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은 노래한다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은 노래한다’의 시공간적 배경은 불멸의 총서 ‘1932년’과 겹친다. 용정과 어랑촌 등 소설 배경지는 김일성 부대가 항일빨치산 투쟁을 벌였던 동만주 지역 중 하나다. 1930년대 동만주는 일본 제국주의와 그에 맞선 조선, 중국 민중이 격돌하는 최전선이었다.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 나(김해연)는 만철에 근무하는 조선인 기수(技手)로, 두 힘의 충돌에서 비껴나 있는 ‘제3자’였다. 그런 ‘나’는 정희라는 공산주의자 여성과의 만남과 그의 죽음을 계기로 격돌의 한쪽 당사자에 편입된다.  

이 시기 만주는 한때 공산주의 운동을 했다가 옥중전향한 니시무라 히데하치가 만철에 입사해 또 다른 차원에서 ‘혼을 증명하고’ 있듯이 다른 인간으로 거듭나거나 거듭난 체 하거나, 다른 인간으로 행세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만주에서 뭘 곧이곧대로 믿는 건 바보 아니면 코흘리개’(75페이지)란 말이 있을 정도로 1930년대 만주는 아무도 믿을 수 없고, 때론 자기 자신마저 믿어서는 안되는 불신의 시공간이었다.

1930년대 중국공산당이 내부의 민생단 조직원들을 제거한다는 명목으로 자행된 조선인 집단살해 사건인 ‘민생단 사건’은 1930년대 만주라는 시공간이 빚어낸 광기의 참극이었다. 내 곁에서 생사의 고비를 함께 넘던 혁명 동지가 민생단인지 아닌지, 그를 의심하는 나야말로 민생단일지도 모른다는 불신의 나선(spiral) 속에 수많은 혁명가들이 덧없이 죽어갔다. 중국 공산당과 연대해 반일투쟁을 벌이던 조선의 혁명세력에게 민생단 사건은 혁명을 지속하는데 중대 고비였다.

‘1932년’에 김일성이 민생단 사건을 해결하고 중국과 연대를 회복한다는 기술이 나오지만, 사태의 성격을 감안할 때 김일성에게조차 매우 힘겨운 일이었을 것이다. 한홍구가 해제에 기술했듯이 민생단 사건은 항일유격대 출신의 북한 지도부의 심리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