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거짓말
라일리 세이거 지음, 남명성 옮김 / 밝은세상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마 데이비스는 부잣집 아이들이 주로 가는 캠프가 궁금했다. '나이팅게일 캠프'라 불리는 캠프에 열세 살 여름방학에 캠프에 참가하게 되면서 세 살 위 언니들인 비비언, 내털리, 앨리슨과 같은 오두막에서 생활한다. 오두막의 리더 격인 비비언이 유독 에마를 친동생처럼 여기고 잘 챙겨주었지만 캠프 운영자인 프래니의 아들 테오를 짝사랑하던 에마는 우연히 비비언과 테오가 사랑을 나누는 장면을 목격하고 세상이 끝나버린 듯한 기분을 느끼게 된다. 이후 에마는 잠결에 세 언니들이 오두막을 떠나는 모습을 보지만 아이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 15년 후 에마는 다시 문을 연 나이팅게일 캠프에 프래니의 권유로 미술 강사로 참여하게 되고 어린 세 학생과 오두막에서 지내며 사라진 아이들의 비밀을 조사하기 시작하는데...


이제부터 게임을 하려고. '두 진실, 한 거짓말'이라는 게임이야. 우선 자기 자신에 대해 세 가지를 말하는 거야. 세 가지 말 중에서 둘은 반드시 진실이어야 해. 하나는 거짓말이어야 하겠지. 그럼 다른 사람들이 어떤 말이 거짓인지 맞히는 거야.
p. 114


거짓말만이 게임에서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면 나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이 게임의 목적은 거짓으로 상대를 속이는 것이 아니라 진실로 상대를 속이는 것이다. 소설은 자연 속 캠프를 배경으로 실종 사건에 대한 진실을 현재와 15년 전 과거를 교차하며 풀어 나간다. 특히 참가자의 나이가 어리다는 점과 외부와 단절된 공간이라는 설정은 사건의 긴장감을 증폭시킨다.


​어린 소녀들은 게임이라는 수단을 이용하여 상대의 비밀을 폭로하고 복수의 수단으로 이용한다. 주인공인 에마의 불안정한 정신 상태는 실종사건의 범인에 대한 궁금증 뿐만 아니라 에마의 진술에 대한 신빙성까지 의심하게 만든다. 또한 이미 캠프의 경험이 있는 비비언의 말과 태도는 에마의 잘못된 판단과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하는데 일조한다. 


​어른이 된 에마가 사라진 아이들을 찾아 나서고 같은 사건이 반복해서 일어나면서 과거의 사건은 현재진행형이 된다. 에마가 가장 유력한 용의자가 되자 나 역시 혼란스러웠다. 비비언 일행이 사라진 건 에마의 짓일까. 열세 살 소녀가 과연 그럴 수 있을까. 등 수많은 생각이 머릿속에 복잡하게 떠올랐다. 그리고 소설 앞부분의 복선이 하나둘씩 맞춰지고 결말에서 예상치 못한 반전을 마주했을 때 심리 스릴러를 읽는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잔혹한 행위나 끔찍한 범죄 없이도 충분히 서늘함을 느낄 수 있는 소설이다. 마지막 진실에 다다르면 소름 끼치는 쾌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