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TV방송에서 절찬리에 방영됐던 드라마를 통해 「미실」을 처음 알게 되었다. 실재 방송의 제목은 「미실」이 아니고 여왕의 이름이었으나, 등장인물의 파격과 카리스마가 드라마의 제목까지 바꿔 놓은 듯하게 강렬한 인상을 부여한 드라마라고 기억된다. 한창 인기 있을 때 책방에 갔을 때 이 책 『미실』을 접했다. 책을 보면서 이 책의 내용과 드라마의 내용은 무엇이 다를까 하는 의문이 들어 읽게 된다.


     미실에 대한 인물이 누구일까 하는 의문이 들어 자료를 찾아 본다. 실존인물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 기록은 없다고 한다. 필사본으로 전하는 《화랑세기》에 신라 왕족과 귀족 출신의 여러 남자들과 정분을 통하여 자신의 권세를 유지한 여인으로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 정설로 인정하는 역사기록이 없다고는 하지만 전해오는 그녀에 대한 이야기는 있기는 하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면 그녀에 대한 다양한 상상을 만들어 낼 수 있지 않겠나 생각된다.


     책을 보면서 새롭게 궁금증이 생긴 단어가 있다. 대원신통(大元神統), 거대한 으뜸의 신의 혈통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즉, 인통(姻統)이라고 하여 황제와 그 일족의 부인을 공급하는 계통을 뜻한다고 한다. 쉽게 얘기해서 진골의 혈통을 유지하기 위해 진골의 부인을 세습(?)하는 풍습이겠다. 그렇다 보니 미실의 남편이 한 명이 아닌 3명의 남편이 있다. 그 중에 2명이 왕이다. 책의 처음에 나오는 가계도를 보면 4명의 남자와의 관계에서 자식을 두고 있다. 현재의 상황에서 보면 너무도 문란한 가계도이다. 생물학적인 근친상간에 버금가는 모습이며, 친족관계에서는 허용될 수 없는 가계도이다. 대원신통이라는 신라의 혈족에 대한 풍습에 의한 모습이 당시의 상황이라고 하니 무척이나 놀라운 사실이라는 느낌이다. 드라마를 즐겨 보지는 않았지만 미실을 연기하는 여배우의 인상적인 모습이 기억에 남는다. 또한 상대적으로 무능력해 보이는 왕이나 남편의 모습은 드라마를 더욱 극적으로 만든 배경이지 않았나 생각된다.


     책을 본 느낌은 드라마의 내용과는 차이가 많다. 드라마는 전권을 쥔 여성 권력자의 모습으로 비춰졌으나 책의 내용은 그와는 거리가 있는 배후의 실권자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책에서 보여지는 모습은 권력욕에 대한 부각 보다는 여인의 사랑에 초점을 맞췄다는 느낌이다. 여자의 육신을 통한 권력을 이어가는 모습이라고 할까? 어찌 되었든 권력의 주체는 왕에 있고, 그 왕과의 육체 관계를 통해 권력을 쥐는 모습이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여성 권력자의 모습에서 보여 주고 있다고 하겠다. 허나 드라마의 내용은 한발 더 나아가 왕과의 육체관계 보다는 권력자의 모습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열심히 보지 않아서 그렇게 느끼는지는 모르지만 책의 내용과는 많은 차이가 있어 보인다. 동일 인물을 서로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는 내용이라 생각된다. 정설로 알려진 인물이 아니다 보니 다양한 인물 해석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책에서는 대원신통에 의한 육체관계에로 이어지는 여인의 사랑 얘기를 중심으로 한다면, 드라마는 권력에 대한 정치사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드라마의 정치적 상황을 보여주다 보니 신라시대의 당시 역사적 해석에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단지 상상의 드라마가 아닌 당시 신라시대의 무능한 정치사를 각색하여 정설처럼 이해되는 것은 아닐까? 이런 드라마가 당시의 신라에 대한 역사적 왜곡이 발생하는 것은 아닐까? 그런 신라가 통일을 이루었다고 하는 것은 어찌 보면 반전이라고 하겠다. 무능력한 정치사에서 여왕의 탄생과 통일로 이어지는 역사적 해석이 맞는 것인지 모르겠다. 정설의 세부적인 역사가 해석은 더 공부를 해야 할 것이나 이런 드라마의 역사적 배경의 전달은 우리 역사의 이미지를 바꿔 놓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반면에 책은 그런 우려보다는 미실이라는 인물의 사랑 얘기로 신분적인 당시의 전통(?) 속에서 겪는 갈등을 그렸다는 생각이다. 드라마의 인기에 결부되어 봤던 느낌이 책을 보면서 느끼는 감동을 감소시켰다는 생각이 든다. 책은 책으로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