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비밀편지 - 국왕의 고뇌와 통치의 기술 키워드 한국문화 2
안대회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땅에서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의 삶은 후에 역사로 기록된다. 그중에서는 역사의 중요한 사건의 중심에 서는 인물도 있을 것이고 아니면 조연처럼 살다가 지나가거나 그것도 아니면 대다수의 사람들처럼 엑스트라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상태로 스쳐지나갈 것이다. 이처럼 한 사람 한 사람 모두가 역사의 증거이며 구성원이지만 각자의 시각이나 이해관계에 따라서 받아들이는 역사는 다르다. 이러한 사실들을 보면 어찌보면 정사는 없는 듯 하다. 어떤 것도 사실이 될 수 있고 어떤 것도 거짓이 될 수 있는 그런게 역사가 아닐까 싶다. 그래서 나는 역사는 유동적이라는 생각을 한다. 이 책도 그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알던 성군인 정조는 그야말로 성인의 표본이라 생각된다. 난 이전에 세종이 그렇게 엄청난 성군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다가 후에 그것을 알게 되고 전기에 성군은 세종 후기의 성군은 정조라는 식의 인식을 최근에야 하게 되었다. 실록을 비롯하여 각종 역사적 기록들이 담고 있는 정조의 이미지는 뛰어난 문장력을 지니고 있으며 항상 백성만을 생각하는 그냥 그러한 단순한 이미지였다. 하지만 이 책속에서 담고 있는 정조의 모습은 우리와 그다지 다를바 없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임금도 우리와 같은 보통 사람인 것이다. 아무리 성군이라도 화가 나면 화를 내고 욕도 하고 앞에서는 이리하라 하지만 자신은 몰래 저리하는 그런 사람이었다. 물론 성군임은 틀림없지만 우리가 몰랐던 정조의 소소한 성격과 약간은 과격(?)했던 언행들은 우리가 정조를 다시금 바라보게 한다. 


 이 책은 몇년전에 발견된 정조어찰첩(임금의 편지모음)을 통하여 새롭게 알게된 정조의 모습에 대하여 담고 있는 책이다. 어찰이라 함은 단순히 임금이 혈족들에게 보내는 안부묻는 편지등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나 이번에 발견된 어찰첩을 통해서 정조가 어떻게 어찰을 이용하였으며 단순한 의미를 가지는 것 이상의 의미를 이 어찰첩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뭐랄까? 단순히 요약하자면 정조는 이 어찰을 통해서 막후정치를 펼쳤다. 각 파간의 균형을 맞추고 신하들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했으며 사사로히는 신하와의 관계를 돈독히 하기도 했다. 이 어찰첩은 정조가 벽파의 거두인 심환지와 수년간 주고받은 350여통의 편지의 모음이다. 정조는 반드시 이 어찰을 파기하라고 했으나 심환지는 이것을 보험용으로 가지고 있었을 거라는 것이 저자의 판단이다. 어쨌거나 이렇게 비밀리에 주고받은 어찰이 수백년이 지난 오늘날 거의 원형 그대로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참 다행스럽고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단순히 실록이나 각종 기록만으로 보여지는 평면의 정조를 넘어서서 삼차원의 정조에 대해 알 수 있었던 엄청난 발견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 어찰을 통해서 정조의 보다 거침없고 솔직한 모습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아는 교과서에서나 보이는 성군인 정조가 마음에 들지 않는 신료들에게 거침없이 욕하고 비난하고 대노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해준다. 참으로 신선하고 색다르지 않은가? 심지어 어떤 신하에게는 호로자식이라는 욕까지 했다고 하니 역시나 왕도 우리와 같은 사람이다. 인자하고 기품있는 그러한 우리의 정조대왕은 사라지고 거침없고 화나면 욕도 하고 극대노하시는 정조대왕을 만나게 되어 뭔가 아쉽기도 하지만 오히려 더 친숙하다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비밀편지를 통해서 정조가 얼마나 바쁘게 정사를 돌봤으며 항시 백성생각을 놓은 적이 없다는 사실이 우리는 감동스럽게 만든다. 오늘날의 현실을 보면 정말 정말 씁쓸하긴 하지만 말이다. 뭐랄까 이런 글을 보면 항상 현실과 비교하게 되니 도리어 기분이 내려가기도 한다. 어쟀든 우리의 정조대왕은 실록과 승정원일기와 같은 정사에 포장된 성군의 이미지에서 이번에 내려오셨다. 보다 우리와 가깝고 친숙하게 다가오셨다고 해야 할 듯 하다. 이래서 역사를 알면 알수록 흥미롭고 새롭고 놀랍기 그지없다. 우리가 아는 역사가 항상 옳거나 정론이 아니기에 우리는 항상 궁구하고 새로운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