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탈인간 선언 - 기후위기를 넘는 ‘새로운 우리’의 발명
김한민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11월
평점 :
2023년 11월은 여름처럼 더웠고 겨울처럼 추웠다. 한창 늦가을의 정취에 물씬 취해야 할 때 역대급 기후 변화를 경험하고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환경운동가인 저자는 인간중심주의에서 벗어나 기후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공생 방법을 고민한다.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기후위기의 실상을 보여주고 이를 초래한 인간중심적인 가치와 관습들을 비판하며 우리의 책임과 변화에 대해 이야기한다.
솔직히 최근 들어 기후위기에 관심이 생긴 것이지 내 생활과 크게 맞닿아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하지만 들쑥날쑥한 기상과 지구 반대편에서 벌어지는 여러 기후 변화를 뉴스로 접하며 생각보다 우리의 현실에 훨씬 가깝게 다가오고 있다는 걸 실감할 수 있었다. 어쩌면 이 모든 위기는 인간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무분별한 성장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급증하고 이로 인해 대기와 해양 등 각종 오염이 심해졌다. 인류가 초래한 문제는 이제 기후위기라는 거대한 숙제를 떠안겼다.
이에 저자는 탈인간중심주의를 선언하며 책임질 줄 아는 인간으로의 전환을 선포한다. 그러면서 신공항 건설을 중지하고 포획 금지 구역을 설정하는 등 인간이 실제로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변화를 이야기하고 공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사실 이러한 문제는 한 사람의 힘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저자의 주장에 따라 각자가 할 수 있는 변화에 대해 고민하고 실천함으로써 전 인류가 하나가 되어 기후위기를 타개해야 한다.
저자가 제안한 여러 방향 전환 중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건 역시나 나를 바꾸는 것이다. 완전한 비거니즘이 되기는 힘들겠지만 육식 위주의 식습관을 서서히 바꾸고 기후정치 시민행동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변화는 결코 저절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기후위기라는 커다란 숙제 앞에서 나로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변화를 범위를 넓혀 함께 연대하고 공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볼 수 있는 책이다.
P. 9
탈인간은 먼저 탈인간중심주의의 준말로, 말 그대로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려는 몸부림이다. 그것이 몸부림인 이유는,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그 벗어남을 완벽히 성취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세의 비극을 탄생시킨 인간에 대한 반성과 이를 극복하려는 시도는 목표로 삼을 만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