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뷰티 - 장애, 모성, 아름다움에 관한 또 한 번의 전복
클로이 쿠퍼 존스 지음, 안진이 옮김 / 한겨레출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천성 장애인 '천골무형성증'을 앓고 있는 저자는 장애로 겪게 된 차별과 편견을 이야기한다. 사람들의 시선 속에서 자신이 장애인임을 깨닫게 되고 그로 인한 결핍을 내면의 아름다움으로 채우며 세상으로부터 스스로를 지켜 나간다. 그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아름다움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다.


​저자는 의사들의 비참한 예측에도 불구하고 철학자이자 한 아이의 엄마로 치열한 삶을 살아내고 있다. 삶의 고통을 철학적으로 인식하고 타인의 부정적인 시선을 거부하며 스스로 빛을 낸다. 그녀의 이야기에 장애와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해 본다. 저자는 자신의 몸이 처음부터 불완전한 몸이 아니었다고 말한다. 끊임없이 사람들에게 부정당하고 상처받으며 장애인임을 인식하게 되었고 본능적으로 이를 외면했다는 고백에 장애를 바라보는 사회와 나의 시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철학자인 저자는 다양한 철학자들의 말을 빌려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자신만의 아름다움에 대해 정의 내린다. 장애와 모성, 아름다움에 관한 이야기는 다양한 장소를 거쳐 이어진다. 브루클린의 어느 술집에서는 두 남자가 저자의 삶이 살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밀라노의 비욘세 콘서트장에서는 직설적이고 자신만만한 아름다움을 경험한다. 또한 자아를 찾기 위한 캄보디아의 킬링필드로의 여정은 그녀가 철학자로서 인간 본성을 연구하려는 계획의 발판이 되어 준다.


​세상이 장애인을 바라보는 시선에서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의심하게 되었다는 말에 그동안 내가 장애에 대해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았는지 돌이켜 보게 되었다. 저자는 한 아이의 엄마로서 장애 여성이 임신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시선을 이야기한다. 아이를 바라는 모성을 담당의와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도덕성에 비추어 부정하고 임신을 해서는 '안 되는 몸'이라 단언하는 현실이 슬프고 잔인하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들의 주장이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저자는 장애여성이 아닌 여성으로서 아름다움에 관해 생각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해방을 느낀다고 말한다. 진정한 아름다움이란 무엇일까. 오랜 시간 사회가 정한 외적 아름다움에 끌려다녔던 건 아니었을까. 아름다움에 대한 저자의 우아한 심판으로 내 안의 편견과 오해를 제대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다.

P. 39~40
사람들은 대부분 나의 키에 먼저 주목한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나의 걸음걸이를 주목하고, 나의 몸이 다리의 무릎 아래 부분과 두 발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나머지 신체와 균형이 맞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차린다. 의학 용어로 나의 장애는 ‘천골무형성증Sacral Agenesis’이라고 한다. 세상에 태어난 순간부터 나에게는 척추와 골반을 연결하는 뼈인 천골이 없었다. ‘agenesis(무형성)’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어떤 것이 생성되지 않았거나 생성에 실패했다는 뜻이다.


p. 138
사람들은 나를 불편해했고, 때로는 잔인하게 굴었지만, 대개의 경우 그저 나를 끼워주기가 어려우니 나를 가장자리 남겨두는 게 편하다고 느꼈다. 내 몸은 항상 눈에 보였지만, 내가 나의 ‘자아’라고 불렀던 것은 눈에 보이지 않았다. 나는 그 불가피한 일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나 자신을 배제했다. 더 현실적인 삶, 사방에서 반짝이는 삶, 밝고 충만하고 접근 불가능한 삶의 흐름에서 밀려나기 전에 나만의 고독한 장소로 대피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