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우주의 첫 순간 - 빅뱅의 발견부터 암흑물질까지 현대 우주론의 중요한 문제들
댄 후퍼 지음, 배지은 옮김 / 해나무 / 2023년 10월
평점 :
우주의 처음은 언제일까. 우주는 내가 세상에 존재하기 전에도 그 자리에 있었고 사라진 후에도 같은 자리에 있을 것이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우주에 대해서는 그 어떤 것도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따라서 이 책에 등장하는 양자중력,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등의 용어는 수수께끼 그 자체였다. 이 책에 담긴 현대 우주론은 우주와 일면식도 없던 나를 거대한 미지의 세계로 이끌었다.
암흑물질 연구의 최전선에 있는 저자는 우주 역사의 중요한 순간과 빅뱅 직후의 순간을 설명하고자 고군분투는 과학자들을 이야기한다. 망원경과 입자 가속기 등 다양한 장비를 사용해 인간이 우주를 탐구해온 역사를 설명하고 우주가 짧은 시기에 급속한 팽창을 경험하게 된 이유와 오늘날 다시 한번 가속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들려준다.
사실 우주라고 하면 복잡하고 어렵다는 편견이 있다. 이를 깨기 위해 여러 책을 읽으려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이 책 역시 그러한 두려움을 안고 읽기 시작했지만 걱정했던 것만큼 어렵지 않았고 우주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특히 암흑물질 연구로 유명한 저자는 일반인의 눈높이에서 우주를 이야기한다. 전문 용어들의 개념을 빨리 이해한다면 이 책을 읽는데 큰 무리는 없을 것 같다.
과학자들이 우주의 시작을 인식하게 된 건 불과 100여 년 전이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발표된 이후 우주의 팽창을 발견했고 이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우주의 시작을 비롯한 암흑물질, 암흑 에너지와 같은 중요한 문제들에 직면했다.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과학자들의 노력과 열정은 상상을 초월한다. 원시 우주 상태를 재현하기 위해 거대 강입자 충돌기를 제작하고 심지어 우주로 망원경을 띄워 암흑물질의 실체에 한 발짝 다가가려 한다.
이들의 끊임없는 도전과 노력 덕분에 우주를 향한 인간의 호기심 역시 계속해서 뻗어나가게 된다. 알려진 것보다 알려지지 않은 것이 훨씬 더 많은 우주라는 공간의 미스터리가 궁금하다면 이 책이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현재 우주론의 입문서로서 제격인 책이다.
P. 52
아인슈타인 이전의 우주는 영원토록 변화가 없는 온전한 모습이었다. 그러나 만일 우주가 변화할 수 있다면 우주의 시작도 있었을 것이고, 어쩌면 끝도 있을 것이다.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아인슈타인은 인간에게 우주의 기원과 역사에 대한 고민을 안겨주었다.
P. 283
우주론이 발전하면서 다른 우주의 존재를 고려해 볼 이유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이런 우주들 중 다수는 우리 우주와 매우 다를 수도 있고, 어떤 우주는 굉장히 비슷할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나는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세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가장 강력한 망원경으로도 닿을 수 없는 곳에 있는 세상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