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을 잡아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70
솔 벨로우 지음, 양현미 옮김 / 민음사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젊은 시절, 그때의 무수히 많은 선택들이 만들어낸 결과들과 처절하게 대면하기 시작할 때가 40대 일것이다. 지나간 청춘! 그 때에 쏘아올린 수 많은 희망의 화살들. 그 시절에는 마음만 먹으면 모든 것이 가능할 것 같고, 다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때로는 결과가 뻔한 일들에서 조차도 짚을 지고 불에 뛰어들 만큼 무모하다. <오늘을 잡아라>의 주인공도 그런 청춘의 시간들을 보냈다.


모든 것을 잃어버린 40대 중반의 남자, 토미 윌헬름. 그는 지금 수십 년의 시간과도 같은 하루를 보내고 있다. 아버지에게 위로를 받고 싶지만, 아버지는 윌헬름의 과거의 선택들을 질책하고, 그의 수치스러운 현실을 들춰낸다. 아버지와의 만남은 늘 고스란히 그런 고통과 마주하게 된다. 그는 누군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고, 템킨박사가 그의 유일한 희망이다.


윌헬름의 현실은 과녁에 도달하지 못하고 땅에 곤두박질쳐진 화살들 같다. '꿈을 위해 포기한 대학, 이루지 못한 배우의 꿈, 자신의 결심과 달리 선택한 결혼, 승진이 약속되었지만 하루 아침에 잃어버린 직장, 이혼에 동의하지 않는 아내, 자신의 것일 수 없는 아이들, 그리고 그들을 부양해야만 하는 현실, 놓치고 싶지 않은 새로운 사랑, 믿고 의지한 템킨박사와 주식투자' 그는 스스로 잘못이라는 결론을 내리고도 자신의 선택을 고수했고, 그 선택들의 결과는 한데 엉켜서 토미의 숨막히는 현실이 되었다.


마지막 희망, 주식에 투자한 전재산 700달러가 날아가는 순간. 자신이 믿고 의지했던 템킨박사의 존재 역시 윌헬름 자신의 또 하나의 수치스러운 과거로 전락해버린다. 그중에 200달러만이라도 찾기위해 템킨박사를 찾아 나서지만, 이미 지나가버린 일에 다시 희망을 갖는 그런 그의 행동은 어리석어 보일 뿐이다.

 

템킨박사를 쫒던 토미는 인파에 떠밀려 생각지도 않은 장소에 들어와 있다. 누군가의 장례식장이다. 낯설지만 그곳에 분위기에 그는 크게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다. 관속에 누워있는 망자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 것일까? 모든 것을 잃어버린, 희망없는 자신... 그곳에서 그는 눈물을 감추지 못한다. 가두고 있던 설움이 터져나온다. 울고 싶은데 누군가가 뺨을 친 것처럼, 그 곳에서 그의 울음은 이상할 것이 없다.


윌헬름의 모습은 인생의 중반을 지나고 있는 어떤 이들이 겪고 있는 고민이고 모습일지도 모르겠다. 돌이키기엔 늦어 버렸고,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남은 인생을 써버린다면 더 큰 후회를 불러올지도 모른다. 꿈을 쫓아서 살았고 나름 열심히 살았다고 생각했는데, 현재 자신의 모습은 죽은 자와 다를 것이 없이 소생의 기미가 없다. 그래서 낯선이의 장례식장에서 흘리는 윌헬름의 눈물에 공감하게 되는지도 모르겠다. 희망없는 '토미 윌헬름의 하루'를 그리고 있는 <오늘을 잡아라>는 그런 시간들에 놓인 인간의 복잡한 심정을 잘 그리고 있다.


<오늘을 잡아라>는 '돌이키기에 늦어버린 인생들을 위한 현실적인 위로'처럼 들린다. 달라질 것은 없다. 그러니 한바탕 울고나서 털어내고 다시 살아갈 수 밖에. 어쩌겠는가. 이미 지나간 시간들을... 그리고 아직 존재하지도 않는 미래의 불안을 미리 끌어안을 필요도 없다. 그저 실재하는 오늘만 살면되는 것이다. 그는 눈물을 통해 자신의 과거를 잊어버리고 있는 지도 모르겠다. '눈물이 가져다주는 위대하고 행복한 망각으로 인해(#199)' 그리고 그 곳에서 새로운 희망을 찾게 될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