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를 훔친 남자
후안 호세 미야스 지음, 고인경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우연한 기회로 옆집 남자의 집에서 살게 된 남자. 그는 옆집 남자의 물건만을 써야하는 상황에서 묘하게도 전혀 반대되는 타입이라고 생각했던 옆집 남자와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 동질감은 점점 심해지고, 나중엔 부재한 옆집 남자와 자신을 동일시하게 된다. 두 사람은 처음부터 한 사람이었던 것처럼.

이런 일이 정말 가능할까?
 

소설은 '가능성'을 묻지 않는다. 다만 다양한 비유와 은유로 그 체험 자체가 의미하는 상징을 제시한다. 

1. 우리는 다른 사람과 같아지려는 욕망을 품고 있다. 본질적인 고독 때문일 수도, 사회화의 관습 때문일 수도 있다. 어쨌거나 욕망 자체에는 변함이 없다. 이것은 그 욕망의 극단적인 상황에 놓인 한 인생의 이야기다.

2. 또는 이런 것은? 이 소설은 자기합리화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의지가 먼저 있고, 그 의지에 따라 모든 상황을 자신이 욕망하고자 하는 쪽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동일성도 그것의 연장일 뿐이다. 그래서 얼핏 모순되어 보이는 이야기는, 주인공들이 모두 타협 가능한 해피엔딩으로 끝나게 된다.

넘치는 상징과 재치 있는 비유는 소설을 흥미롭게 하지만, 넘치는 것은 때로 부족한 것만 못하다. 재미있으면서도 못내 아쉬운 책(아니면 나의 이해부족일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본격 제2차 세계대전 만화 1권
굽시니스트 지음 / 애니북스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 때 시골에 내려가면 이원복 교수의 '먼나라 이웃나라'가 있었다. 그 어린 게 밤을 새고 그 만화책을 읽곤 했는데, 나이를 먹고 어른이 돼서 보니 그 책은 수많은 패러디를 차용하고 있었다. 고우영의 '십팔사략'도 같은 맥락이다. 역사를 재해석하는 데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대중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접근하는 데에 패러디를 사용하는 것은 꽤 적절해 보인다. 그리고 마침내 지금의 2~30대들이 환호할만한 패러디가 나왔다. 그렇다고 모든 이들이 환호할 만한 책은 아니다.

이 책은 이런 책이기 때문이다.

내용이 풍부하다. 하지만 학습용은 아니다.
진짜 재밌다. 하지만 원작을 알아야 한다.
성인용이다. 하지만 야한 컷은 없다;
 
저자 '굽시니스트(뜻은 모른다. 안 나온다)'에겐 '용자'라는 호가 있다. 아마 인터넷용어로 '용기있는 자' 정도를 뜻하는 것 같다. 그렇다. 패러디는 용기를 필요로 한다. (이미 인기있는)원작을 전복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굽시니스트의 호는 적절하다. 그에게 패러디의 대상은 스타크래프트이고, 인터넷용어이고, 일본애니매이션이고, 때로는 허경영(!)이다. 동시에 그의 독자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현재의 인터넷 세대들이다. 우리 세대의 패러디 작품을 내줘서 고맙다.

두어 시간동안 깔깔거리며 봤지만, 의미 있는 작품이다.
기분 좋게 2권을 기다리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괜찮다, 다 괜찮다 - 공지영이 당신에게 보내는 위로와 응원
공지영.지승호 지음 / 알마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읽을 책들이 있었는데도 삼 일동안 이 책만 들고 있었다. 사실 제목이 좋아서, 나를 위로해주는 것만 같아서 다른 책들보다 곁에 두었던 것 같다. 요새 힘든 일이 많아서 위로받고 싶었던 모양이다.

읽는 내내 행복했다. 이 사람이 질투난 적은 한 번도 없었고(사실 굉장히 힘들게 살고 있는 것 같은 느낌 ^^;), 오히려 내가 공지영이란 작가를 다독여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생이라는 강바닥에 돋아난 바위들을 고스란히 헤치며 흘러가는 강물처럼, 얼마나 힘들었을까. 그녀는.

괜찮다, 다 괜찮다.

그녀는 나에게 얘기해주고, 나도 그녀에게 속삭여주는, 따뜻한 가을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마음을 울린, 책 속 그한마디

   
 

 지금까지 해본 가장 용감한 일이 뭐예요?

... ...오늘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난 거. (307p)

 
   

그 때 알게 되었다. 이 남자의 무게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그 억척스러움, 사방에 대한 경계, 때때로 보여주던 잔인함, 그리고 그것들을 넘어서는 사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
코맥 매카시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고 이틀이 지났다. 비로소 가슴이 두근거리기 시작했다.

책표지를 쓰다듬어본다. 위대한 작품, 감히 소설 앞에 위대하다는 수식어를 붙여본다. 어울린다. 나는 절대 성취할 수 없을 것 같은 것을 코맥 매카시는 만들어냈다. 나 뿐만 아니라 이전의 누구도 만들어내지 못했던 것을 그는 그렸다.

<로드>의 가장 큰 성취는 '세계'다. 나는 대단한 소설을 평가할 때, 그 소설이 갖고 있는 세계를 본다. 그것이 확고하고 명징할 때, 종이 위의 검은 기호에 불과한 것들이 비로소 단단한 육체를 획득한다고 믿는다. 인물이나 문장은 물론 그 다음이다(때때로 인물이나 문장이 고스란히 하나의 세계일 때도 있다. 김훈의 문장이 내겐 그랬다). <로드>의 세계는 무언가에 의해 멸망해버린 문명으로부터 출발한다. 잿더미가 된 도시 위에 단 두 사람이 있다. 아버지와 아들. <로드>는 그들에게 이 세계를 던져준다. 그곳은 내가 본 곳 중 가장 구체적인 멸망이 있는 세계다. 그곳은 "재의 큰 파도들이 위로 솟구쳤다가 광야를 거쳐 멀리 쓸려내려가는" 곳이며, "해안 평원의 강들이 황무지가 된 농장들을 가로지르는 납빛 뱀처럼 보이"는 곳이며, "하루하루가 헤아림도 없이 달력도 없이 진창을 기어가듯 지나가는 곳"이다. 그리고 그 곳은 내가 본 세계 중 가장 비현실적이면서 동시에 가장 존재감 있는 세계다. 그 존재감이 이 소설을 한 차원 높은 곳으로 격상시켜준다. 책을 읽는 동안만큼은, 책을 읽은 뒤에도 이 소설을 떠올리는 동안만큼은 결코 누구도 이 세계에서 빠져나갈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을 확신한다.

<로드>에서 빛나는 다른 것은 '문장'이다. <로드>의 문장은 모래주머니를 연상시켰다. 그것은 매우 무겁지만 다행히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 무거웠다. 안 된 일이지만, 아마 어떤 사람들은 감당하지 못하고 중간에 내려놓을지도 모른다. 그들은 대부분 여백을 기다렸기 때문일 것이다. 로드의 문장에는 여백이 없다. 생각할 시간도 없다. 그냥 문장이 있고, 또 문장이 있을 뿐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멸망한 세계를 가장 잘 떠받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어떤 임무를 수행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임무는 작가가 지시했다기 보다, <로드>를 구성하는 세계가 지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어떤 문장들은 그것을 쓰는 작가마저도 질식시키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단단하다. <로드>의 문장에는 타협이 없다. 그것이 독자든, 작가든. 그저 멸망한 세계에 가장 잘 어울리는 잿빛 문장들일 뿐이다.

<로드>의 감동은 '살아남은 두 사람'에게 있다. 남자와 소년. 그들은 <로드>의 세계와 정면으로 맞서는 인간이다. 음식물을 싣고 나르는 한 개의 카트와, 두 발의 총알을 장전한 한 정의 권총이 그들의 전부다. 세상은 멸망했고, 문명은 붕괴되었고, 살아남은 이들은 다른 이들을 살육해 잡아 먹는다. 지구에 단 한 사람이 살아남을 때까지 절망은 계속될 것이다. <로드>의 세계에는 희망이 없다. 신도 없고, 당연히 구원 같은 것도 없다. 남자와 소년은 그런 의미에서 어쩌면 <로드>라는 이야기의 바깥에서 이 세계에 도전하기 위해 온 것만 같다. '남자'는 문명을 경험한 사람이다. 그는 이 세계가 변하지 않을 것을 안다. 그는 이 지긋지긋한 절망을 끝내고 싶다. 그는 죽고 싶은 것이다. 그러나 그는 걷는다. 남쪽이라고 부르는 목적지에 도착해도 결국 그에겐 희망이 없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그는 걷는다. 다만 자신의 아들을 이 세계에 혼자 남겨둘 수 없기 때문이다. 그에게 구하고자 하는 인간이 있다는 것은 어느샌가 자신의 목숨 이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반면 '아들'은 문명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이다. 그렇기에 소년은 늘 자신과 같은 인간의 존재를 그리워한다. 낯선 사람을 만나도 소년에겐 잡아먹힐 것이라는 두려움보다, 동정심과 반가움이 앞선다. 소설의 마지막에서 소년이 숲길로 도망가지 않는 것은, 그가 <로드>가 만들어낸 세계보다 '인간'을 선택한다는 의미에서 빛나는 장면이다. 완벽한 절망의 세계에서 결국 인간은 인간을 구원할 것이다.

<로드>를 떠올리면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나,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가 연상된다. 그러나 이들과 비교하지 않겠다. 그것은 이 작품들에게는 물론이고 <로드>에게도 큰 실례가 될 것이다. 항상 위대한 것들은 단지 그것으로 빛나는 역사를 이뤘다. <로드>는 <로드>다. 그것이 내가 이 작품에게 바칠 수 있는 최고의 찬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