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千년의 우리소설 3
박희병.정길수 편역 / 돌베개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나간 시대의 사회모습에 대해 궁금하다면 그 당시 소설을 보는 것이 그에 대한 답이다. 당시 사회가 어떠한 모습이며 무엇이 사람들의 머릿속을 차지하고 있었는지 확연하게 보여주는 소설이야 말로 우리의 궁금증을 제대로 해소시켜 줄 수 있다고 본다. 물론 단지 그런 궁금증으로 인해서 소설을 보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로는 다른 나라의 고전소설보다 국내의 고전소설이 나에게 더욱 큰 흥미를 가져다준다. 흔히 말하는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는 세계문학은 국내 고전소설보다 거리감이 느껴지는 듯하다. 내가 어릴 적에 자주 본 것도 국내 고전소설이었다. 비록 만화로 된 책이었으나 충분히 그 소설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지금도 그 당시에 보았던 최척전의 내용이 기억나는 것을 보면 역시 난 우리 고전소설과 더 가깝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느낀다.


  교과서에서 간간히 볼 수 있는 우리고전소설을 일부러 찾아보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아보인다. 그에 반해서 세계명작소설은 찾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보면 왠지 서글픈 느낌을 느끼게 한다. 꼭 자국 소설을 우선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지 않지만 아예 관심도 없는 듯한 분위기같아 안타까울 뿐이다. 이런 오늘날 이 책은 매우 좋은 책이라 판단된다.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고전소설을 담고 있으며 원전이 한문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어색함이 없이 한글로 번역되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최척전>과 나도 처음보는 <김영철전>, <강로전>, <정생기우기> 이렇게 총 4편이 담겨있다. 모두 전란의 시대였던 17, 18세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소설로 당시 사회상이 매우 잘 드러나는 소설들이다. 특히 최척전은 기구한 최척의 삶이 흥미진진하게 다가오는 소설로 오늘날 각색하여 영화나 드라마로 만들어도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실존인물이 강홍립을 소재로 하여 쓴 강로전을 통해서 당시 망해가던 명나라를 지지하던 서인들의 시각을 제대로 알 수 있었다. 후금과 명나라 사이에서 줄다리기 하던 광해군의 밀명을 받아서 행동했던 강홍립을 이렇게나 몰상식하고 파렴치한 사람으로 만들었다는 것이 매우 놀라웠다. 상대방을 깎아내려도 너무 깎아내린 것이 아닌가. 하지만 이 소설에 말하고자 하는 것은 충분히 전달되었다. 강홍립의 투항에 비분강개하는 병사와 다른 장수들을 통해서 의기있는 선비의 모습을 그리려 했던 사실이나 당시 후금을 핫바지로 보았던 조정의 기득권들 등 여러 가지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야만족이라고 깔보는 시각을 새삼스레 알게 되어 역시나 조선시대 대다수의 인물은 너무나 꽉 막힌 인물이라는 이미지만 더 얻게 되었다.

모두가 같은 배경을 하고 있어 기구하고 험난한 소설 속의 주인공들이 보여졌는데 김영철전의 주인공에 대해서는 기구한 그의 삶에 대한 동정보단 나쁜놈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아무리 전쟁포로 머나먼 이국땅에서 지내게 되었다지만 은혜를 모르고 내빼고 현지에서 갖게된 처자식을 두 번이나 버리고 결국에는 고향으로 돌아오다니. 정말 못난 놈이다. 차라리 그간의 사정을 말하고 좋은 방법을 찾는 것이 훨씬 좋았을텐데..


  전란의 시대속에서 자신의 의사와는 전혀 별개로 험난하고 고단한 역정의 삶을 살게 된 각각의 인물들을 통해서 그 당시 일반 백성들의 모습이 얼마나 비참하고 암담했을지 상상 할 수조차 없다. 자신의 의지대로 살아가지 못하고 외적인 요인에 의해 원하지 않는 삶을 살게 된다는 것이 얼마나 슬픈 것인지도 느꼈다. 하지만 강로전을 제외하고 나머지 3편에서 다시 고향을 찾아간다거나 헤어진 가족을 만난다는 점에서 당시 사람들이 희망을 잃고 살아가진 않았던 것이라 생각해본다. 철저히 고통받는 삶을 살았다고 생각되는 <덴동어미화전가> 속의 덴동어미 또한 삶에 대한 의지와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는 것을 나는 잊지 말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