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제국쇠망사
에드워드 기번 지음 / 대광서림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로마제국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하게 접한 것은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이야기”일 것이다. 장장 15년 동안 매년마다 1권씩 500~600쪽 분량의 “로마인이야기”는 너무 재미있게 보았던 기억이 생생한 가운데 자주 등장하는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쇠망사”라는 저작은 참고 자료로 자주 등장한다. 미려한 글과 세부적이면서 나름의 역사관을 가지고 로마사를 바라봤다는 에드워드 기번의 저작에 대해 어떤 내용일까 하는 궁금증이 일어 읽게 된다.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쇠망사”는 전권이 11권(1990년~1994년에 출간)으로 “로마인이야기”와 동일하게 장서로 서술된 내용이라는 것을 서문을 통해 알게 된다. 읽을 책을 선택하면서 전 11권으로 번역된 책은 출판 된지 10년이 넘어 절판되거나 없는 책들이 많고, 이번에 읽은 동일역자(Genki Nakakura,김영진 공역)의 번역본이 대광서림에서 출간 된지도 4년째가 되어 간다.

     11권 분량의 이야기를 552쪽 분량의 1권으로 번역하는데 있어 무리가 있어 보인다. 또한 번역된 문체도 “로마인이야기”를 볼 때와는 그 느낌이 다르다. 너무 고전틱(?)하다고 할까? 제일 대표적으로 “자의(紫衣)”라는 단어가 생각난다. 로마제국의 황제들이 숫하게 바뀔 때의 표현으로 “자의”라는 단어를 선택했는데 그 어감이나 느낌이 왠지 고리타분한 느낌이 든다. 그 밖에도 나오는 내용도 비슷한 느낌으로 와 닿는다.

     번역된 단어의 어감은 그렇게 인식하고 느끼면 되는 내용이기는 하나 전체 15장(‘마지막장’까지 포함하여)의 내용으로 짧게 짧게 설명하는 로마제국사는 에드워드 기번의 원작의 느낌이 그대로 전달되고 있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어찌 보면 장 사이사이에 들어있는 역자의 해설서가 당시 상황을 더 요약하여 설명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이런 느낌은 어찌 보면 “로마인이야기”를 보고 나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로마인이야기”에 다루지 않고 있는 동로마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과정은 새로운 느낌으로 박진감 있게 느껴지고 있어 원작을 어느 정도는 한 권의 책으로도 전달 가능하다는 생각을 해보게도 한다. 어찌 되었든 에드워드 기번의 대작을 1권 분량으로 축약한 내용 자체가 전반적인 이야기의 느낌이나 흐름을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번역이기 보다는 편역(編譯(?))이 맞는 표현이 아닐까?

     “로마인이야기”를 읽으면서 다른 저자들의 역사관이나 저술한 시각이 어떤 것일까 하는 궁금증이 일면서 선택하여 읽게 된 내용이 이 책 “로마제국쇠망사”인데 가장 궁금하고 알고 싶었던 내용으로 시오노 나나미가 바라보고 서술한 로마제국의 종교관—다신교를 믿었던 공화정시대와 로마 후기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믿으면서 유일신에 대한—의 변화에 대한 역사관, 제국을 멸망의 길로 끌고 간 로마후기 시대의 황제들의 행정과 그 당시의 영웅들—스틸리코나 벨리사리우스 등—에 대한 평가,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공인한 콘스탄티뉴스 황제에 대한 평가 등 역대 황제들에 대한 평가와 그리고 당시 상황의 정황—방어체계, 생활상, 전쟁 수행 방법 등 다양한 로마제국의 상황을 비교해 보고 싶었다.

     이런 기대를 걸고 읽었는데 서로 비교해 보기가 어려웠고, 축약본의 한계인지 그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어 보인다. 결국은 에드워드 기번의 전권을 읽어 보아야 그 구체적인 내용을 조목조목 비교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 글—책을 보고 난 후기—을 쓰면서 “로마제국쇠망사”의 번역자를 보니 공동번역이다. “Genki Nakakura,김영진 공역”으로 되어 있다. 어떤 번역 과정을 거쳤는지는 모르겠지만 왜 일본인이 공동번역에 참여 하게 됐는지 의문이 든다. 일본 번역판을 재 번역한 것은 아닐까? 일본인이 쓰거나 번역한 로마사에 관련된 내용을 번역하거나 재 번역한 내용을 보면서 과연 이 내용이 맞느냐—맞느냐의 기준이 무엇인지도 문제이지만, 아니면 올바른(?) 역사관을 가지고 보여주고 있느냐에 대한 관점에서 얘기하면 답은 나오지 않겠나 생각된다.

     그대신 나는 이런 생각을 해 본다. 서술한 역사가가 충실히 자신이 생각하는 관점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역사적 사실을 충실히 연구하고, 고민해서 보여주고 있느냐에 관점을 두고 싶다. 그런 측면에서 “로마인이야기”에는 높은 평점을 주고 싶다. 이 책 “로마제국쇠망사”의 번역본은 그다지 높은 평점을 부여하기는 어렵고, 에드워드 기번의 원작은 읽어 보지 않았으니 판단하기가 어렵다. 재차 원작을 읽어야 알 수 있는데 그 내용이 워낙 많아서—영문판으로 나온 단행본은 1,312쪽이고, 다른 양장본은 8권이나 된다—엄두가 나지 않는다. 어찌 되었든 누군가 원본의 “로마제국쇠망사”를 원작에 충실하고, 새롭게 번역한 내용을 보던가 해야지 그 의미와 저자의 생각을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은순 2007-09-15 15: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걸 번역이라고 해놓고 자기이름을 어떻게 버젖이 써놓는지 정말 이해가 안갑니다..읽다가 정말 짜증이나고 나아가 화까지치미는건 제가 이상해서인가요? 정말 괜찮은 번역가가 이렇게 없나요?

허송 2007-09-17 17:58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공감입니다.

카알벨루치 2007-12-13 15: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이 너무 좋아서 이 책은 피해야겠군요. 하는 생각...원서로 읽어볼까 생각해보지만 감히 그럴 수 있을지....대작은 대작인데 그쵸? 감사해요 공감 꾸욱~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