리랜서로 일하고 있는 지금은 그때보다 더 심각하다. 기본 10시간은 물론이요 12시간 일을 할 때도 종종 있고 주일과 주말의 개념도 사라졌다. 그렇게 일을 해도 늘 마감의 압박이 있으니 지금이야말로 '생산성 점검'이 필요한 순간이다.



해야 할 일은 많고 시간과 에너지는 제한적인 상황에서 생산성을 높이고 온전한 내 시간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이 궁금했다. 이 책에서는 수많은 생산성 기법 중 가장 효과적인 25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생산성 전문가인 저자는 막연하게 생각했던 일들을 자신이 직접 실험하며 실제로 가능하게 만드는 과정을 보여준다. 목차를 살펴보면 누구나 알고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실천하기란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각자에게 필요한 부분을 주의 깊게 읽고 실생활에서 직접 도입해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저자는 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각자가 가지고 있는 생물학적 황금 시간대를 파악하라고 조언한다. 하루 24시간 중 오롯이 일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파악해 보니 오전 7시에서 11시까지,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그리고 저녁 7시부터 9시까지였다. 집중하는 시간에는 확실히 처리하는 번역 양도 많았고 다른 것에 눈길조차 주지 않았다. 하지만 그 외 시간에는 집중력도 현저하게 떨어지고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확인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이렇게 집중하는 시간을 확인하고 나니 시간 관리에 대한 감이 좀 잡히기 시작했다. 



​이 외에도 거들떠보기 싫은 일과 친해지기, 디지털 단식하기, 잠자리에 드는 시간 통제하기 등 현재 나에게 필요한 현실적인 조언이 꽤 인상적이었다. 의지만으로 힘들다면 생활 시스템을 바꾸는 노력을 통해 시간 활용을 적절하게 할 수 있다. 과학적으로 보여준 객관적 증거들은 각자가 가진 에너지를 적재적소에 쓸 수 있는 팁을 건넨다. 일에 대한 심리적 압박에 고민하거나 산만한 주의력 때문에 애를 먹고 있다면 이 책이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한다. 지금껏 잘못 쓰고 있는 시간을 여유 있게 쓸 수 있는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p. 118
인터넷으로 인한 시간 낭비를 차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간단하다. 영향력이 크거나 골치 아픈 일을 할 때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면 된다. 그리고 온종일 인터넷을 최대한 꺼두면 된다. 초기 금단 증세를 극복하고 난 뒤 맛보게 될 평온함과 생산성은 다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을 것이다.

p. 348
투입한 시간 대비 운동이 가져다주는 에너지와 주의력의 규모는 놀라울 정도다. 규칙적인 운동을 일상생활에 정착시키기 위해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다. 운동이 뇌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느끼고 나면 분명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싶어질 것이다. 그 느낌을 계속 유지하려면 규칙적인 운동만이 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