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픽 - 운전습관과 교통체계에 숨겨진 인간의 비이성적 본성 탐구
톰 밴더빌트 지음, 김민주.송희령 옮김 / 김영사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트레픽(traffic)의 사전적 정의는 ‘1.(특정 시간에 도로상의) 차량들, 교통(량) 2.(특정한 루트를 이동하는) 운항 3.수송’이라고 한다. 주로 도로 상에 다니는 차량들을 가리킨다. 이런 차량들이 우리가 도로에 나가면 바로 체감적으로 느끼는 내용이기도 하다. 그냥 늘 상 그런 것으로 알고 있는 교통정체에 대해 왜 이렇게 도로에서 차에 갇혀 시간을 보내야 하는가에 대해 의문을 가져 봤을 것이다. “나의 앞차에, 그 앞에 앞의 차에서, 아니면 지금은 보이지 않지만 그 앞에서 뭔가 문제가 발생한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을 하면서 답답해 하면서도 그냥 그렇게 받아들이고 있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는 끊임없이 질문을 한다. 


 왜 반대차선은 빨리 빠지나? 


 나는 운전을 잘하는데 다른 차들은 왜 운전을 저렇게 할까?


 다른 차가 크랙슨(klaxon; 자동차의 경적. 제조 회사의 이름에서 온 말)을 누르면 왜 기분이 나빠 질까?


 개미들은 왜 교통정체가 없을까?


 여성이 남성보다 교통정체를 많이 일으키는 이유는 뭘까?


 왜 운전대가 왼쪽에 있는 나라도 있는 반면에 오른쪽에 있는 나라가 있듯이 왜 운전대의 위치가 다를까?


등등의 이런 질문들을 책을 시작하면서 끝날 때까지 던지고 그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아가고 있다. 여기에는 인간의 행동유형에 대한 연구와 심리적인 내용, 동물행동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대해 다루고 있다. 끊임 없는 질문 속에 내가 책을 접하면서 생각해 봤을 그런 내용에 대해 저자는 더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을 찾고 있다.


     교통에 대한 생각을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내가 탄 차가 생각보다 빨리 빠지지 못하는 것이다. 허나 이런 생각에는 나만의 오해도 포함되어 있고, 교통통제 시스템의 문제도 포함되어 있다. 가까운 거리는 걸어 다니면서 건널목을 건널 때 신호등의 보행신호를 기다리면서 왜 이 신호등은 이런 식으로 신호를 주고 있을까를 생각해 본다. 비단 보행신호만을 보고 느끼는 것이 아니라 차량을 타고 신호대기를 하고 있는 길게 늘어선 차 속에서도 느끼는 생각은 한결 같이 답답함을 느끼게 한다. 이런 신호체계를 보고 느끼는 것은 결국 차량을 위주로 한 신호체계라는 것을 새삼스럽게 실감하게 된다. 분명 보행자를 위해 신호를 더 주고, 보행자의 보행 속도에 맞춰 바뀔 만한 상황인데도 차량을 먼저 보내느라 기다리게 만드는 신호 체계라는 것을 체감한다. 또한 한술 더 떠 인도에 차들이 올라와 주차장을 방불께 하는 광경을 연출하고 있다. 학원가라고 하는 거리도 넘쳐나는 차량과 그 사이를 위험하게 오가는 학생들의 모습을 보면 비단 나만의 느낌은 아일 텐데 보행자가 안전하게 걸어 다닐 길이 한국에는 없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이런 모습은 비단 인도와 차도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는 길도 그런데 하물며 주택가의 이면도로는 더 하다는 것을 느낀다. 주택가나 아파트단지 내나 매일반 인데 그나마 최근에 지어지는 아파트 단지는 차량의 출입을 지하로 만들어 그나마 이런 위험에서 일부 벗어나는 듯 하다. 이런 생각을 하면서 저자가 얘기하는 차량과 보행자가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 내용은 매우 인상적이다. 그 대표적인 교통공학자인 네덜란드의 한스 몬더만의 도시설계의 내용을 보면 과연 이런 도로도 만들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사람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으면서 도로의 차량이 원활한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도로의 설계는 꿈의 도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도로가 한국에서도 가능할 수 있을까?


     몬더만의 도로설계 내용을 보면서 우리의 주택가 이면 도로와는 너무 다르다는 생각을 해 본다. 우리의 도로도 사람이 차량으로부터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그나마 학교 부근에 도로의 일부를 할애 받아 펜스를 치고, 도로에는 어린이보호 도로라고 표시도 하고 있지만 이렇게 구분된 도로는 전용도로로 오인하여 더욱 속도를 내는 도로로 바뀌어진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어느 나라처럼 이런 곳에 교통경찰이 집중 배치하여 속도위반 단속을 벌이기는 하지만, 우리의 교통경찰은 학교 주변에서 속도위반 단속을 하는 모습은 한번도 보지를 못했다. 그러면서 OECD어쩌구 하면서 학교근처에서 어린이 교통사고가 제일 높은 나라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비단 단속만이 최선은 아니지만 학교 주변이나 주택가나 인도나 편하게 걸어 다닐 수 있는 교통체계와 그러면서 도로에서는 차량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그런 도로망의 구축이 필요해 보인다. 책을 보면서 이런 바램이 요원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이런 바램에 대해 이미 이루어져 시행되고 있는 여러 선진국의 사례가 있다. 이런 사례의 연구와 우리에 맞는 교통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저자가 얘기하는 내용 중에 또 하나 인상적인 것은 동물들의 교통흐름에 대한 내용으로 그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 개미와 메뚜기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병정개미의 교통정체 없이 원활하게 움직이는 그들만의 교통체계는 우리와 같이 복잡한 신호체계 없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신기하다. 메뚜기는 원활한 교통체계에 대한 내용은 아니지만 때로 움직일 때 그들의 움직임은 「동물의 왕국」과 같은 화면에서 영상으로 본 기억이 난다. 이와 비슷한 모습은 간혹 화면으로 본 「가창오리 떼」의 모습이나 「꽁치나 정어리 떼의 군무(?)」들은 그저 감탄만을 했었던 기억이 난다. 이런 동물들의 움직임은 우리가 차 안에서 답답하게 느꼈던 교통정체의 모습은 찾아 볼 수 없다. 동물들의 움직임은 뭔가 그들만의 일정한 법칙—먹이를 찾거나, 포식자로부터의 회피나 집단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야 하는 공통의 목표가 있어서—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사람들은 각자 자기만의 목표를 위해 움직이는 목적지가 달라서 근본적으로 보여지는 모습이 달라 보이는지 모르겠다. 하나 특기할 점은 수 많은 개체가 움직이는 동물들의 단체이동에는 서로간에 접촉으로 인한 충동이 없다는 것이다.


     간혹 방송을 통해 우리가 늘 상 접하는 교통신호기가 억대가 넘는 시스템이라는 뉴스를 접한다. 이런 시스템이 뭐가 그리 비싸나 하는 의문이 들지만 이런 신호체계가 신호기 앞에서 시간을 최소화하고 보행자나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신호체계라면 그만한 비용을 충분히 들여도 좋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이 지점을 통과하는 수많은 사람과 차량이 버리는 시간과 비용을 돈으로 환산하면 당연히 싸게 먹히는 내용일 것이다. 허나 현실은 그와는 반대이기에 고비용의 신호체계가 아닌가 하는 반문을 해 본다. 보다 많은 시행착오와 연구가 있어야 할 대목이라 생각된다. 조금 긴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신호체계도 일부 변화를 주고 있는데 이런 변화가 있을 때 늘 접하게 되는 혼란의 불편함이 긴 시간 축적되는 우리의 교통체계의 노하우로 남아 이상적인 우리의 교통체계를 만들어 내리라 생각된다. 단순한 교통정책의 집행이 아니라 사람을 생각하고, 그 길을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많은 생각과 고민으로 만들어진 정책이 되었으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세계 각국의 교통표지판의 내용을 인터넷을 통해 찾아 보니 마치 이모티콘을 보는듯한 재미를 느끼게 한다. 기후환경과 그곳의 지형적인 환경이 다른 세계 곳곳의 특성을 감안한 교통표지판은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우리에게는 전혀 필요 없는 내용도 있고, 과연 이런 표지판도 있을까 하는 내용도 있다. 인터넷에서 검색된 이런 교통표지판이 실재 그곳에서 사용되는 내용인지 아니면 임시나 디자인상 만들어 본 것인지 그도 아니면 재미 삼아 그려진 것인지 모르겠지만 하나의 간략한 그림으로 많은 의미와 재미를 안겨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