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른에 읽는 재클린의 가르침 - 다시 태어나고 싶은 당신을 위한 지적인 대화
임하연 지음 / 블레어하우스 / 2024년 12월
평점 :
어쩌면 당연하겠지만 재클린이 그냥 케네디 부인이기만 한 건 아니였구나.
그런 재클릴ㄴ 케네디 요나시스의 사상을 '학생과 상속자의 대화' 형식으로 엮은 책.
반백살 나는 어떤 입장일까.
나의 이십대도 불확실했지만 서른부터는 그냥 정신없이 살았던 듯. 서로를 이해하고 연대하며 배려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는 재클린의 가르침이라...
인간은 자신의 운명을 바꾸고 새로운 미래를 열 수 있다는 상속자.
싫은 자신의 모습을 바꾸는게 불가능해 보이는 학생의 대화.
양극화가 점점 심해지는 세상. 수저론, 세습자본주의.
남들이 만든 현실에 갇혀 변화의 가능성과 잠재력 잃지 마라.
젊은이들(?) 이 읽기 좋은 - 읽으면 좋은 자기계발서겠구나.
반백살 내게도 도움이 되길.
미국 역사학 공부한 한국인 저자가 재클린 사회학이라고 명명한 것.
결국 독서.
궁극적으로 더 나은 사람, 더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상속자 정신, 유대, 연대.
빈센조 보다가. 없는 사람들이 염치없고, 나빠질 수 밖에 없는 환경, 약자가 비굴해지는게 쉬운 사회. 같은 생각을 했다.
여기서 학생이 계속 되풀이 얘기하는...흙수저얘기를 듣다보니...
인간의 존엄, 품위, 위엄 같은게 생존? 앞에서 얼마든지 훼손될 수 있구나.
홍유찬 변호사 사망 후 빈센조에게 보여준 건물 사람들의 염치없음.
- 첫번째 만남. 서른, 수저계급론을 부정하라
스스로 확신을 갖고 남의 눈치 보지 말 것.
미국역사학에서 출발해서 재클린 사회학.
재클린 사상의 계승자라는 측면에서 상속자.
인간 연대와 구원의 도달점인 재클린 사회학?
상대적 박탈감은 '감정'이지 실제로 빼앗긴 것이 아니다.
'상속자 정신' 부모로부터만 오는 상속 의미하진 않음.
진정한 자기 자신을 아는 것.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거절해라. 거절해도 괜찮다.
인생의 자율권 승계.
남의 지배나 구속 받지 않고 '내 인생을 다시 쓰는 권한'
자기가 스스로 정한 것에 따라 행동하기.
대화를 통해 답을 찾는 과정.
- 두 번째 만남 - 모든 고민은 타고난 운명에서 비롯된다.
특권의식과 상속자 정신, 겸손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
향상심. 보다 나은 상태를 추구하려는 욕망.
자신의 특권을 넘어서서 약자를 돌보고 차별없는 세상 만드는데 앞장서겠다는 꿈.
스스로를 다스릴 줄 알고 자제력 키우기.
낭만적인 해석을 통해 영웅이 되기도. 비판적 해석을 통해 삶을 포기하기도 한다.
모르는 척하기. 굳이 알지 않아도 되는 것들에 지나치게 연연하지 않기.
자신이 원하는 것들에 집중하기.
불쾌한 일 차단하기.
미국 상류계층? 평등을 가장한 철저한 계급사회.
구분하는 사람이 잘못이다.
타인의 시선을 가치관으로 삼지 말 것.
불평등을 뛰어넘는 힘.'축적된 노력'이라는데...솔직히 지금 당장이 너무 힘들면...
기존의 고정관념과 낡은 사고방식. 패배주의 버리고 다시 태어나기.
- 세번째 만남, 집안배경을 버려라.
이미 정해진 삶은 없다. 스스로의 제한된 믿음일 뿐이다.
상속자본? 물려받는 것을 찾는 능력. 역사를 알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덜할까?
독서를 통해 '운명의 선택지' 창조할 수 있다.
받는 것에 기대는 순간, 운명이란 전차의 고삐를 타인에게 넘기는 것이다.
상속자본을 구하는 것은 내가 물려받고자 하는 것을 내가 정하는 능동적인 행위이다.
- 네번째 만남. 상속자본은 어디에서 구하는가.
나를 파괴하기보다 배경을 파괴?
스스로만 구하려는 사람은 결국 아무도 구하지 못한다.
돈을 필요로 하는 것과 사랑하는 것의 차이. 돈에 대한 집착은 타인에 대한 사랑을 없앤다?
품격은 사람이 사람다운 것.
돈에는 품격이 없다.
사람에 대한 예의, 배려, 존중이 품격 구성한다.(근데 형편이 어려우면? 물론 돈과 상관없이 갖출 수도 있지만)
이 책에서 얘기하는 상속 자본은 스스로 얻는 것이다. 물려받는 것이 아니다.
사회적 가치를 생각하라. 나 개인의 이익을 넘어서라.
나이에 상관없이 인간은 새로 태어날 수 있지만
마음에 아무리 든든한 집이 있어도 현실에 집이 없다면 현실은 곤궁할꺼고 끊임없이 한계에 부딪힐 수 있을거야. 내집만 지키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다.
과정이 공정하면 결과가 정의롭다는 것에 대한 착각.
완벽하게 공정한 경쟁은 없다.
내 능력에 대한 과신, 무능력한 사람들을 바라보는 시선.
뚜벅뚜벅, 연대,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