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역사 - 삼국편
임용한 지음 / 혜안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유럽에는 등자가 8세기 경에나 보편화. 그래서 알렉산더나 유럽 기병은 등자없이 말을 탔다. 반동 감당하기 어려웠을 것. 그래서 돌격해서 창으로 직접 찌르기보다는 3m정도 근접하면 말위에서 창을 적에게 집어던졌다. 길이는 보통 2m~3.5m. 3kg. 동양의 중장기병은 4~5.4m, 9kg.

* 중장갑을 하고 훈련이 잘된 보병대열은 제 아무리 중장기병대라도 결코 만만히 볼 수 있는 상대가 아니다. .. 말은 장애물을 싫어하고 겁이 많은 동물이라 아무리 기수가 명령해도 무모하게 돌격하지 않는다. 카이사르의 2천 중장보병이 폼페이우스의 7천 기병대의 돌격을 가로막게 했다.

* 중장보병 밀집대형 전술은 그리스 로마의 전매특허가 아니다. <후한서>에 예족들이 보병 전술에 능하여 9m나 되는 창을 여러 사람이 들고 다닌다는 기록이 있다.

* 고국원왕. 평양성 전투. 고구려군 탈영병 하나가 백제로 넘어가 고구려 군대 숫자 허세라고, 붉은 기 사용하는 부대가 정예부대라고 알려주었음.

* 고구려 군대가 모용황과 근초고왕에게 패배한 이유. 당시 사회가 부족연맹체를 극복해가는 과정이었다고 하지만 아직 개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 광개토대왕 장수왕은 과거의 부족연합군이나 귀족군대의 한계를 넘어선 체계화되고 표준화된 군대를 인솔하고 대정복전에 나섰다.

* 고구려군 공격이 시작되자 개로왕은 신라에 구원병 요청. 당연히 남부 귀족들에게도 구원 요청 했겠지만 정작 구원병은 신라쪽에서 먼저 왔다.

* 무령왕때 한번은 한성 탈환에 성공. 그러나 다시 고구려에게 빼앗김.

* 한성이 백제에게 점령되자 한강 이남에 진출한 고구려군 처지가 위험. 고구려군이 물러나자 곧바로 신라군이 소백산맥을 넘어 싸우지도 않고 죽령 이북의 10개군을 차지. 신라의 공격이 사전에 백제와 합의가 된 것인지, 백제의 공격 정보를 알아차리고 신라가 단독으로 행동에 나선 것인지 분명치 않다.

* 수 양제. 형 폐위시키고 병든 아버지 살해한 뒤 즉위. 제2츼 진시황이라 불린다.

* 현무문의 변 : 궁성 북문 현무문에서 고조 둘째 이세민이 형인 태자와 동생을 살해. 정변 후 이세민은 부친 고조를 감금했다가 퇴위시키고 황제로 즉위. 인륜을 중시하는 동양사회에서 형과 동생을 죽이고 동생의 첩을 강탈하고, 부친 쫓아내는 패륜을 저지르고도 그처럼 존경받는 사람은 당태종 이외에는 없다.

* 고구려와 당, 처음에는 평화관계. 당에 고구려지도를 보내고 1만 포로를 송환하기도. 수와의 전쟁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경관;(해골 무덤)도 해체.

* 성화봉송은 히틀러 정권이 개최한 베를린 올림픽때 창안한 작품. 그리스에 채취한 성화가 유럽 대륙을 달려 베를린까지 가는 동안 독일의 올림픽 기록 영화 촬영팀은 유럽 국각의 주요 도로망을 샅샅이 적어 군사령부에 바쳤다.

* 과거 안시성주가 연개소문에게 반기를 들었기 때문에 이성에는 중앙군이나 연개소문파 군대를 파견하거나 군대를 섞어서 재편하지도 못했던 것 같다. 그것은 안시성 수비군이 이 지역의 토착병으로 구성되었으며, 그만큼 군의 단결력과 병사와 성 주민과의 유대감이 높다는 뜻이 된다.

* 안시성 전투 당시 고구려군이 3개월 동안 버티자 당이 맞은편에 토성을 쌓아. 토성이 비에 허물어지면서 토산과 성이 연결. 위기의 순간에 고구려 군 수백명이 역습을 가해 거꾸로 토산을 점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