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책을 고생해서 옮기고 출간해 주신 것만도 어디냐 하는 것이 기본적인 생각이지만, 꼼꼼히 읽다 보니 아쉬운 부분이 하나둘 발견된다.


  아무래도 번역 작업을 여러 분이 나누어 맡으셨을 테니, 용어가 일관되지 않기도 한 것은 아쉽지만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었을 것 같다.


  접미사 "-하"를 거의 잘못 띄어 쓰고 계신다는 점도 내용상 오류는 아니니 일단 넘어가자.

  (가끔 맞게 붙여 쓰신 때가 없지는 않은데, 52쪽 "귀무가설 하에서", "53쪽 "독립성 가정 하에서"와 같이 거의 띄어 쓰고 계신다.)


  70쪽 "사형판결과 인종" 관련 예제에서 '살인죄를 범한 피고인들'이라고 쓰셨어야 할 것을 "살인죄를 범한 피고들"과 같이 쓰고 계신 것도 법률가가 아니면 알기 어려울 수 있는 부분이니 또 넘어가자. 긴 분량에 걸쳐 "피고"와 "피고인"을 번갈아 쓰고 계신데, 같은 말이라고 생각하신 것 같다. 그러나 민사재판에서 원고의 소에 대응하는 당사자는 '피고', 형사재판에서 검사의 공소에 대응하는 당사자는 '피고인'이다.


[이런 책보다는 법정 드라마, 영화를 만드시는 분들이나 법조 기자라는 분들이 이를 구별하지 못하실 때 '깬다'. 기본을 갖추지 못하였다는 인상을 주기 쉬운 잘못이다. 최소한의 검수 노력과 비용도 들이지 않은 수준 이하의 작품들은 말할 것도 없고, '부림 사건'을 소재로 하여 관객 천만을 돌파한 영화 '변호인'에서도 '피고인'이 자주 '피고'로 지칭된다.]


  이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114쪽 연습문제 3.6 때문이다.


  미국의 General Social Survey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정치성향과 지지정당에 관한 예제에서, 책에는 "1=매우 보수적, 2=보수적, 3=약간 보수적, 4=중간, 5=약간 진보적, 6=진보적, 7=매우 진보적"이라고 쓰여 있는데, 영어 원문을 찾아보니 해당 부분이 "with 1 being most liberal and 7 being most conservative"라고 나온다. 문제의 교차분할표(첨부 이미지 1)를 보면 정치성향 점수 1~4에서 민주당 지지도가 높고, R 실행 결과(첨부 이미지 2)를 보더라도 회귀계수가 -0.5901로 정치성향 점수가 커질수록 민주당 지지도가 떨어진다는 의미이니, 위의 범주 구분은 완전히 거꾸로 된 것이다. 통상적인 진보, 보수 분류에 따르면 미국의 현재 정치 지형을 보더라도 그러하고... 원문에도 없는 설명을 친절하게 붙이시려다 오히려 내용이 틀리게 되었다.




  이것 말고도 (특히 연습문제에서) 원문과 대조하였을 때 꽤 다른 부분이 있었는데, 일부러 그렇게 하신 것인지 어쩌다 그렇게 된 것인지 의아하였다.

  책 앞부분을 읽을 때는 그냥 보아 넘기고 있었는데, 지금부터는 메모해 두었다가 여력이 되면 정리할까 하고 페이지를 만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96년에 1판, 2007년 2판, 2019년에 3판이 나왔고, 국내에는 1998년에 1판, 2009년 2판, 2020년 3판이 번역되었다. 검색해 보면 가나 Heritage Christian University 사이트에 영문판 PDF를 올려 둔 것이 있다.


이를 응용한 같은 저자의...

(지금은 은퇴한 University of Florida, Alan Agresti 교수)



이 3판은 2013년에 나왔는데, 역시 영문판 PDF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그 밖에 국내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는데, 앞의 3개 정도가 덜 오래되었다.

허명회 교수님께서도 1989년에 책을 내셨다!



결국 Agresti 교수의 Introduction 3판과 부산대학교 최용석 교수님의 책들을 참고하면 좋을 상황인데...


최용석 교수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책도 내셨다.

(2010년대 이후의 책만 포함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와 나 국민서관 그림동화 140
세르주 블로크 글.그림, 이정주 옮김 / 국민서관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동네 도서관에 프랑스어 책(Sam et son papa)이 있어서 빌려 보았는데, 한국어로도 나온 적이 있구나.

어린이 책은 꾸준히 발굴되고 번역되는 것이 신기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3과 『싸구려 행복(Bonheur d'occasion)』 참고 문헌


퀘벡



가브리엘 루아(Gabrielle Roy)


첫 번째 작품은 1945년 6월 발표한 『싸구려 행복(Bonheur d'occasion)』으로 영미권에서는 "The Tin Flute"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 이 작품으로 가브리엘 루아는 첫 번째 "캐나다 총독상(Governor General's Award)"을 받았다.


우리나라에서는 느낌표 도서로 선정된 『내 생애의 아이들(Ces enfants de ma vie)』(1978)이 유명하다. 2006년에 나온 양장본은 절판되었지만, 2003년에 나온 페이퍼백은 아직 판매되고 있는 것 같다. 가브리엘 루아에게 세 번째 총독상을 안긴 작품이고, 영어 제목은 "Children of My Heart"이다.


루아의 두 번째 총독상은 『데샹보 거리(Rue Deschambault)』(1955)로 받은 것이다. 영어로는 "Street of Riches"로 번역되었다.



두 번째, 세 번째 작품인 『작은 물닭(La petite poule d'eau)』(1850), 『은행원 알렉상드르 셴베르(Alexandre Chenevert, caissier)』(1954)는 등록된 서적이 없는 것 같다. 이것 말고도, 불어본 영어본을 막론하고 등록되지 않은 책이 많다. 독어본도 몇 개 보인다.


국내에 번역된 『전지전능한 할머니가 죽었다』(1966)의 원제는 "La Route d'Altamont", 영어로는 "The Road Past Altamont"(알타몽의 길)이다. 『데샹보 거리(Rue Deschambault)』(1955)에서와 같은 크리스틴이 화자로 등장한다.





향토소설


파트리스 라콩브(Patrice Lacombe),『아버지의 땅(Le Terre Paternelle)』(1846)



제르멘 게브르몽(Germaine Guèvremont), 『마리 디다스(Marie-Didace)』(19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두려움과 떨림
아멜리 노통브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구 여성의 시선으로 본 일본 문화 비판. 원작도 훌륭하였겠지만, 번역이 숨 막힐 정도로 탁월하다! 지하철 타고 멀리 다녀올 일이 있어서 가며 오며 두 시간 동안 냉큼 읽을 수 있었다. 옮긴이가 세심하게 골라낸 단어들에 연거푸 감탄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