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 50초 셀프 토크 - 아들러 심리학의 행복 실천법
오히라 노부타카 지음, 이정환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6년 2월
평점 :
품절
아들러 심리학. 행동. 욕망을 엮은 자기계발서.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에 자기전에 사실은 무엇이 하고 싶은가 스스로에게 물어봐서 자신의 욕망을 알고 행동하기.
프롤로그
'1분 만에 미래를 바꾸는 방법'에 대한 내용
가장 중요한 조건은 성공을 위한 비전을 향해 즉시 행동해야 한다는 것.
- '중심이 없다'는 핀잔을 듣던 열등했던 시절
제1장. 원인보다는 욕망을 알아야 한다
- 왜 행동할 수 없을까?
원인만 알면 행동할 수 있게 된다
- "왜 안될까?"가 아니라 "어떻게 해야 더 잘할 수 있을까"
트라우마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왜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가가 아니라 어떤 목적을 이루고 싶은 것인가 어떻게 하면 지금보다 일이 더 잘 진행될 것인가에만 집중해야 한다.
*원인을 특정 지으면 반드시 행동할 수 있게 된다?
원인을 안다고 바뀌는 것도 아니고 원인 해결하거나 제거하는 일은 더욱 어렵다.
원인에 중점 두면 '과거는 바뀌지 않으니까 손 쓸 방법이 없어'라는 결론 내리기 쉽다.
어떻게로 초점 바꾸는게 더 행복에 가까워질 것.
- 아들러 심리학을 토대로 한 행동 이노베이션 방법
무엇이 문제인지를 찾을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좀 더 잘할 수 있을까를 찾기
- 아들러는 "인생을 만드는 것은 자신이다"라고 말했다.
인생의 의미는 자신에게 스스로 부여하는 것.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하면 된다"
- 욕망이란 무엇일까?
욕망은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이다. 있는 그대로.
두뇌언어, 신체언어, 심리언어.
신체언어는 지금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무엇을 해야 기분이 좋아질지. 심리언어는?
욕망을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것, 즐거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 해석해보기.
- 당신이 행동하지 않는 이유를 찾는 것은 간단하다.
변명, 걱정, 포기, 학습부족, 우왕좌왕. 지속하지 못하는, 최선을 다하지 못하는
의존, 타인의 시선 신경쓰는.
제2장. 욕망에서 비전이 탄생한다.
- 아무리 목표를 명확히 세워도 사람은 행동하지 않는다.
즐거움이 없어서?
언어 수준이면 알고는 있지만 안하는 상태. 감정과 행동 담당하는 뇌에 접근해야 한다.
- '욕망' 다음에 '비전'이 탄생한다
- 어린 시절에는 누구나 '비전'을 가지고 있다.
- '욕망'은 천박하거나 유치해도 상관없다.
- 천박한 '욕망'은 반드시 '바람직한 비전'으로 바뀐다.
- 자신과 '친해지면 진정한 '욕망'이 보인다(yes, and)
- 스스로의 채점으로 얻은 점수를 평가하자.
제 3장. 1분 행동 이노베이션1. 셀프 토크>
- 왜 '1분'인가?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짧게. 지속
- '1분'의 효과를 극적으로 높일 수 있는 시간대는?
아침에 일어나서 10분이내 자기전 10분이내.
자기전엔 좋은 생각하자!
- '1분 행동 이노베이션'은 두 가지 패턴으로 나뉜다.
50초 셀프 토크, 10초 액션
- 좋은 커뮤니케이션, 나쁜 커뮤니케이션이란?
뇌는 좋은 이미지, 나쁜 이미지 가리지 않고 충실하게 현실화하려는 특징 가지고 있다.
모든 것은 본인이 결정하는 것이다
-'50초 셀프 토크'로 실행해야 할 단 한 가지.
"사실은 어떻게 하고 싶은가?"를 자문할 것.
'행동하고 싶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대답
- 50초 셀프 토크를 성공시키는 비결1
인간은 경험이 쌓일수록 '안되는 이유'를 금방 발견한다.
이런 두뇌언어가 진정한 욕망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은'이라는 말은 그런 현실을 제거했을 때 (안 되는 이유를 빼면)
- 사실은 무엇을 하고 싶은가? 이다
현실을 바탕으로 생각하는 두뇌 언어는 대부분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의무감에 바탕을 둔 경우가 대부분. 그러니 신체언어, 심리언어는 어떤 말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 50초 셀프 토크를 성공시키는 비결2.
지속적으로 질문하자.
자신의 진정한 욕망이 무엇인지 깨닫기.
처음에는 대답을 찾아내지 않아도 된다
- 50초 셀프토크를 성공시키는 비결3.
예를 들면, 그 밖에는 사용하기
- 나 자신이 체험한 '50초 셀프토크'의 위력
평범한 삶이라는 맥빠진 대답에서 음식부터 시작해서 계속해보니까 변화하기 시작.
사소하고 시시한 것도 부정하지 않는다.
끊임없이 질문하기.
자신의 욕망에 솔직해지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작은 변화 깨닫기
변화가 너무 작아서 깨닫지 못해도 매일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 4장. 1분 행동 이노베이션2. 액션
- '50초 셀프토크'만으로는 인생이 '바뀌지 않는다'
사소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행동'을 해야 인생이 바뀌는 것이다.
깨달음을 얻고 해답을 발견한 직후에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 '10초 액션', 불과 10초만에 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자신이 원하는 모습에 다가가기 위한 액션을 취한다.
10초만에 할 수 있는 행동이면 무엇이건 상관없다.
- '10초 액션'이 효과적인 다섯 가지 이유
1. 50초 셀프토크를 통하여 지향하는 장소나 방향이 명확해진 직후이기 때문
2. 뇌가 설렘으로 가득하기 때문
3. 실패가 두려워서 걸음을 멈추는 일이 없기 때문(생각할 틈도 없이 일단 실행하는 것)
4. 10초 액션은 반드시 성공하기 때문(성공체험이 축적)
5. 10초라는 짧은 시간에도 많은 것을 할 수 있기 때문
- 10초부터 시작하는 '행동 이노베이션'
최초의 첫걸음이 존재한다.'기분을 좋게 만든다'는 것은 중요한 '행동'이다.
행동= 자신의 몸과 마음을 기분 좋게 만드는 것
-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에 잠들기 전 10초 동안 할 수 있는 간단한 액션
후딱 할 수 있는 행동, 박수, 웃기, 청소, 고마워 등등 끝도 없이 많다.
너무 깊이 생각하지 말고 즐거운 마음으로 즉각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
제5장. 자신과 친해지기 위한 1분 아들러 엑서사이즈
- '1분 행동 이노베이션'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자신과 친해진다는 감각' 높이기
- '넘을 수 없는 장벽'은 자신이 만드는 것이다.
아들러가 든 행복의 세 가지 조건
1. 자신을 받아들일 것
2. 타인을 신뢰할 것
3. 타인에게 공헌할 것
많은 이유를 들어 스스로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사람이 있다.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무능한 자신에게도 ok사인을 낼 수 있다.
결점투성이인 자신도 사랑할 수 있을까?
어떤 상황이 닥쳐오더라도 자기 편이 될 수 있을까?
자신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구분할 수 있을까?
- 행동 이노베이션은 자신과 친해지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중요한 것은 무엇이 주어졌는가가 아니라 주어진 것을 어떻게 사용하는 가이다."
"내게 주어진 것은 이미 충분하다"
"내게 주어진 것을 어떻게 사용할지를 생각해보자"
"내 인생도 나쁘지만은 않아. 나도 할 수 있어. 이 인생을 더 멋지게 살아갈 수 있어!"
- 또 한 명의 자신이 ok를 하면 된다.
코칭에서는 머리와 마음과 몸의 상태를 '스테이트'라고 부른다.
"state is everything. 즉 머리와 마음과 몸의 상태가 모든 것"
"머리와 마음과 몸의 상태를 바람직하게 유지하고 '할 수 있다'는 감각을 가지는 것이 무엇보다 강력한 것이다."
'상태가 바람직해야 한다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자기 자신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 실행해보자! '1분 자기 수용엑서사이즈'
자기부정(무리이다. 불가능하다)상태에서 갑자기 자기긍정(나는 할 수 있다) 상태로 옮겨가기는 어렵다. 우선 자기 수용(자신과 친해진다) 단게를 거쳐 자기 긍정 상태로 나아가야 한다. 할 수 있건, 할 수 없건'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는 것이 자기 수용이다.
하지만 았는 그대로의 자신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런 경우에는 현재의 자신의 장점,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부터 시작 '좋다, 나쁘다'는 판단은 제쳐두고, 자신의 현실적인 상황 인정하는 것이 자기 수용의 첫 걸음
사실은 일이 뜻대로 풀리지 않는다거나 일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일하고 싶지 않다'거나 '좀 더 편하게 있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는 의미 '왜 일하고 싶지 않은가'하는 부분에 대해 '욕망'이라는 수준에서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제6장. 성공한 사람들에게 배우는, '행동'을 가속화시키는 방법
- 행동을 가속화시키는 '성공한 사람들'의 아이디어와 방법
- 행동을 크게 바꾼다! 셀프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
'셀프 이미지의 질이 욕망이나 비전의 질을 결정한다'
좋은 셀프 이미지 갖추면 좋은 욕망, 비전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나는 할 수 있다'는 감정으로 가득 차게 되기 때문에 행동, 점차 가속화된다.
같은 사건이라도 셀프이미지 높이면 그것 받아들이는 감정에 큰 차이 발생한다.
'자기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하는 것이 사고, 선택, 결단, 행동에 큰 영향을 끼친다.
- 셀프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3단계 학습 방법
1단계 현재 자신의 셀프 이미지 인식하는 것이 첫걸음
2단계, 모든 일이 뜻대로 잘 진행된다면, 반년 후, 1년 후, 3년 후에는 어떤 셀프이미지로 바뀌어 있을까?
3단계. '반년 후''1년 후',' 3년후'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고 마음에 드는 것 하나 선택하여 지금 이 순간부터 그 셀프 이미지에 어울리는 행동하면서 생활한다.
- '시간이 없다'를 해소한다!
시간을 대량으로 만들어내는 사고법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은 반드시 존재한다. 그 시간을 어떻게든 찾아서 만들어내야 한다'
- 자투리 시간의 발견과 활용방법
'충분한 시간은 확보할 수 없더라도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자투리 시간을 찾아내서 적어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해서 일을 하면 체험이 자신감으로 발전하고 경험치가 올라간다.
- 단 두가지를 의식하는 것만으로 꿈은 실현할 수 있다!
언제부터 시작할 것인가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무슨 일이 있어도 그 시기에 행동 시작한다.
시작할 때, 어떤 환경에서 어떤 기분으로 시작하면 행동이 더욱 가속화 될 수 있는지 이미지를 그려보자.
여러개의 계획을 세운다. 그 중 하나를 반드시 실현시킨다.
시작과 끝의 두 가지 기한을 설정할 것.
여러 개의 계획을 세울 것
- 일의 질을 극적으로 높인다!성공한 사람들의 자기관리기술
자신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간
; 컨디션 관리하는 시간, 안정을 취하는 시간, 취미를 즐기는 시간, 적절히 확보하기
- 어떤 방해도 받지 않는다! 모티베이션 컨트롤 방법
'의욕이 없을 때, 컨디션이 최악일 때에도 할 수 있는 일'의 목록 미리 작성해두기
멈추지 않는 상태에서 계속, 걸음 옮기다 보면 작았던 모티베이션이 다시 커다란 모티베이션으로 바뀐다.
- 첫 시도에서 절대로 포기하지 않는다! 살라미 슬라이스 방법
행동은 시작하기까지가 중요하다.
일단 시작하면 그 이후에는 순조롭게 진행된다.
행동을 보다 작은 단게들로 분해하여 편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작은 것을 선택
- 성공한 사람들이 반드시 실행하는 '궤도 수정'비법
가결정, 가행동.
모든 일은 진행 도중에 반드시 궤도 수정이 필요하다
지속하면 성공과 연결되는 것과 지속하면 성공에 방해되는 것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가결정-> 가행동-> 점검-> 개선
- 새로운 도전을 지속할 수 있도록 습관화하는 방법
자신이 좋아하는 것, 일상의 일과와 연결
- 진정한 인생은 행동을 해야 시작된다.
진짜 알면 행동하게 된다.
꿈을 향해 지속적으로 행동하는 인생. 매력적이다.
- 에필로그
'어른과 아이 모두 자기의 꿈을 향해 곧장 나아갈 수 있는 사회'
- 옮긴이의 말
프로이트, 아들러, 행동이노베이션,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