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모 ㅣ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모모』를 처음 읽으면서 느끼는 것은 어릴 적 TV를 통해 재미있게 봐왔던 『말괄량이 삐삐』가 생각난다. 9살의 어린 소녀가 괴력을 보이며 어른들의 세계에 대해 바라보며 떠도는 괴짜 소녀의 인상이 이 소설 『모모』에서도 느껴 진다. 소설 속의 주인공 모모는 말라깽이이면서 남의 얘기에 귀 기울여 들어 주는 능력을 소유한 불우한 소녀로 등장하지만 그 옷차림이나 외모는 TV드라마의 삐삐와 많은 부분에서 비슷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아들이 초등학교를 다닐 때에 책 읽기 교재로 본다고 하여 구입해 줬던 책으로 이 후 드라마에서 이 책의 시간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대목을 봤던 기억이 있는데 늦게나마 읽어 본다. 내용의 주제는 조금은 어려운 시간에 대한 이야기라서 과연 시간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를 풀어 갈까 했는데 무척이나 재미있다. 공상과학과 같은 느낌도 있고, 어린 소녀 모모의 모험담이 담겨 있기도 하고, 우리의 일상의 삶의 모습을 비춰주는 모습도 담겨 있고 해서, 단순히 어린아이의 모험 소설이라는 것 보다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다양하게 읽힐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선 책을 보면서 시간에 대한 생각을 해본다. 우리가 늘 상 살아 가면서 입버릇처럼 얘기하는 “시간이 없다”는 말이 과연 무슨 의미일까 생각해 보게 한다. ‘사람 개개인이 인식하고 느끼는 마음의 여유와 자유가 시간이 있고 없고’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도시 생활 속에 묻혀 있는 사람들은 하나 같이 하는 얘기가 시간이 없다는 얘기를 한다.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뭔가에 쫓기고 내 몰리면서 살아가는 우리의 일상을 되돌아 보게 한다.
그리고 시간이 정지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과연 시간의 정지가 무슨 의미가 있을까 생각해 볼 때 물리학적인 의미와도 상통하는 내용이 느껴진다. 한편으로는 어릴 적 재미있게 보았던 만화영화 『이상한 나라의 폴』도 생각난다. 주인공 폴의 마스코트 인형 삐삐가 휘두르는 망치에 모든 시간이 정지하는 장면은 이 책에서 그려지는 호라박사가 시간을 정지시키는 장면과 같게 느껴진다. 또한 모든 물질이 정지하는 순간 시간도 멈추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 본다. 물리학에서 정의하는 시간의 의미는 너무 어려워서 그 개념을 잡기도 어려운데 소설 속에서 그려지는 시간의 의미는 그와는 다르게 느껴지기도 한다. 또한 “시간의 꽃”의 의미도 시간을 형상화하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된다. 소설을 읽다 보면 무한한 상상을 하게 하는 느낌이다. 우리의 다람쥐 쳇바퀴 도는 생활을 돌아 볼 수 있는 생각도 든다.
소설에 등장하는 시간을 빼앗아 가는 회색신사들과 그들이 피는 시가나 그들의 분위기가 마치 우리들을 삶의 틀 속에 옭아 메어 놓는 현실과도 같은 느낌이 든다. 자본주의 사회의 어느 일면은 점차 획일화 되어가고 각박해지는 우리 삶의 모습이 되어가고 있고, 단지 돈과 노동의 착취라는 생각에 한정하였으나 시간도 함께 빼앗기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회색신사의 행태를 볼 때 마치 영화 『맨 인 블랙(Men in Black)』시리즈에서 검은 선글래스를 쓰고 번쩍하는 망각의 빛을 비추는 것과 같이 아무도 모르게 움직이는 회색신사의 이미지가 비슷해 보인다. 그 역할은 서로 다른 의미로 보여지고 있기는 하지만….
소설 속에서 ‘언제나 없는 거리’를 갈 때 느리게 가는 것이 빠르게 가는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볼 때, 우리는 늘 “빨리 빨리”를 외치고 있는데 오히려 천천히 가는 것이 더 빠르게 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그리고 다양한 생각과 각 개인의 개성을 살릴 때 우리의 삶은 더욱 풍성해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