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무 도하(公無渡河): 사랑 아, 강을 건너지 마라』의 책 제목에서 공무도하(公無渡河)가 뭘까? 그래서 자료를 찾아 보니 ‘공무도하란 옛 고조선 나루터에서 벌어진 익사사건을 말한다. 걸어서 강을 건너려다 물에 빠진 이는 봉두난발의 백수광부였다. 나루터 사공의 아내는 백수광부의 죽음을 슬피 울며 노래했다. 김훈은 “나의 글은 강의 저편으로 건너가지 못하고 강의 이쪽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라고 설명한다.’라는 내용이 찾아 진다. 고교시절에 공부했던 고사라고 하는데 나의 기억에는 공부했던 기억이 없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고사성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강을 건너에는 무엇이 있는지 모르지만 그곳을 동경(?)하며 사는 이곳 사람의 얘기라고 한다.


     이 소설 공무도하에는 여러 유형의 사람이 등장한다.


      문정수: 사건 기자로 사건의 실마리가 해망과 관련이 있어 수 차례 해망을 찾는다.

      노목희: 문정수 애인, 사회계열 출판사 직원

      장철수: 창야에서 노학연대 운동권으로 활동하다 해망으로 숨어 든다.

      후에: 베트남 처녀

      오금자: 혼자 지내는 초등생이 개에게 물려 죽는데 그 아이의 엄마로 해망으로 피신해 있다.

      박옥출: 전직 소방대원으로 퇴직 후 해망에서 탄피 수거 사업을 추진한다.


     이런 사람들이 소설에 등장하면서 문정수와 노목희의 시각에서 이야기를 풀어 간다. 이야기는 작가 특유의 건조한 표현을 하면서도 원초적인 모습을 너무도 잘 보여주고 있다. 사건의 내용은 우리 일상 중에 뉴스에서 봤었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주인공인 기자 문정수가 사건을 따라가면서 그가 보아왔고 느끼고 사건의 한가운데에 있는 모습이 다양하게 보여 주고 있다. 문정수의 모습을 보면서 작가의 이력이 기자이기에 이런 내용을 이렇게 보여 줄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또 다른 시각은 문정수와 연인관계이면서 뭔가 거리감이 있는 노목희라는 출판사직원의 생각을 따라 간다. 


     소설에 등장하는 면면들은 하나같이 뭔가 불편한 내용을 담고 있다. 마치 우리들의 모습과도 같이… 그런 불편한 내면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여러 면은 등장인물들의 삶의 모습을 담고 있다. 사회의 부조리한 면과 이들 주인공과의 적당한 타협에 맞춰 우리의 삶을 만들어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똑 부러지게 맺고 끊는 모습과는 달리 얼버무리고 두루뭉실하게 넘어가는 일반사람들의 삶의 모습이지 않나 생각된다. 이런 내용이 이 소설 “공무도하”라는 제목을 붙인 이유이지 않을까? 강 건너편을 동경하지만 넘어갈 수 없는 현실에 뭔가 잡아보려고 안간힘 치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던 것은 아닐까?


     소설을 읽으면서 등장하는 지명이 ‘해망’, 과 ‘창야’가 나온다. 이 두 곳이 한국의 지명으로 있는지 찾아 봤다. 해망은 전라남도의 군산시에 속해 있는 동(洞)으로 나오는데 군산 앞바다에 있는 직도가 소설에 등장하는 공군사격장의 소재가 되지 않았을까? 그리고 창야는 찾아봐도 나오질 않는다. 경상남도의 어느 산골이라고 하는데 그 위치를 모르겠다. 공군사격장에 대한 내용이 소설의 기저에 깔려 있다. 곳에 떨어진 수많은 포탄고물을 건져 올려 돈벌이를 하는 등장인물의 모습 속에 한편으로는 사회문제가 되었던 공군사격장이 마치 미군의 전용사격장과 같이 이용되면서 그로 인해 피해에 대해 얘기하기 보다는 그로 인한 주변의 사람들의 삶을 통해 얘기하는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 


     작가의 어느 공개강연회의 영상을 보면서 작가가 얘기하는 글쓰기의 전략이지 않나 생각된다. 내가 얘기하고자 하는 것은 직설적으로 얘기하지 않고 에둘러 다른 얘기를 하면서 내가 하고자 하는 내용을 더욱 강하게 주장하는 것의 한 전략의 글쓰기의 내용이지 않나 생각된다. 비단 공군사격장의 얘기 만이 아니라 이 소설의 전반에 걸쳐 등장인물의 면면을 통해 이런 작가의 글쓰기 전략이라고 하는 내용을 어렴풋하게 느낀다. 재미있으면서 소설에 몰입하게 한다. 그러면서 내 안에 안고 살아가는 나를 돌아 보게 한다. 나도 등장인물과 같은 상황이지 않나 생각해 본다. 소설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뭔가 인상적인 한 장면을 연출하는 것은 아니다. 어느 사람은 몸으로 부대끼면서 살아가기도 하고, 얼버무리고 뭉개기도 하고, 아예 회피하여 다른 곳으로 떠나기도 한다. 이렇듯 다양한 삶의 모습 속에 나는 어떤 부류인가 다시금 되돌아 보게 한다. 그런 의미에서 소설의 제목 ‘공무도하’는 강을 건너지 못한 나를 생각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