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tral

         dir. michael mann
         photo. dion beebe/paul cameron
         music. james newton hooward
         cast. tom cruise, jamie foxx
         time. 120min

 

 

LA 택시 운전사 맥스, 어느 날 밤 손님으로 빈센트라는 킬러를 태우게 되고, 그의 청부 살인에 끌려다니게 된다.
아무런 결정권도 맥스에게는 없다.
모든 것은 빈센트가 결정한다.

살인에 대해 묻는다.
원한도 없고 알지도 못하는 사람을 왜 죽이느냐고?

빈센트는 말한다.
LA 지하철에서 사람이 죽었는데, 6시간 동안 그 많은 사람들이 방치했다고.. 어느 누구도 모르는 사람의 죽음에 신경쓰지 않는다고...

그런 빈센트는 결국 일을 끝내지 못하고 맥스의 총에 죽는다.
그것도 LA 지하철 안에서...

인간은 먼지같은 존재라고 한다.
하지만 그 먼지들이 모여 세상을 이룬다고는 생각해 보지 못했을까..
그 먼지조차 소중한 것이 이 땅의 진리라고는 왜 생각하지 못했을까?

TOM CRUISE의 악역은 의외이다. 항상 정의의 영웅처럼 생각되는 그니까.
하지만 냉혈한처럼 청부살인을 수행하는 그의 얼굴에서는 정말 빈센트라면 가질 수 있는 모습이 보인다.

영화가 너부 철학적이다.

머리 속이 혼란스럽고 어지럽다.
내 존재는 도대체 무엇일까?

collateral의 사전적 의미는, 부차적인, 부대적 사건 등등이다.
이 영화와 제목의 관계는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grams

 

 

 

 

 

 

 

 

 

 

 

 

 

 

 

 

 

 

 

 

 

 

 

21Grams

 

dir. Alejandro Gonzalez Inarritu

phto. Rodirigo Prieto

cast. Sean Penn, Benicio Del Toro, Naomi Watts

 

21grams.....

인간이 죽으면 줄어드는 무게라고 합니다.

과학자들의 영혼의 무게가 얼마나 되는지 측정하려고 여러 차례 실험을 하고 나서 얻은 객관적 무게랍니다.

정말 인간이 가진 영혼의 무게가 21grams일까요?

 

영화 속에서....

Sean Penn은 사랑의 무게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고 싶어 합니다.

Naomi Watts는 복수의 무게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고 싶어 합니다.

그리고

Benecio Del Toro는 죄의 무게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고 싶어합니다.

그 무게들을 알 수 있을까요?

 

과거와 현재, 미래를 넘나들며 전개되는 스토리 전개가 머리 속을 어지럽히고

내 영혼의 무게에 어지럽고...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정말 내 영혼의 무게가 얼마인지 궁금하더군요.

 

배우들의 연기는 일품이었지만,

혼란스런 시간의 뒤얽힘이 조금 영화 보는데 힘이 드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onster

 

 

Monster

 

dir. Patty Jenkins

photo. Steven Berstein

cast. Charlize Theron, Christina Ricci

111min.

 

"사랑을 지키기 위해 살인을 멈출 수 없었다."

굉장한 문구가 아닐 수 없다.

주인공 리는 미국 최초의 여자 연쇄 살인범으로 2002년에 사형당했다.

13살, 집안을 꾸려나가기 위해 거리에 나가 몸을 팔아야 했고,

죽기를 각오했던 어느 날 자신에게 진심으로 관심을 가져주고 사랑한 셸비를 만나게 된다.

그녀를 위해 살인을 하기 시작한 그녀.

법정에서 자신을 살인범으로 지목한 그녀를 보면서

그녀는 아마도 아무도 자신을 사랑하지 않을 것임을 느끼지 않았을까 싶다.

그녀의 살인은 정당화될 수 없지만

그녀의 상황은 정당화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주인공 역의 Charlizs Theron의 연기는 가슴을 짓누르는 아픔을 가져다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칼의 노래

      지은이 : 김 훈

      출판사 : 생각의 나무 /  2001

 

"이제 죽기를 원하나이다. 하오나 이 원수를 갚게 하소서."

노량 해전 출정에 앞서 그가 올린 기원이다.

이순신의 이야기를 할 때마다 매번 들었던 이 한마디가 이 책의 말미에서 문득 눈시울을 뜨겁게 만드는 것은 무슨 이유에서일까?

눈에 보이는 적, 눈에 보이지 않는 적, 칼로서 베어지는 것, 그리고 칼로서 베어지지 않는 것

눈에 보이는 적, 그리고 칼로서 베어지는 것은 보이는 데로, 베어지는 데로 하면 될 것이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적은 어떻게 찾아낼 것이며 칼로서 베어지지 않는 것은 어떻게 베어낼 것인가?

어쩌면 그는 임진년 이후 전쟁터에서 그것을 고민하며 괴로워하고 극복하려고 하지 않았을까?

김훈의 [칼의 노래]를 읽으면서 내내 그것이 마음에 걸렸다.

우리는 늘 이순신을 가리쳐, 성웅, 불멸의 신이라 불렀다.

그는 살아있는 역사 속의 한 사람이기 보다, 현실에는 없었던 신화적 인물로 색칠되었다.

원탁의 기사였던 아더 왕이 실존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저 신화 속의 영웅처럼 그려지듯이, 이순신 역시 실제하는 유한하고 나약한 한 인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불사신처럼, 혹은 실패를 모르는 전쟁 영웅처럼 그려지고 있는 것은 아니었던가 싶다.

김 훈의 [칼의 노래]에는, 임진년 이후 이순신의 행보 속에서,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그의 인간적인 고뇌와 전쟁의 잔혹함, 그리고 어지러운 당시의 정치 현실을 강하면서도 매끄러운 문체로 표현되고 있다.

책을 한 번 잡으면 결코 손을 놓을 수 없는, 이 강렬하고도 매혹적인 이끌림, 그것은 어쩌면 당시 이순신의 환도에서 들렸던 울음, 그것이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선비와 피어싱

         지은이 : 조희진

         출판사 : 동아시아

         2003년

 

어느 가수가 건강 검진을 위해 X-ray촬영을 했다.

그런데 복부 부분에 이상한 물체가 잡혔다.

혹시 종양이?

그런데 확인해 보니까 배꼽에 한 피어싱이었다.

의상이나 머리 모양새로 더 이상 변화를 추구할 수 없게 된 사람들이 원시적인 방법으로 신체에 구멍을 뚫어 장신구를 착용하는 피어싱....

귀고리 역시 피어싱의 일부라면....

신라시대부터, 혹은 조선시대에 귀를 뚫고 귀고리를 착용했던 우리네 사대부가 자제들을 떠올려야 할 것이다.

조희진의 [선비와 피어싱]을 읽으면서 우리가 몰랐던 우리네 사람들의 복식사를 접하게 되었다.

허리띠 하나에도 삶의 애환이 묻어 있고,

옷감의 색상 하나 하나에 의미가 담겨 있음을 쉽게 접할 수 있어 좋았다.

지금 우리가 너무 쉽게 생각하고 버리는 것들이, 예전에는 얼마나 어렵게 얻어지고 힘들게 쓰여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이제 세탁기에 빨랫감을 넣고 돌리면서도

예전 우리 아낙네들이 하나 하나 정성스런 마음으로 빨래를 만지던 그 마음으로 돌아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